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여인과 꽃 그 아름다움을 찾아서

김종근

김형근, 그는 1930년 예술의 도시라 불리는 경남 충무시 남쪽의 미륵섬 에서 태어났다. 통영은 지금 유치진이며 전혁림이며 심문섭등 유명한 예술가들이 태어난 예향이기도 하다. 그곳은 지금의 통영군 산양면 감평리이다. 그의 아버지는 한의사로서 통영 일대에서는 명의이자 마을의 유지였다고 한다. 부친의 나이 50에 그는 늦둥이로 태어났고. 그래서 아버지는 아들이 훌륭한 의사가 되기를 희망했고 외아들로서 귀염과 엄격함을 받으면서 성장했다. 그런 영향으로 화단에서 그의 별명은 사실 성격이 깐깐하기로 소문난 화가이다.
어린 시절부터 그림에 한 뛰어난 재주를 보여 일본인 교장 선생이 아버지를 만나 그림 솜씨가 뛰어나니 그림공부를 시켰으면 좋겠다고 할 정도였다. 하지만 외아들을 환쟁이 만드는 것은 집안을 망하게 하는 노릇 이라고 부친은 의술을 공부해 주길 강권했다. 그러나 예술가의 숙명은 때로 피할 수 없다. 종아리를 맞으면서 한학 수업을 할 때도 그는 글자의 뜻보다 생김새에 더 호기심을 보일 정도로 그림에 빠졌다.
김형근의 화가로서의 출발은 이렇게 숙명적인 데가 있다. 그만큼 전란의 상황에서도 그의 그림의 충동은 멈추지 않았는데 국전에 첫 입선이 폭격을 맞아 부서진 노을 진 전흔의 풍경을 반추상적으로 그린 <바다의 인상>이란 그림이었다. 그가 바닷가 출신임을 알게 해준 그림이다. 초기 그는 반추상적인 세계에서 시작 했지만 사실적인 묘사의 세계에 흥미를 갖기 시작 했다. 당시 우리나라 화단의 화풍을 휩쓸던 전후 추상예술과 전위적인 모더니즘의 열풍에 빠지지 않고 그 이러한 고집은 사실주의 화가로의 방향에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그러다 1970년 국전 19회에는 「과녁」이란 작품으로 화가로서는 최고의 영예인 대통령상을 수상했다. 시골의 무명화가에서 일약 중앙 화단의 최고의 화제작가로 정상에 떠오른 것이다. <과녁>은 궁터에서 볼 수 있는 과녁에 명중한 화살과 흘러내린 화살을 리얼하게 묘사한 작품으로 이 작품은 중고교 미술교과서에도 실릴 정도로 유명 해졌다. 그의 대표적인 작품인 극적인 긴장감을 자아내는 화살과 과녁의 관계설정, 아래로 흘러내린 화살은 당시의 “불안정한 삶의 정체성과 시대상을 함축적으로 암시해낸 명작”으로 불려졌다. 그때 “화단에서는 이 작품을 두고 한국 미술의 물줄기를 바꾸는 혁명적인 사건”이라 했으니 당시 이 작품이 주는 충격을 잘 말해준다. 그것은 사실적인 회화의 매너리즘을 넘어서서 뉴 리얼리즘의 세계와 미의식을 실현한 것으로 평가 되었다.
그의 단순미와 여백, 공간의 절묘한 배치는 미국 유학시절인 1974년에 제작된 작품 <박스 시티>로 이어졌다. 쓰다가 버린 세 개의 종이박스를 나열한 이 작품은 객관적인 리얼리티를 구현한 경쾌한 작품들이다. 이러한 작업은 80년대에 들어 벽화제작으로 ‘한국 최대의 벽화’로 화제를 모았고 이 작품들에서도 그는 리얼리즘의 세계에만 머물지 않고 환상적인 세계로 그의 예술세계의 지평을 확장 시켰다. 그는 우리 화단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인을 그리는 사람이다. 아니 그가 그리면 평범한 여인도 가장 아름답게 태어난다. 그래서 그를 오랫동안 알고 있는 지인들은 그의 그림을 갖고 싶어 하거나 그가 그린 자화상들을 희망한다. 물론 그는 함부로 초상화를 그리지도 않는다. 뿐만 아니라 한 번도 작가는 스스로 꽃과 여인이라고 제목을 명명한 적은 없지만 그의 그림들은 그 뛰어난 감각과 정밀한 묘사로 미술 애호가들에게 꽃과 여인이란 화가로 인기를 얻고 있다.
“사물을 자세히 보라. 나무를 볼 때에도 뿌리까지 보는 투시력을 길러라. 보이지 않는 것은 그리지 말라.'는 것이 그의 좌우명이다.
김형근의 이 좌우명과 매력은 바로 회화의 간결한 구성과 그만의 단순한 기법에서 빛을 발하는 것이다. 옆을 향한 여인들의 도시적인 인상, 여인들은 한결같이 꽃을 안고 있거나 혹은 꽃바구니를 이고 있는 표정에서 그의 그림은 매혹적이다. 어떤 이는 이런 그의 그림을 본 따서 은백색의 마술사라고도 부른다. 그만큼 그의 그림은 흰 바탕에 마술사처럼 여인의 모습이나 꽃묶음을 기가 막히게 드러내기 때문이다.
그의 그림에 배경은 어떻게 태어난 것일까? 그는 젊어서 사고로 육체에서의 영혼 이탈 현상 같은 것은 처음 느껴보는 세계가 펼쳐졌는데 그 때 본 풍경이 바로 온 천지가 바로 그림 속에 나타나는 은백색의 분위기 이었다. 그가 바라본 바다도 선명한 은백색이 되어 황홀한 신비의 세계를 가지게 되었고 죽음의 세계에서 그가 본 은백색이 각인 되어 평생 그의 화폭의 바탕이 된 것이다. 그가 선택하는 주제들은 전통적이고 향토적이다. 오래된 토기나, 부채, 가마, 백자, 청자 같은 기물들과 꽃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그 그릇들은 대부분 그 누구도 시도 하지 않은 은백색의 바탕에 정갈하게 놓여 있다. 그 은백색의 출현배경이 미스터리 한데 김형근 회화에 있어 이 부분의 출발은 특이하고 전설적이기까지 하다. 꽃과 미인이 만나 최고의 절대적 아름다움을 드러내는 꽃과 여인 연작들은 언제나 순수하고 정갈한 이미지로 순수 미의 극적인 상태를 만들어냈다.
꽃과 여인에 대한 그의 철학을 보여주는 대목이 있다. ‘꽃과 여인’“나는 여인이 세상을 떠나면 꽃으로 환생되고, 꽃이 세상에 향기를 풍기며 나와 지고 나면 한 여인으로 화한다고 생각한다. 나에게 있어 꽃은 곧 여인이고, 여인은 곧 꽃이다. 이러한 생각들이 내 작품 속에 표현되고 있다고 정의 한바 있다. 여인과 함께 그려진 예쁜 새와 꽃. 이 오브제들의 정밀한 묘사를 통하여 그는 테마와 색채에 극적인 조화를 보이는데 스카프를 맨 여인의 어깨 뒤에 배경, 여인의 손과 그 위에 새와의 절대적인 풍경들은 결정적으로 붓글씨의 삐침 같은 배경들의 터치와 조화를 이룬다.

그의 회화의 또 다른 특징은 여백이다. 화면에 비워놓은 공간에 대한 여백이 단순한 공간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것은 거리, 공간, 좌우구성, 화면의 균형과 리듬 등을 암시해주는 여백으로서의 그만의 회화에 ‘숨 쉴 수 있는 공간’임을 의미한다. 그러한 여백에 전통적이며 정겹고 정감어린 사물의 한국적 모티브가 김형근 회화에 나타나는 엄숙함과 진실성이다. 무엇보다 김형근의 회화성과 가치는 전통적인 소재 선택과 그것을 모던한 감각으로 처리하는 탁월함에 있다. 고요한 화폭에 아름다운 여인들의 움직임, 꽃들의 떨림, 과일들의 빛남 그의 그림들은 이렇게 우리들 마음을 송두리째 은회색의 절대적인 풍경 속에 빠트리고 있다. 사람들이 그에게 은백색의 마술사라고 부르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지금 그는 서울근교에서 고향을 오가며 작업하고 일 년에 한번씩, 미국 뉴욕주 져지시티 광장에는 검은 대리석에 김형근 기념탑이 세워져 있고 져지시티에서는 해마다 4월을 ‘김형근의 달’로 정해 그를 기념하는 미국에서 작업한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