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0과 1의 사이, 그 무한 변주의 가능성

윤진섭

 -[디지털 트라이앵글-
한ㆍ중ㆍ일 미디어아트의 오늘(Digital Triangle-Media Art Today in KoreaㆍChinaㆍJapan]전의 의미-
                      
                                           윤진섭(미술평론가)

 한국과 중국, 일본은 동아시아 지역의 핵심 국가들로서 다양한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교류를 통해 하나의 권역을 이루고 있다. 이른바 삼각주(Triangle)로서의 지정학적 위치를 점유하고  있는 이 지역은 역사적으로 볼 때 세계사적 변화를 주도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 지역은 근대이후 청일전쟁, 만주사변, 한국전쟁 등을 야기한 분쟁지역이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지정학적 위치에 기인한 상호 반목과 이로 인한 상처를 극복하고 상호 호혜와 교류를 통해 새로운 접촉을 시도해 나가고 있다. 
 그러한 현상 가운데 하나가 바로 문화예술의 교류이다. 주지하듯이, 광주비엔날레를 비롯하여 상하이비엔날레, 후쿠오카트리엔날레 등 한ㆍ중ㆍ일 3국에서 열리고 있는 예술행사는 그러한 교류를 촉진시키는 촉매들이다. 3국의 예술가들은 이처럼 다양한 예술행사를 통해 자신의 예술적 아이디어를 구현하고, 그런 가운데 예술을 통한 인류 평화의 증진이라는 이상을 실현하고 있다. 
 [디지털 트라이앵글-한ㆍ중ㆍ일 미디어아트의 오늘(Digital Triangle-Media Art Today in KoreaㆍChinaㆍJapan]전은 2천년 이후 동아시아에서 형성된 미디어 아트의 역사와 현황을 한ㆍ중ㆍ일 3국 작가들의 작품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는 의도에서 기획되었다. 특히 이번 전시는 중국의 정상급 전시기획자겸 미술평론가인 황두(黃篤)와 한국의 미디어아트 전문기획자인 서진석, 그리고 윤진섭이 공동기획자로 나서 호흡을 맞춘다. 
 한국에서는 2천년에 출범한 [미디어시티 서울(Media City_Seoul)]이 미디어 아트의 존재를 본격적으로 알린 신호탄이었다. 물론 그 전에도 개인적인 차원에서 미디어 아트에 대한 관심을 갖고 꾸준히 작업을 펼친 선구적 작가들이 있었지만, 이처럼 대규모로 미디어 아트에 대한 공론화가 이루어진 적은 없었다. 그 전통을 잇는 전시가 바로 갤러리 루프의 [Move on Asia]이다. 이 전시는 지난 10여 년간에 걸쳐 아시아 지역의 미디어 아트 작가들을 결속시키는 구심점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아시아의 미디어 아트를 서구에 알리는 창구역할을 해 왔다. 갤러리 루프의 관장 서진석이 지휘하는 이 전시는 작년에 독일의 칼스루헤에 위치한 세계적인 미디어 아트 미술관인 ZKM에 초대돼 국제 미술계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인정받은 바 있다. 
 이 전시는 미디어 아트의 전문기획자로 비단 한국뿐만 아니라 아시아의 미디어 아트를 세계적으로 알리기 위해 동분서주하다 급서(急逝)한 고(故) 이원일(1960-2011) 큐레이터의 영전에 바치는 헌정 전시이다. 평소에 ‘행복한 미술 전투기 조종사’를 자임하며 정열적인 활동을 펼쳤던 그는 어느 날 거짓말처럼 자신을 아끼던 동료들의 곁을 떠났다. 제6회 상하이비엔날레 공동감독(2006), 타이페이 현대미술관 주최 [디지털 서브라임-새로운 우주의 주관자]전 초빙감독(2004), ZKM 창설 10주년 기념 [Thermocline of Art:Asian Contemporary Art-New Asian Waves]전 큐레이터(2007), 스페인 세비야 비엔날레(2008) 공동감독 등을 역임한 그의 경력이 말해주듯이, 이원일은 비행기 안에서 보낸 시간이 더 많다고 할 정도로 전시기획자로서 후반의 삶을 분주히 살았다. 결코 길지 않은 그의 생애 중 말년의 삶은 주로 국제적 활동에 치중되었다. 비록 그토록 갈망했던 뉴욕의 현대미술관(MoCA)에서의 아시아 미술전은 끝내 실현을 보지 못했지만, 전시기획에 바친 그의 열정과 개척자적 정신은 후대에 길이 빛나게 될 것으로 믿어 의심치 않는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