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미로, 한국미술 근대에서 길 찾기

김종근

예술가들이 지나온 아름다운 길 , 그것이 미로이다 근대 이전에서 현대에 이르기 까지 예술가들이 펼쳐진 우리 미술의 주옥같은 작품들이 여기에 있다. 조희룡(趙熙龍, 1789~1866)은 시와 그림과 글씨에 뛰어난 예술가이자 시적인 서정성과 회화적인 표상성을 갖춘 당대의 문필가이자 화가였다. 추사의 제자로서 근엄한 필력을 보여주었지만, 그는 고집스럽게도 직업적 화가이기를 거부했다. 그는 특히 매화를 좋아해서 “좋은 종이와 먹이 있으면 가장 먼저 매화가 생각났다.”고 할 만큼 특히 매화 그림에 빠졌고 그만큼 매화도에 탁월함을 보였다.

그는 먹과 기이한 벼루만 보여도 그 벼루에 시험 삼아 매화를 그릴 정도로 ,매화 때문에 약골이었지만 장수했다고 할 정도로 예찬론자였다. 이 그림은 뒤틀린 가지가 비스듬하게 뻗어 내리며 붉은 꽃이 개화하는 매혹적인 고매(古梅)를 거침없는 표정으로 그렸다. 그의 매화는 웅장하면서도 소박하다. 꽃잎은 활달하고 언제나 매화를 그릴 때에는 경지를 넘어설 정도로 그만의 법도를 지녔다. “나의 매화는 동이수와 나양봉의 사이에 있는데, 결국 그것은 나의 법이다.”라고 제화에 쓸 정로로 그의 그림은 “이건 조희룡의 매화이다.”라고 할 정도로 그다운 그림이다.

바보예술의 거목 운보 김기창은 장애를 이긴 한국 동양화단의 전설적인 화가이다. 움직이는 예술작품이라고 불릴 정도로 뛰어난 생동감과 조형성을 가진 운보는 이당의 문하에 들어선 지 6개월 만에 선전 입선함으로서 본격적으로 미술계에 데뷔했다. 그는 뛰어난 묘사력과 충실한 구도 등으로 시골의 정취를 풍기는 향토적 내용이 중심을 이루고 색채에 있어서는 장식적이고 화려한 색을 사용하여 섬세한 필치로 주목을 받았다. 이 작품도 학과 매병을 테마로 한 구성으로 훌륭한 수묵담채로 완성된 작품이다. 우리나라 전통적인 도자기와 학의 형상으로 화면에 조형성을 이상적으로 결합시킨 중기 이전의 작품은 점과 선으로 결합 시키면서 적절한 색채로 운보 예술세계의 출발을 엿보이게 한다. 무엇보다 운보예술에 보이는 불굴의 의지와 대담함과 현대적 재해석이 걸출한 운보의 변화무쌍한 화풍은 그 누구도 따를 수 없는 운보 그림 만의 맛이 있다. '내 살속의 과거를 깎아 내며 민족적인 것에 이르고자 신체적 장애를 딛고 끊임없이 정진해 왔다'는 운보였다.

한의 화가로 불리는 천경자, 소설가 박경리는 그를 “꿈은 화폭에 있고 시름은 담배에 있고 용기 있는 자유주의자 ,정직한 생애 그러나 그는 좀 고약한 예술가다.” 라고 했다. 한 때 그가 가짜그림이라고 지목한 “미인도”란 포스터를 앞에 두고 분노하며 억울해 하던 그 문제의 작품은 아니지만 같은 테마를 그린 미인도 이다. “나는 하루 종일 혼자 있어도 내 그림에 나오는 모델들과 대화도 하고 사랑도 나누니까 하루가 지루하지 않아요.” 말했던 그림이다.
그의 화폭에 여인들은 젊은 시절의 자화상도 있고, 딸을 모델로 한 작품, 혹은 남태평양의 타히티를 비롯한 여행에서 만난 여인들이 그림에 모델이었지만 이것은 단발머리에 젊은 여인을 그린 전형적인 천경자 풍의 미인도이다. 그의 그림에는 한 결 같이 때로는 돌이킬 수 없는 꿈과 추억과 회한을 가득 머금은 그윽한 눈빛, 그리고 그 눈망울에는 알 수 없는 슬픔의 그림자가 드려져 있다. 스스로 ‘그림 속의 여자가 꽃을 머리에 얹은 것은 한(恨)이 많아서’ 라고 말했던 여인들은 아름답고 현란한 색채로 뒤덮여 있지만 이 그림도 애틋하다 못해 애처롭다. 눈 화장과 분칠에 담백하거나 무심한 표정을 짓고 있지만 그것은 슬픔을 넘은 사람들만이 가질 수 있는 표정이다.

권옥연도 마찬가지이다. 부유한 환경에서 태어나 일본에서 유학한 그는 서정성을 더하면서 그만의 독특한 양식으로 권옥연 풍의 색조와 형태를 구축한 화가이다. 구상과 추상의 조화를 독특한 색채로 형상화하면서 평가받은 그는 특히 소녀 ,수국 ,로베르의 집 등으로 최고의 인기를 얻은 작가이다. 특히 감각적이면서도 높은 조형성으로 화폭을 구성하는 그는 이 그림에서 대담하게 가슴을 드러낸 고개 숙인 구도에 단순한 나부의 소녀상을 보여준다.

고갱의 그림에 영향 받은 그는 우리나라 전통 토기의 색상들로 기본색으로 서정성을 보이고 있다. 전체적으로 잘 짜인 구성을 바탕으로 온화한 색상을 극적으로 대비, 특유의 인물의 시선을 매혹적으로 보여주는 이 소녀상은 대표적 화풍이기도 하다.

가장 한국적인 화가 , 국민 화가로 불리는 박수근은 한 소재를 가지고 여러 번 반복해서 그린다. <나무가 있는 마을 >은 그가 가장 즐겨 그린 화풍 중의 하나이다. 그가 태어난 강원도 양구의 풍경과 그곳의 대리석 질감을 끝까지 추구한 박수근은 동일한 주제를 그대로 베껴내는 식이 아니라 반복적으로 다시 그리는 진지함과 소박함으로 한국적 정서와 감흥을 준다. 이 그림은 앙상한 나무를 전면에 배치하고 엄마와 아이가 길을 가는 전형적인 한국의 풍경으로 적절한 구도의 묘미가 고향 생각의 감흥을 자아낸다. 거친 듯 절제 된 선묘가 화면을 꽉 채운 목가적 농촌풍경을 풍부하게 살려내고 있는 그의 대표적 화풍은 그가 고백한 인간의 가장 따뜻한 면을 그리고 싶어 했다는 진실성을 이 그림에서 발견 할 수 있다. 이러한 농촌을 모티브로 한 소재와 충실한 구도는 박수근 회화에서 종종 반복되지만, 수평적인 시각으로 안정감 있는 화면으로 한국적 아우라를 감동적으로 전해준다.

한국의 화가중에서 가장 소박한 화가를 꼽는다면 단연 장욱진화백이다. 그의 그림을 보면 알 수 있듯 그의 그림에는 가식과 과장이 없다.그만큼 장욱진은 소박한 스타일로 그림을 그리는 작가이다. 화실로 가는 그의 방 앞에는 예쁜 난로가 있고 그의 화실에는 언제나 커피냄새와 막걸리가 있었다. 몇 평 안되는 그의 화실 ,그는 앉은뱅이 책상위에 몇호 안되는 그림을 올려놓고간단한 풍경을 그린다. 논 사이로 타박 타박 지팡이를 집고 길을 가는 촌노, 가끔 그 뒤를 개가 따르고 초가집에는 할아버지와 손자로 보이는 인물이 앉아있다.시골집도 그러한 장욱진의 전형적인 풍경이다. 까치와 나무와 해와 달이 동시에 한 화면에 떠 있는 평면적인 구성 ,소박한 스토리 바로 이풍경은 보릿고개를 살아온 장욱진 시대의 시골집 풍경 그대로이다. 이 그림은 아주 작은 4호정도의 그림이다. 이 그림들은 모두 작은 서안 책상 위에 올려 놓고 그린 소품이다.그는 아주 작은 그림으로 동심어린 마음으로 시골집 풍경을 담백하게 묘사한 그림이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