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山처럼 그대로 거기 있었던 화가 유영국

김종근



山처럼 그대로 거기 있었던 화가  유영국 



김종근 | 미술평론가

유영국(1916~2002)은 1916년 4월 7일 경북 울진에서 4남 4녀중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1933년 경성 제 이고보를 재학중 규율에 얽매인 교육 방식이 체질에 맞지 않아 중퇴후 일본 유학을 결심하였다. 
그는 미술반에 가입하지는 않았지만 자신의 진로를 생각하면서 어떻게 하면 자유롭게 살 수 있을까에 대해 고민한 결과, 문학보다는 미술이 맞는 것 같아 미술을 선택했다고 한다. 
1935년그는 동경문화학원 유화과에 진학 2년후, 1937녀부터 1942년 까지 체류했다. 
그는 구성주의적 경향의 작품을 했고 , 초현실주의적 작품을 하였던 문학수, 야수파에 경도한 이중섭 등 문화학원 졸업자들의 작품 경향은 대체로 일본 화단에서도 알려진 전위적인 성격의 활동을 하였다. 
1930년대 동경 유학시절에는 추상작업을 시작하면서 미술사적으로는 한국 미술의 의 제1세대 추상미술 작가로 또는 선구자로 평가되어 왔다.  

개략적으로 그의 작품세계는 몇가지의 혼합적인 양상을 보여준다. 1937년 초기에는 기하학적 도형들을 이용한 구상적 세계가 있는가하면 ,철저하게 기하학적 형태를 이용한 흑과 백의 릴리프적인 차가운 추상계열의 작품들이 나타난다. 
이들은 대부분 기하학적 패턴으로 구성적인 도형을 이용한 작품들이 있는가 하면 타원형과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형태를 보여준다. 
때로는 옵티칼 아트처럼 시각적인 작품들도 제작했다. 이러한 약간은 경향이 다른 작품들로 보아 이 시기는 자기세계가 갖추었다고 보기보다는 작품의 탐색적인 시기라고 보여진다. 특히 37,38년 의 습작이라 이름 붙여진 오브제등은 그가 평면회화에 만족하지 않고 입체성을 염두에 둔것임을 알수있다.  
일찍부터 프랑스와 유럽의 예술을 받아들였던 영향과 1930년대 일본의 새로운 추상미술운동의 영향이 가장 결정적인 것이라 여겨진다. 일본에서의  모더니즘 미술은 1920년을 전후로 해서 소개된 미래파와 러시아 아방가르드 미술, 1930년대의 초현실주의 및 추상미술의 전개로 이어지면서 해방 후 모던아트 운동에 직접적인 영향권이다. 
이 시기 그의 작품들은 산, 길, 나무 등처럼 자연적인 소재를 추상화 시킨 철저하게 기하학적 구성과 원색적인 색채가 조화된 작품들을 보여주었다. 
1954 년 이후 그의 화면은 대단히 제한된 원색을 기조로 하면서 때때로 거울과 같이 투명하게 처리된 표면을 통해 화사하고도 경쾌하다. 
1960년대 말부터는 '산'이라는 모티브 아래 선․면․색채로 절제와 다듬어진 색채로 구성된 비구상적인 형태의 회화를 보여주었다. 
그의 회화는 초기에 보여준 기하학적 구성의 추상에 기본조형을 두면서 원색의 색채와 균형감 있는 면 분할로 일관했다. 그의 화면은 가장 기본적인 기하학적 패턴을 유지하면서 삼각과 원, 그리고 일정한 직선의 띠들이 교차하면서 조형미를 보여준다.  
한 사람으로서 평생동안 고집스럽게 자기의 길을 걸어 그의 예술은 어디까지나 자연에서 출발한다. 
그러면서 그는 자연의 근원이 형과 색으로 조형화되어 드러나기 때문일 것이다. 그가 이룩하고 있는 작품세계는 창조된 또 하나의 자연이기에 자연주의적인 태도에도 불구하고 재현보다는 실현을 성취하게 된다고 하겠다.
이처럼 초기 유학 시절을 제외하고는 그 작품 표현에 있어 자연을 떠난 적이 없고 생활 주변에서 
체험하는 산, 바다 등 자연 공간의 형상이 추상적 기호이면서도 동시에 자연의 흔적을 여전히 탐지하고 있다. 당시 유영국이 가장 존경하던 작가는 몬드리안이었다. 
군더더기 없는 구성, 수직․수평의 절제된 균형 감각의 몬드리안 작품이 '말이 없어서 좋았다'는 유영국의 말은 그의 과묵한 성격을 단적으로 드러낸다. 
1.4 후퇴시 고향 울진으로 피난하여 생활하는 동안 자연과의 교감이 일어났으며, 이것이 작품 상에 새로운 변환을 일으키게 한 요인이 아닌가 생각된다. 일본에 유학하던 시절에도 방학 때면 근처의 해변에 나가 하루종일 먼 산을 쳐다보거나 수영을 하는 것으로 소일하곤 하였다고 하는데 이러한 자연 속에서의 생활과 체험이유영국의 화풍을 전개시키는 자양분이 되었다.
해방 이후 유영국의 작품은 명확하고 단순한 구성주의적 경향에서 자연에 대한 깊은 감동을 전하는 비구상적 경향으로 전환되었다.
유영국의 단체 활동은 막을 내리고 그 후로는 주로 개인전을 통해 활동하면서 작품성의 심화에 주력하였다.


그는 말했다. “ 내가 대상으로 한 것은 자연이었고,  탐구해온 형태는 비구상을 바탕으로 한, 즉 추상이었다. 그것은 어떤 구체적인 대상물로서의 자연이 아니고 선이나 면이나 색채 그리고 그런 선과 면과 색채들로 구성된 비구상적인 형태로서의 자연이다. ..... 그런 자연의 형태를 떠나서 선과 면과 색채로써 화면에 더 주관적으로 탐구되는 나의 자연, 나의 자연의 형태에의 탐구이다. 나의 선이나 면이 놓이는 자리를 그렇게 찾아가는 것이다. 어떤 때는 직선이나 직선적인 면의 추구도 되고 어떤 때는 두터운 색면의 질감도 탐구하게 되며, 또 어떤 때는 더 기하학적인 색면이나 선과 형태들이 되기도 한다.' ((작가 )) 그의 작품이  서정성을 내포한다는 것은 산 (山) 모티브에서도 많다 그가 지금까지 제작해온 작품 가운데 가장 많이 눈에 띄는 명제가 다름아닌 산이다. 그는 자신의 그림 제작 동기를 이야기하는 자리에서 산으로 에워싸인 지방에서 나서 자랐기 때문에 산의 명제가 많노라고 토로한 바 있다.
이제 최근 그의 작품에 대한 재평가가 비교적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다행이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