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김정희 / 이미지와 질료 사이에 위치한 그릇

박영택

김정희는 포장용 골판지를 바탕 화면으로 삼아 그 표면 위를 날카로운 금속성의 도구로 긁거나 파낸다. 마치 대지에 호미질이나 가래질을 하듯이 또는 송곳으로 벽을 찍듯이 상처를 가한다. 그러니까 갈고리처럼 금속을 휘어서 만든 이 도구가 연필이나 붓을 대신해 표현의 수단이 된다. 그림이란 특정한 공간에 일루전을 부여하는 장치이다. 동시에 그림이란 ‘그림이 무엇인가’를 질문하는 일이다. 그것은 무엇을 그리는 일과 그린다는 방법론의 문제를 모두 껴안고 있다. 생각해보면 그림은 환영이자 동시에 물질이고 이미지이자 행위이며 서로 대립되는 것들이 조화를 이루거나 공존하는 형국을 이룬다. 매우 축약해서 말한다면 그림을 환영으로 이해했던 것이 서구전통회화였고 그것을 물질로 환원시킨 것은 모더니즘이었다. 오늘날은 이미지와 물질, 환영과 질료들이 서로의 우위를 주장하는 대신 또 다른 방식으로 얽히거나 공존하는 틈을 부단히 유출시킨다. 김정희의 그림 역시 환영과 물질을 한 자리에 충돌시키는가 하면 이 둘의 교감과 조화를 얘기한다. 그에게 그림은 이처럼 이미지를 그리는 일이자 그림을 질문하는 일이고 그림을 이루는 존재론적 조건들에 대해 지속적인 환기를 부여하는 일이다.





김정희는 골판지위에 그릇의 형태를 보여준다. 찢기고 파헤친 상처들이 얼핏 그릇의 실루엣을 안겨준다. 그것은 그릇의 외피에 기생하는 이미지이다. 그릇 자체를 재현하거나 묘사하려는 욕망 대신에 그릇의 이미지만을 건져 올렸다. 작가는 조선시대의 다양한 도자기에서 형태를 따오기도 하고 더러는 상상해서 그리기도 했다. 외형은 대개 막사발이나 다완을 연상시킨다. 그릇의 표면에 그려진 문양도 얼추 드러난다. 실은 그릇이라는 관념의 표상인 셈이다. 특정 대상, 외계를 재현하는 욕망 대신에 그는 보편적이자 관념적인 그릇의 이미지를 올려놓았다. 한편 그에게 이 그릇이란 인간의 구체적인 삶에서 사용되는 매우 중요한 도구이자 가장 이상적인 형태를 지닌 것으로 이해된다. 대개 전통적인 골동품을 대상으로 한 것은 오래된 시간성과 그에 결부된 소중하고 고귀한 것의 암시이며 옛사람들에게 그릇을 만들어내는 일이 가장 완벽한 형태와 최상의 품질을 지닌 것을 선별해내는 일련의 과정이었음을 떠올려준다. 따라서 이 그릇의 이미지는 어떤 완성된 하나의 그릇이라는 표상을 지닌다. 그에게 그림/작품 역시 수많은 시행착오나 범작을 제외한 신중한 선택의 과정에서 하나를 고르는 일이기도 하다. 아울러 그릇의 형태는 그림을 보는 모든 이들에게 가장 친숙하고 편한 이미지를 연상시켜주는 일이기도 하다. 그러나 정작 그림에는 그릇의 이미지 대신 무수한 상처, 종이의 물질성이 적나라하게 드러난 자취들만 자욱하다.
그것은 묘사된, 재현된 그릇이기 이전에 골판지라는 물성과 그 물질을 파헤친 행위의 흔적으로만 이루어진 것이기도 하다. 작가는 종이의 피부를 긁거나 파내고 있다. 위에서 힘을 가해 아래쪽 방향으로 끌고나가거나 또는 낚아채듯이 찍어내는 행동은 작가의 제작행위(작업과정) 자체를 고스란히 증거 하는 일이다. 그것은 특정 이미지이기 이전에 물질이고 행위에 해당한다.

뾰족하고 날카로운 금속성의 단면이 부드럽고 물렁한 종이의 피부를 긁고 파내면서 골판지의 표면을 훼손하는 일이 역설적으로 그림을 이루어낸다. 압력과 강도의 차이는 골판지 피부위에 저마다 다른 깊이를 드러내고 내부가 밖으로 밀려나와 매달린 자취가 형상을 부여함과 동시에 종이의 물성을 적나라하게 표명한다. 조심스레 긁은 부위와 힘 있게 파낸 자취, 수직으로 밀고 내려온 것과 거칠게 파낸 부위가 공존한다. 대부분 위에서 아래로 내려 그은 힘들이다. 은연중 중력의 법칙이 관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생각해보면 그것은 분명 조각적 행위이다. 물질의 피부를 다소 가혹하게 다루어 상처를 무수히 내고 그 자잘하고 다채로운 흔적들이 모여 완성된 그릇의 형태를 친밀감 있게 안기는 묘한 역설이 자리하고 있다. 그릇의 이미지를 만드는 자취와 함께 그 주변에도 자잘한 흔적들이 산포되었다. 무심하고 무의식적인 행위들, 하찮고 불필요해 보이는 터치들이 실은 이 그림을 이루는데 있어서 매우 불가피하게 요구되는 것들이다. 그릇이미지를 제외한 부위는 여백처럼 비워져 있지만 물방울처럼 또는 숫자 1을 기재한 것 같은 흔적들이 부유하면서 화면에 생기를 부여하고 진동감을 안겨주고 있다.



아울러 화면의 안과 밖이 한 자리에 놓이고 한 순간에 동시적으로 보여진다는 사실도 흥미롭다. 그로인해 깊이를 지닌 이 회화는 내, 외부가 동시에 투사되는 경험을 안겨준다. 종이라는 물질이자 그릇이라는 이미지(환영)이 어질하게,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시선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세계가 펼쳐진다. 표면에서 얇은 깊이까지 들어간 수직의 공간이 수평의 화면에서 이미지(환영)을 만들고 다시 그 내부의 것이 밖으로 뜯겨져 나와 고드름처럼 매달리면서 부조적, 촉각적 화면을 이룬다. 종이의 표면을 무화시키지 않는 선에서 만들어내는 깊이다. 그래서 그것은 회화와 조각의 경계에서 묘하게 진동한다. 더욱이 조명이 비치면 매달린 종이 부분은 그림자를 짙게 드리우면서 환영감을 부추킨다. 그러니까 약 5mm의 두께를 지닌 비교적 얇고 납작한 골판지는 물질이면서 동시에 회화적 화면이 되어 자리하고 나아가 입체가 된다. 작가는 이후 그 피부위에 수 십차례에 걸쳐 에나멜 물감을 고르게 분사해서 단호하고 납작한 색채평면을 안긴다. 종이의 내외부가 고르게 물감에 의해 도포되고 그렇게 단색으로 마감된 화면은 무수한 상처를 지닌 흔적을 위태롭게, 긴장감 있게 유지시킨다. 종이의 피부를 긁고 파낸 소리를 환청처럼 안기면서 말이다. 이처럼 한 화면 내에서 이질적인 것들이 공존하고 조화를 이루면서, 또한 다양한 감각을 자극하면서 새삼 우리에게 그림이 무엇인지를 다시 생각하게 해주는 것이 김정희의 ‘그릇’이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