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지요상 / 수묵화의 전통적 형식을 현대적 변용

하계훈

작가와 관람객은 대부분의 경우 작품을 통해서 만난다. 물론 예외적으로 작가와 관람객이 직접적으로 만난 이후에 작품을 매개로 양자간의 유대와 교류가 이어지는 경우도 있지만 그와 같이 인적 소통이 선행하는 빈도는 전시장이나 지면을 통한 작품과 관람객의 만남과 소통보다 훨씬 적을 것이다. 필자와 지요상의 만남도 먼저 작품을 매개로 이루어졌다. 사람과 사람 사이의 만남에서 첫인상이 상대방에 대한 평가에 적지 않게 영향을 미치는 것처럼 지요상의 작품은 첫인상으로서 상당히 현대적이면서 강렬한 느낌을 자아냈었다. 그러한 까닭은 무엇보다도 명암대비가 극대화된 짙은 먹색의 인물상이 화면을 가득 메우고 있는 작품이 주는 힘에 있을 것이다. 지요상의 작품은 대형화면이 상하로 구분되어 인물의 두상부분이 윗부분에 표현되고 그 모습이 물에 비친 듯이 아랫부분에서 다시 비춰지는 형식의 작품들이 대부분이다. 작가는 배경을 생략한 채로 주로 눈을 감은 인물의 전면이나 측면을 정밀묘사 하듯이 꼼꼼하게 표현하고 하단부에서 거울에 투영된 이미지 형식으로 그 모습을 다시 반복하는데 이처럼 중요한 모티브를 반목하는 방법은 미술 뿐 아니라 음악이나 문학에서도 주제를 강조하기 위하여 흔하게 사용되어 온 대표적인 방법이다.

그렇다면 작가가 반사적 투영이라는 반복을 통해 강조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일까? 이미 여러 이론가들의 분석과 작가 스스로의 언급으로 밝혀진 것처럼 작가는 중국의 도가사상이나 철학에 자신의 작품의 정신적 근거를 두고 있다. 즉, 인물상과 그 반사 이미지는 실물과 허상, 주체와 객체와 같은 상반되는 개념의 동시적 대비를 의도한 것이며 장자의 호접몽(胡蝶夢)에서처럼 꿈과 현실, 주체와 객체 사이의 모호한 경계를 넘어서는 경지를 천착하며 결국 모든 사물의 이치가 주체와 객체, 너와 나의 구분이 의미 없는 통합적 인식과 사고의 틀에서 거시적으로 작동된다는 것을 깨닫게 해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지요상의 작품은 형식상으로 뿐만 아니라 작품에 함축된 주제 면에서도 강렬하고 무게 있는 논리를 담고 있다. 하지만 작품과 관람객과의 만남을 통해서 이러한 메시지가 효과적으로 전달되고 있는가, 관람객들은 자신의 작품에서 무엇을 읽으려 하는가에 대해서는 한 번쯤 재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어느 평론가가 지적한 것처럼 지요상의 작품은 동양 회화의 원류라고 할 수 있는 중국화의 남종화와 북종화 사이의 차이점에 대입하여 고찰해보면 아이러니컬한 요소를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지요상이 채색보다 수묵 기법을 사용하는 것은 남종문인화적 전통과 그 맥을 연결할 수 있겠으나 정밀한 묘사로 작품을 구성하는 태도는 남종문인화보다는 북종화의 전통에 더 가깝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지요상의 작품은 형식상으로 절충주의적인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다른 시각에서 이야기하자면 수묵화의 전통적 형식을 교묘하게 전복시키면서 이를 현대적으로 변용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만일 작가가 자신의 작품을 어느 한 가지 장르에 국한시키지 않고 있다면 우리는 지요상의 작품을 하나의 회화로서 형식주의적인 관점에서는 사실주의적인 인물화로, 그리고 내용적인 면에서는 우리의 삶고 사유를 관조하는 태도를 반영하는 주제를 담은 작품으로 분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작가는 이러한 형식과 주제를 하나로 묶는 방법으로서 높은 노동 강도가 요구되는 세밀화적 성격의 묘사방법을 선택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작가가 앞으로 해결해야 하는 문제는 인물화가 불가피하게 함축하는 사적 내러티브나 역사성을 배제하면서 대형 인물상을 통하여 노장사상이나 불교의 사상을 작품 속에 효과적으로 담아내고 그것을 다시 관람객에게 무리 없이 전달하는 일일 것이다. 이러한 작업이 지금까지의 작업을 통해 성공적으로 이루어져 왔는가에 대해서는 누구보디도 작가 스스로가 자문해보는 기회를 가져야 할 것이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