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아름다운 여인을 향한 그리움의 고백 . 이태근의 조각

김종근

한 여인이 불어오는 바람을 향해 눈을 감고 있습니다. 그녀의 가늘게 감겨진 눈 사이로 눈물방울 하나가 뚝 떨어져 아주 천천히 예쁜 볼을 타고 내려옵니다. 그녀는 침묵한 채 아무 말이 없습니다. 부풀어진 머리로 보아 지금도 바람이 불어오고 있는 중 입니다. 언제부터 이렇게 그녀가 고요하게 앉아 있었는지 알 수 없지만 “시간의 흐름”도 그녀의 어깨를 흔들지 못하고 “세찬 바람”도 그녀의 머리털을 흩트려 놓지 못했습니다. 다만 그녀는 깊은 생각에 잠겨 눈물 흘릴 뿐.

이태근의 <바람 불어 좋은 날>에 작품을 보고 로댕이 흰 대리석에 생명을 불어 넣은 듯 한 작품을 연상하며 묘사한 부분이다. 그의 작품은 이처럼 마치 애틋한 여인의 사진을 보는 듯, 그녀의 독백 혹은 고백을 듣는 풍경처럼 영상처럼 선명하다. 그러나 그의 작품들은 아름답지만 어딘가 마음 한 켠이 짠하다. 또 다른 작품. 정말 단아한 모습의 여인이 머리를 흩날리며 지긋이 눈을 감고 있다. 그 위로 바람이 불고 있다. 머릿결이 크게 흩날릴 뿐, 그녀는 허공을 향해 다소곳이 얼굴을 치켜든다. 그리고 빙그레 옅은 웃음을 짓고 있다. 그리고 또 다른 소녀가 있다. 단정한 소녀가 단발차림으로 정면을 쳐다보는 모습이 정갈한 차림의 소녀이다. 여학생 교복 차림으로 순결하고 정숙한 열일곱 살 옷차림의 여고생 차림이다. 인형을 들고 눈물을 찔끔 흘리는 앙증맞은 소녀도 있다. 이 모두 이태근 조각의 공통점은 여인과 소녀들이고 ,우리에게는 가슴을 설레게 하는 로망틱한  장면들이다. 

이렇게 이태근 작가는 여인 혹은 소녀의 초상들을 주제로 핑크빛 대리석에, 뽀얀 살결 같은  대리석 돌에 생명을 불어넣는 작업에 오로지 눈길을 주고 정진해 왔다. 마치 “돌 속에 조각의 상(像)이 존재하기 때문에 조각가가 할 일은 여분의 돌을 떼어내는 것뿐”이라는 천재 예술가 미켈란젤로의 말처럼 그는 돌을 보면 그 돌 속에 숨어 있는 여인의 모습을 이내 발견한다. 물론 그 소녀 혹은 여인이 누구인지 우리는 알 수 없다. 마찬가지로 작가도 그녀가 누구인지 말하지 않고 있다. 설령 그것이 누이라고 해도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당연하게 작가의 마음속에는 여인이 누구의 모습을 상상하고 떠올리며 작업을 했는지 있을 것이다. 단발머리의 단정한 소녀에서 머리를 흩날리는 우아한 여인의 초상에 이르기까지 그의 조각들은 누이나 동생을 모티브로 한 것인지 모른다. 중요한 것은 그녀가 누이인가 동생인가가 아니라 왜 그가 이러한 모습을 한결같이 형상화 하고 있는가 라는 점이다. 이태근은 어느 인터뷰에서 그 작품 속에 여인은 누이에 대한 그리움의 초상이라고 했다. 그는 누이의 아름다운 순간의 내면과 가슴속의 누이를 담아내고 싶어 한 것이다.

즉 누이를 통해 어떤 슬픔이나 우울보다 그 청순한 아름다운 날들의 추억과 밑 모를 그리움의 순간들을 정지 시키고 싶은 욕망을 드러낸 것이다. 마치 뭉크가 사람들에게서 죽음의 모습을 보고, 쟈코메티가 인간의 얼굴에서 영혼의 가벼움을 보았다면 이태근은 여인들의 얼굴에서 진정한 남자가 갖는 그리움의 본질을 발견한 것이다. 그래서 군더더기 없이 단순한 형상으로 바람 부는 날의 그윽한 미소를 가진 얼굴을 빚어 놓았다. 그만큼 작가의 깊은 내면에는 이런 소녀에서 단아한 누이로 변해가는 그 기억속의 아린 기억이 생생하게 살아 숨 쉬고 있다. 그래서 사람들은 그의 조각에서 ‘누이’를 통한 그리움의 원형을 주저 없이 읽어낸다. 그러기에 나는 그의 바람 불어 좋은 날의 작품 앞에서 “그립고 아쉬움에 가슴 조이던 머언 먼 젊음의 뒤안길에서 인제는 돌아와 거울 앞에 선 내 누님같이 생긴 꽃이여“ 라고 노래했던 미당 서정주의 국화꽃 앞에서가 떠올랐다.  

결코 소박하지만 화려하지 않고 끝없이 순결한 표정으로 우리 앞에 선 따뜻한 조형미를 발견하게 된다. 독일의 문호 괴에테는 “꽃을 주는 것은 자연이고 그 꽃을 엮어 화환을 만드는 것은 예술”이라고 했는데, 이태근 작가는 그 누이라는 꽃을 가지고 돌아갈 수 없는 시간 앞에 눈물방울을 뚝 떨어뜨리는 바람 부는 날의 화환을 아름답게 조각해 낸 것이다. 이태근의 작업이 전적으로 이런 단일한 초상에만 한정된 것은 아니다. 가끔 남자와 여자의 러브 스토리가 담긴 작품도 모자를 쓰고 머플러를 두르고 서있는 여인의 풍경을 담은 작품들도 있다. 이런 점에서 다른 작가들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보인다. 그러나 보통 조각 작품의 경우 기본적으로는 3차원의 입체작업이지만 그는 표현을 꼭 입체적으로만 드러내지  않고 납작한 돌로 여인을 부조로 새겨 놓은 듯 평면적인 입체감을 병행하여 빚어내고 있다. 그만의 특성을 살려내고 있는 부분이다. 아마도 그러한 조각의 표현이 다른 작가와 차별성을 둘 수도 있을 것이다. 재료도 표면의 결이 거칠고 단단한 화강암에서 부터 결이 부드럽고 따뜻한 대리석에 이르기까지 그는 돌의 특성에 따라 각기 여인들의 초상을 선택한다. 색감도 흰색에서 여린 핑크빛 ,검은 오석에 이르기까지 꼭 어떤 돌을 고집하지 않는 다양함을 구사하고 있다.


 '나는 대리석 안에 들어있는 천사를 보았고, 그가 나올 때까지 돌을 깎아냈다.' (미켈란젤로)고 했던 말처럼 그가 꿈꾸던 여인의 이미지가 돌출될 때 까지 그는 납작한 돌에서 평면과 입체의 경계를 넘어들면서 아름다움을 구현한다.


무엇보다 그의 작품은 한없이 아름답고 정겹다. 그의 작품이 이렇게 아름다울 수 있는 것은 오로지 그것이 그리움의 간절한 진실을 담아내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그가 이렇게 아름다운 조각을 만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려 되는 것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혹여 외부로부터 그가 만든 여인의 흉상들이 너무나 정직하고 성실하기에 장식적이라고 비난의 화살이 퍼부을까 걱정된다. 그러나 아름다운 부분을 가지거나 지향하고 있다고 그것이 결코 흠이 될 일은 아니다. 진실이 있다면 그것에 아름다움은 존중되어야 하고 그것으로 만족 할 일이다. 예술가는 이런 것으로 혼자 고립되는 것을 두려워해서도 피해서도 안 된다. 시간이 흐르면 언젠가는 그 진실한 작품을 이해하는 사람들이 만들어진다. 이태근의 누이를 향한 그 진실함을 나는 신뢰한다. 그의 작품에는 불변하는 여인의 아름다움. 사람들의 마음을 흔들어 놓는 바람이 오롯하게 새겨져 있다. 눈물방울을 떨어뜨리는 그 여인의 숨결이 들려오지 않는가?  

그가 진정으로 말하고자 하는 누이 혹은 그 그리움의 진실. 그 아름다운 영혼의 고백이 하얗게 빛나는 그 대리석 위에 아름답게 빛나는 것이 보이지 않는가?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