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흙의 연금술사, 그 도전과 확장의 연대기

윤진섭

흙의 연금술사, 그 도전과 확장의 연대기

                                    윤진섭(미술평론가) 

Ⅰ.
 김지아나에게 있어서 흙은 ‘빛’으로 그림을 그리고 싶은 자신의 열망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이다. 도예가가 아니라 단지 흙을 다루는 예술가로서 빛에서 받은 영감을 어떻게 표현하느냐 하는 문제에 고심하던 차에 흙이 지닌 무한한 조형적 가능성에 매료돼 흙의 예술에 빠져들었다. 김지아나의 ‘흙의 회화’는 그렇게 해서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김지아나의 ‘흙의 회화’는 묽게 푼 도자 흙을 붓에 듬뿍 묻혀 석고판 위에 그리는 것이 첫 번째 단계이다. 석고판 위의 흙이 마르면 이를 떼어나 가마에 넣고 약 1250℃에서 구워낸 다음, 이를 깨 자디 잔 파편으로 만들어 판면에 붙이는 과정을 거쳐 완성된다. 
 이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김지아나는 수많은 실험을 반복, 최근에 이르러서야 만족할만한 성과를 얻어냈다. 흙으로 그림을 그린다는 발상에서 출발, 이를 실천에 옮겨 원하는 효과를 얻기까지에는 무한한 인내와 행위의 반복이 필요했다. 석고판 위에 흙을 듬뿍 묻힌 붓으로 그림을 그려 얻어낸 흙판을 가마에 넣어 소성시키고, 다시 이를 깨서 구멍의 크기가 서로 다른 체에 걸러 다양한 크기의 흙편을 만드는 힘겨운 과정을 반복해야 했던 것이다.  
 마치 얇은 계란 껍질을 으깬 것처럼, 예리한 단면을 지닌 무수한 형태의 흙편들은 우주에 존재하는 삼라만상의 유비로서 판상(板上)에서 하나의 소우주를 이룬다. 그것은 70억 명에 달하는 지구촌 인구의 축약일 수도 있고, 아니면 형식적 가치로서의 단순한 집합의 미(美)일 수도 있다. 수화 김환기가 고향에 두고 온 친구와 친지들을 생각하며 무수한 청색 점들을 찍어나갔듯이, 김지아나의 형태를 달리하는 숱한 흙편들은 수 없는 현상들이 존재하는 현상계를 통해 보편적 미의 원리 혹은 질서를 추출하는 한 방편일는지도 모른다.
 한국의 전통 창호에서 보이는 반투명한 빛의 효과가 잘 드러나고 있는 김지아나의 ‘흙의 회화’는 원래는 본차이나의 반투명한 빛의 효과에서 착안하여 시작됐지만, 나는 그녀의 이 작업을 창호지로 이루어진 한국의 전통 창호(窓戶)와 연결시키고 싶다. 알다시피, 한국의 전통 창호는 강렬한 햇살을 한 꺼풀 중화시켜 은은한 효과를 얻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거기에는 조상의 지혜가 담긴 중용의 정신이 배어있다. 우연의 일치 일는 지는 모르겠지만, 그녀의 ‘흙의 회화’가 요즈음 국제적으로 회자되고 있는 한국의 단색화(Dansaekhwa)를 연상시키는 것은 나만의 지나친 속단일까? 한국의 후기 단색화 작가들이 다양한 산업재료를 사용하는 최근의 추세를 감안한다면, 아마 김지아나의 이 ‘흙의 회화’ 작품을 이 범주에 넣는다 해도 별 무리는 없을 것이다. 

Ⅱ.
 이미 90년대부터 김지아나는 이른바 원소로서의 사물의 근본적인 형태와 나타난 현상과의 관계를 염두에 두고 작업을 했다. 그리고 그것이 구체화된 것은 구(球)와 디테일로서의 파열(破裂)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서는 보다 상세한 설명이 필요하다. 이를테면 2002년에 그녀가 제작한 설치작업 <터네이도(Tornado, 800x250cm)>는 이의 대표작이랄 수 있는데, 이 작품은 마치 하늘을 향해 용솟음치며 오르는 터네이도를 연상시킨다. 벽면에 설치된 이 작품은 지름이 9센티미터에 달하는, 마치 계란을 연상시키는 수 백 개의 볼(bowl)들이 모여 이루어진 것이다. 흰색과 검정색으로 이루어진 이 볼들은 거대한 벽면에 부착돼 장관을 이루었다. 백과 흑의 적절한 배치, 검정색의 볼들이 하나의 띠를 이루어 상승하지만 위로 갈수록 넓게 퍼지면서 흑백이 섞이는 연출방식은 설치작업의 진수를 보여주었다. 이 시기 그녀의 대표작이랄 수 있는 <터네이도>는 우주만물의 원소로서의 구(球)와 그것이 어떤 구체적인 동작을 취할 때 나타나는 현상의 결과를 보여준다. 가령 이 설치작업의 기본을 이루는 하나의 유니트로서의 구(球)의 자세한 형태를 보자. 일반적으로 반구(半球)의 형태를 취하고 있는 볼들은 마치 물방울이 어떤 사물에 부딪칠 때 나타나는 물리적 형태(현상)를 순간적으로 포착한 것처럼 보인다. 그리고 물방울이 튈 때의 순간적인 모습은 실제 그녀의 작품에서는 볼의 상부(上部)에 길게 늘어진 여러 갈래의 띠의 형상으로 나타난다. 그것은 과연 실제일까? 그러나 사실 그러한 의문은 단지 의문에 불과하다. 그것은 우리의 연상에 지나지 않을 뿐, 사실 그것은 묽게 갰을 때 흘러내리는 흙의 물리적 현상이나 불의 소성 과정에서 나타난 우연의 효과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즉 볼(bowl)의 구형(球形)이 작가의 조형의지가 담긴 원소적 형태라면 상부의 파형(波形)은 우연적 효과에 의한 결과물인 것이다. 
 이 시기의 볼 작업이 인간의 눈의 착시현상이나 연상의 심리적 효과에 주목한 것이었다면, 그 이후에 나타난 흙편 작업은 사물의 실제에 관한 것이다. 김지아나의 흙편을 이용한 ‘흙의 회화’ 작업은 실제의 사물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보다 즉물적이며, 비(非)현상적이다. 그녀는 더 이상 사물의 유사성에 입각한 현상을 다루지 않는다. 이 시기 그녀의 태도는 “당신이 보는 것이 당신이 보는 것이다(What you see is what you see)”라는 프랭크 스텔라(Frank Stella)의 유명한 말처럼, “당신이 보는 흙편들이 바로 당신이 보는 흙편들이다”는 명제를 성립시킨다. 그리고 그 이면에는 ‘사물이 사물자체로 말하게 한다’는 얼핏 곽인식의 발언을 연상시키는 현대미술의 정수가 담겨 있다. 도대체 동서양을 막론하고 우주적 원소 가운데 하나로 여겨져 온 흙이 김지아나라는 작가를 통해 어떤 과정을 거쳐 오늘에 이르렀는가? 이 세상에 흙을 다루는 예술가는 헤아릴 수 없이 많다. 그렇다고 할 때 김지아나를 독자적인 세계를 갖춘 작가로 인식시키기 위해서는 기존의 흙 예술(Clay Art)의 일반적 추세와는 다른 그녀만의 독자성을 해명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Ⅲ.
 현대도예의 일반적 특징은 이른바 쓰임(用)의 기능에서 벗어나 조형요소 자체의 자율성을 추구한다는 점일 것이다. 회화가 모방(mimesis)의 오랜 전통으로부터 벗어나 회화적 자율성을 추구한 것처럼, 현대도예 역시 자율성을 추구하는 가운데 점차 다른 장르와의 융합을 시도한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른바 도예와 조소가 결합돼 도조(陶彫)라는 새로운 장르가 탄생한 경우가 바로 그것이다. 다소 구태의연한 용어를 쓰자면, 순수미술의 장르인 조소와 응용미술의 한 장르에 해당하는 도예가 합쳐져 도조라는 용어가 탄생한 이면에는 실용을 벗어나고자 한 도예가들의 열망이 담겨있다. 그리고 그것은 생활에의 쓰임(用)이란 전통적인 도예의 정의에서 벗어나 도예가의 자기(自己) 표현이란 순수지향적 목적이 깔려있음을 말해준다. 이 자기 의식이 바로 근대성(modernity)의 다른 표현이지만, 후기 근대성(post-modernity)이 운위되는 요즈음엔 이 의식을 넘어 타 장르와의 과감한 융합과 통섭을 시도하고 있어 흙 예술의 새로운 지평이 기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김지아나는 흙 예술이 처한 현 상황에서 미래지향적인 작업을 하고 있는 대표적 작가 중 한 사람이다. 그녀가 최근에 시도하고 있는 LED를 이용한 미디어 작업은 흙의 예술에 시간성의 개념을 도입한 것이다. “빛으로 그림을 그리고 싶다”는 그녀의 염원은 마침내 센서와 디머에 의한 상호작용적(interactive)인 미디어 작품을 탄생시켰다. 관객이 다가가면 작품 속에 내재된 LED 구조물이 빛을 발하거나, 타이머에 의해 셋팅된 LED 구조물이 스스로 빛을 발하다 점차 사라지는 과정(process) 중심의 작업으로 전환되기에 이른 것이다. 이 일련의 설치 작업들에는 흙편이란 실제의 사물에 입각하되 거기에 LED 구조물이 촉발하는 현상적 측면, 즉 관객의 개입과 같은 상호작용성(interactivity)이나 LED 자체가 발광하는 데서 비롯되는 현상들을 촉발시키는 상황성이 부여돼 있다. 즉 김지아나는 단순히 제작자로서의 전통적 개념에서 벗어나, ‘상황부여자(performer)’로서의 보다 진취적이며 실험적인 예술가의 영역을 개척하고 있는 것이다. 그녀가 2001년에 제작한 <시간(Time)>은 검정 볼(bowl)의 그림자를 시간의 추이에 따라 감광지에 기록, 그 위에 실제의 검정 볼을 올려 놓은 것으로 ‘상황 부여자’로서 자신의 아이디어를 실천에 옮긴 작품이다. 관객들은 이 작품에 나타난 그림자를 보면서 실제의 그림자로 인식할 수 있으나, 실제로는 미리 설정된 허상(그림자가 포착될 당시는 실제였을)을 보고 있는 셈이다. 
 
Ⅳ. 
 그러나 특정한 질료로 이루어진 흙을 다루건, 빛이 빚어내는 현상을 다루건 간에 김지아나가 작업의 가장 중심에 두고 있는 것은 역시 흙이다. 흙의 예술가로서 김지아나는 무엇보다 흙의 질료적 양태에 주목한다. 특히 흙이 지닌 가소성(可塑性)에 주목하여 다양한 형태의 변형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인다. 1밀리 미만의 두께란 과연 어떤 것일까? 또 그것에 색료를 첨가할 때 소성과정을 거쳐 나온 실제의 구체적인 색의 양태는 과연 어떤 것일까? 차라리 연금술에 가깝다고 해야 온당할 질료의 이 비가시적 측면은 흙의 예술을 신비스럽게 하는 요인이지만, 바로 그 점이 그녀로 하여금 이 예술에 빠져들게 하는 매력이기도 하다. 어렵게 얻은 무수한 흙편들을 일일이 판면에 붙이는 과정도 힘들기는 매일반이지만, 그렇게 해서 얻어진 색의 계조(gradation) 위에 LED 불빛이 서서히 밝아지거나 다른 색으로 전환하면서 나타나는 환상적인 빛의 효과는 보는 자에게 말할 수 없는 미적 쾌감을 가져다준다. 김지아나가 예술가로서 희열과 보람을 느끼는 부분이 있다면 바로 이점일 것이다. 흙의 예술에 관한 한, 새로운 영역에 도전하여 예술의 융합과 통섭을 기하는 그녀의 작가적 태도를 눈여겨 봐야 할 필요가 여기에 있지 않나 한다. 과학기술의 발전을 예술의 영역으로 끌어들여 미답(未踏)의 길을 개척해 나가는 김지아나의 예술적 의지가 돋보이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할 것이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