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조민숙 / 망막으로 빛나는 대(竹)의 편린

박영택

조민숙-망막으로 빛나는 대(竹)의 편린



조민숙은 대나무를 작은 단위로 잘라(아주 작은 원기둥 형태) 납작한 사각형의 화면 안에 화면에 수직으로 세워 붙였다. 주어진 평면 안으로 들어간 나무 조각들이 피부를 가득 채웠다. 둥근 단면이 위를 향해 꽂히면서 나무들이 체적화 되었고 시각적인 화면을 만든 것이다. 너무 작고 가늘고 가시적인 존재로서는 미약 했던 것들이 반복, 배열되면서 공간을 채우고 조각적, 회화적 영역을 구축해나간 형국이다. 기존 조각과는 상반된 개념으로, 역발상으로 공간을 부피화 하고 면 적으로 구축해나간 것이다. 사실 이러한 방법론은 최근 여러 작가들의 작업에서 흔하게 검출된다. 약간씩의 차이를 지니면서 고서나 한지를 작은 단위로 해서 평면에 꽂아 채워나가거나 얇은 종이의 단면들을 쌓아올리는가 하면 작은 나뭇가지나 비닐, 레고, 쌀알, 국수, 시퀸, 못 등 여러 오브제, 사물들을 중층적으로 혹은 단면적으로 붙여나가고 있다. 사물을 통해 그림을 그리고 고부조, 입체를 만드는 작업으로 기존 장르개념을 헷갈리게 하고 흔드는 작업이기도 하다. 기존 조작이 일정한 덩어리, 볼륨을 지닌 물질을 자르거나 절개하거나 파들어 가면서 이미지를 만들거나 그 물성 자체를 극대화한다면 최근 작업들은 이와 달리 시각적으로 매우 미약한 그래서 얼핏 비가시적 존재일 수 있는 피부만을 지닌 것들이거나 망막에 겨우 잡히는 것들을 증식시켜 나가면서 가시적 존재로 만들어나가는 경우를 흔하게 접한다. 근자에 그런 방법론이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저마다 독특한 또는 유사한 재료들을 가지고 미세하게 자르거나 분절시켜 본래의 모습에서 이탈시키거나 낯설게 만들어 다른 물질처럼, 혹은 다른 시각상의 존재로 변화시키는 전략이다. 그로인해 또 다른 감각에 호소하며 색다른 물성을 접촉하게 한다. 그것은 또한 물리적 의미에서 매우 얇은 것, 매우 작은 것들을 지각할 수 있는 존재로 만들어나가는 일이자 일정한 면으로 펴내는 일이다. 그것은 조각과 회화가 동시에 겹쳐지는 공간을 생성하는 일이다. 조각과 회화가 기이하게 공존하는 동시에 섬세한 지각의 차이를 펼쳐 놓는 일인 것이다.

조민숙은 그 작고 둥근 원기둥 형태의 나무를 염색용 물감으로 염색해 푸른색을 띤 물질로 만들었다. 약 2cm 높이의 작고 둥근 나무의 표면으로 파란 잉크가 흠뻑 배어들었다. 그렇게 시퍼렇게 물든 이 작은 대나무가 바닥에 촘촘히 박혀서 문득 얼굴 하나를 안긴다. 위에서 수직으로 박히고 꽂히는 나무가 수평으로 펼쳐진 이미지를 만든다. 수직은 수평으로 인해 자신의 존재를 알리고 있다. 물감과 붓을 대신해 작은 나무토막들이 빽빽하게 들어차 이미지를 그려 보인다. 수없이 다른 시간들이 부피화 되고 미미한 존재들이 집합되어 의미 있는 형상을 안기는 것이다. 색은 나무/물질을 물들이고 그렇게 색이 된 나무 조각은 붓질에 의해 물감이 착색되는 것처럼 화면에 미리 정해진 면적, 부위 안으로 들어가 그 공백, 여백을 채운다. 나무와 나무 사이는 여백 없이 붙어서 촘촘히 배열되었다. 이 집합과 집적은 개별적 단위들을 유지시키면서 약간의 차이를 지니고 복수화 되어 또 다른 존재로 나간다.
동일한 재료들이 색을 취해 약간의 차이를 지니면서 이미지가 만들어지는데 그 차이는 농담의 개입으로 인해서이다. 약간의 차이를 지닌, 거의 같은 굵기와 길이를 지닌 봉과 같은 이 물질은 염색되어 색을 머금은 순간 그 색의 농도 차이에 의해 인지가능한 상으로 환생한 것이다. 그 형상, 얼굴은 익히 알고 있는 서구의 유명 예술가, 사상가들이다. 누구나 그 인물이 누구인지 쉽게 알 수 있는 일종의 도상인 셈이다. 그렇게 익숙한 예술가들의 얼굴이 다가온다. 그러니까 존 케이지, 슈베르트, 아도르노, 까뮈 등의 인물상이다. 얼굴사진을 사용해 나무판에 몇 단계 명암으로 구분해 그려 넣은 후 그 부위에 색깔이 다른 나무들을 채워 넣은 것이다. 그것은 유사색상 몇 개로 이루어진 단색조회화이자 동시에 나무로 이루어진 저부조의 화면이기도 하다.

작가는 막막한 시간과 수고스러운 노동을 견디며 그 작은 나무 조각을 하나씩하나씩 부착해나가면서 마치 퍼즐 맞추기를 하듯 인물을 그려 보인다. 그렇게 해서 얼굴의 특정 부위를 주목했다. 깊은 상념에 잠기거나 명석한 예지력으로 빛나는 예술가들의 눈가만을 집중해서 보여준다. 그들의 깊이를 지닌 시선이 보는 이들의 망막에 달라붙는다. 시선은 사로잡히게 하는 마력이 있다. 그 눈을 보는 순간 관자는 시선을 보낸 인물의 대상, 목표물이 되어 응고 되는 체험을 접한다. 상호 조응하는 시선의 교류을 통해 작품과 보는 이들이 모종의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렇게 대나무가 사람이 되고 염색된 나무 조각들이 예술가의 깊은 눈을 재현했다. 생각해보면 동양 문화권에서 대나무는 선비의 넓고 깊은 내면을 상징하고 굳세고 당당한 외면을 표상한다. 지조와 절개를 뜻하고 의연함과 곧고 단단함 역시 아우른다. 그리고 오래 살고 무리가 번성한다는 의미의 길상이기도 하다. 그런가하면 대나무는 일상 삶에서 무척이나 요긴한 재료다. 그 대나무로 필요한 도구와 기물들을 만들고 애용했던 것이다. 조민숙은 그런 대나무를 의도된 시간의 낭비와 노동으로 인한 장인적 행위 아래 다룬다. 담양 대나무를 이용해 뛰어난 예술가상을 떠올려 내고 그들의 얼굴을 힘들여 이루어 나가는 지난한 과정을 통해 작가로서의 삶의 자세를 가다듬는 한편 그 힘든 여정 속에 지친 자신을 치유하는 것이다. 그렇게 대나무는 또 다른 존재로 환생하고 대를 심듯 그려나가는 치열한 행위가 작가 자신에게 의미 있는 시선이 되어 차오르는 것이다. 작고 작은 하찮은 대나무 편린들이 예술가의 망막이 되어 환하게 비쳐지는 것이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