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서문│금보성展 / 한글을 확장하는 조형 실험과 창발성의 관계 미학

김성호

한글을 확장하는 조형 실험과 창발성의 관계 미학 


김성호(Kim, Sung-Ho, 미술평론)

작가 금보성은 한글을 테마로 오래전부터 회화 및 조각 작업에 천착해 왔다. 이번 서서울예술교육센터의, 체험프로그램과 전시가 맞물린 기획 프로그램인, 《하늘을 나는 방파제》는 작가에게 있어 ‘평면-입체-설치’로 전개되는 한글에 대한 그간의 조형적 실험을 위한 특별한 장이 되었다. 그도 그럴 것이 그는 이 전시에서 최근에 부쩍 관심을 기울여 온 한글의 입체 조형화를 꾀한 설치 작품들을 대대적으로 선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테트라포드(tetrapod)’라 불리는 ‘호안(護岸)용 블록’ 혹은 ‘방파제 안전석’을 튜브(tube)형의 거대한 공기 구조물로 조형화한  작품들이 그것으로, 작가 금보성은 이번 전시에서 70여 개에 달하는 ‘방파제 블록 형상의 공기 조형물’을 출품했다. 좌우 어디에서 보더라도, 한글의 자음, 시옷(ㅅ)을 닮아 있는 이 구조물들을 대규모로 설치한 이번 전시는, 그에게 있어, 새로운 한글 조형에 대한 확장 가능성을 탐구하는 하나의 실험이자, 그간의 한글 조형에 대한 작품 세계를 중간 점검하는 장이 된다.    



I. 한글의 조형 실험과 ‘시옷’과 ‘사이시옷’의 메타포  
이번 전시에서 작가 금보성은 1미터 크기의 ‘방파제 블록 형상의 공기 구조물’ 수십 개를 서서울예술교육센터의 야외 수조 위에 매달거나, 6미터, 8미터 등의 대형 구조물을 주변 잔디 위에 올려놓았다. 게다가 교육센터 실내에 소, 중, 대의 다양한 크기의 구조물을 배치하는 것도 그는 잊지 않았다. 가히 작가 금보성의 작품만으로 구성된 ‘금보성에 의한, 금보성의’ 대규모 개인전이다.   
물론 출품작들은 모두 한글 자모(字母)의 ‘ㅅ’자 모양의 공기 구조물들이다. 따라서 각기 크기를 달리 하는 출품작들은 자모 ‘ㅅ’의 쌍둥이들이자, 형제, 자매들이며, 이웃이라 해도 무방할 것이다. 주지하듯이, 여기서 ‘자모’란 “음소 문자 체계에 쓰이는 낱낱의 글자” 혹은 ‘낱자’를 의미한다. 즉 자음 14자, 모음 10자로 구성된 현행 한글의 낱자이다. 특히 자모의 일곱째 글자인 ‘ㅅ’은 자음(子音)의 기본자(ㄱ, ㄴ, ㅁ, ㅅ, ㅇ) 중 하나로, 가획자(加劃字 / ㅈ, ㅊ)와 병서자(竝書字 / ㅆ, ㅉ)로 파생되는 글자들의 기본자이자 우두머리이다. 
그렇지만 ‘ㅅ’은  결코 혼자서 기능하지 못하는 존재이기도 하다. 한글 학자 주시경이 언급했듯이, 자음이란 “소리는 있으나 스스로 나지 못하고 모음(母音)에 의존한 뒤에야 나는 것”이다. 생각해 보라! 모든 글자는 자음과 모음이 만나 이루어진다. 물론 아랍문자, 히브리문자, 시리아문자가 자음문자로 알려져 있지만, 이들 문자들에도 짧은 선, 점, 원 등 보조 기호를 자음 기호의 위나 아래에 놓아서 모음을 표기함으로써 소리를 유도한다. 그러한 차원에서 엄격히 말해, 순수한 자음문자는 없다고 해도 무방할 것이다. 
들어보자! 모음은 ‘폐에서 나온 공기가 아무런 장애도 받지 않고 자유로이 통과하되 단지 혀나 입술의 움직임에 의해 여러 소리로 변화하는 홀소리’이지만, 자음은 ‘목 안 또는 입 안에서 장애를 받고 나는 닿소리’이다. ‘ㅅ’ 역시 그러하다. ‘ㅅ’은 “목젖으로 콧길을 막고 혀의 앞바닥을 입천장 앞바닥 가까이에 마주 닿을락말락하게 올리며 내쉬는 숨으로 그 사이를 마찰하여 내는 소리”이다. 따라서 발음기관상으로 혓바닥소리, 곧 설면음(舌面音)이며, 발음법상으로 갈이소리, 곧 마찰음(摩擦音)이며, 조음상(調音上)으로는 잇소리, 곧 치음(齒音)이다. 즉 ‘ㅅ’은 소리는 있으되 스스로 나지 못하고 ‘어미 소리’에 기대어 존재하는 ‘아들 소리’인 것이다. 
여기에 작가 금보성의 ‘ㅅ’자 모양의 공기 구조물이 지니는 관계의 미학이 있다. ‘ㅅ’은 ‘ㅈ, ㅊ. ㅆ, ㅉ’이라는 마찰음과 파찰음을 아우르는 그룹의 기본자이자 우두머리이지만, 모음 없이 기능하지 못하는 존재이다. 그래서 ‘ㅅ’은 자신이 아닌 모음이라는 타자(他字)를 갈망한다. 
그러한 까닭일까? ‘ㅅ’이 만드는 글자의 조형상 의미론이 여기에 스스럼없이 개입한다. 작가 금보성이 언급하고 있듯이, ‘ㅅ’은 양과 음, 자아와 타자와 같은 두 개별자가 만남을 이룬 사람의 한자 ‘인(人)’을 닮아 있다. 혼자 존재할 수 없다는 자음의 정체성을 상징적으로 보여 주는 해석이라고 하겠다. 특히 ‘ㅅ’은 ‘사이시옷’으로 불리는 역할을 부여받아 왔는데, 이것은 “두 단어 또는 형태소가 결합하여 만든 복합명사(합성명사)의 두 요소 사이에 삽입되는 시옷”을 지칭한다. ‘나뭇잎, 옛일, 베갯잇, 깻잎, 아랫집, 잇자국, 햇볕, 혓바늘, 빗물’과 같은 것이 그러한 예들로, ‘ㅅ’은 사물과 사물 사이에서 주체와 타자 사이에서 서로를 연결하는 ‘사이시옷’의 역할을 도모한다. ‘사이시옷’은 다른 명사들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고 그들 사이를 매개하면서 그들을 하나의 주인으로 만들어 주는 존재이다. 
작가 금보성이 ‘공기 구조물’의 형상을 빌려온 테트라포드 역시 마찬가지이다. 그것은 방파제와 바다 사이에서, 바다와 육지 사이에서 서로의 경계를 지키면서 서로를 연결하는 매개자의 역할을 도맡는다. 보라! 그가 공기 구조물이 지닌 네 개의 다리를 주(主)색과 다른 색들로 각각 도포한 것도 이러한 의미를 상징적으로 드러낸다. 
따라서 테트라포드는 홀로 존재하지 않는다. 그 막중한 역할을 어찌 혼자 감당할 수 있겠는가? 하나의 테트라포드는 방파제를 둘러싼 무수한 테트라포드와 함께 존재한다. 그것은 마치 들뢰즈(Deleuze)와 가타리(Guattari)의 철학적 메타포인 ‘리좀(Rhyzome)’처럼 언제나 복수체로 존재할 때 존재의 의미를 발휘한다. 자신을 드러내지 않고 집단 속에서 자신의 역할을 충실히 할 따름이다. 테트라포드가 방파제를 드러내고 자신이 숨는 것처럼 말이다. 
그런 면에서 이번 전시의 《하늘을 나는 방파제》라는 제목은 다분히 상징적이다. 이러한 까닭에, 테트라포드나 그 형상을 고스란히 따라 만든 공기 구조물은 작가 금보성의 이번 전시에서 ‘관계 미학’을 드러내는 하나의 훌륭한 메타포로 자리한다.  





II. 확장하는 비조각 
‘하늘을 나는 방파제’라고? 그의 ‘공기 구조물’ 혹은 ‘공기 조각’은 공기를 가득 품은 채 하늘 위를 부유한다. 원래의 테트라포드가 콘크리트 구조물이었음을 상기할 때, 그의 조각은 육중한 사물로부터 가벼운 조각의 양상으로 변환된 현대적 ‘비(非)조각’이라 할 수 있겠다. 
보라! 그의 조각은 테트라포드 본연의 물성을 드러내는 덩어리(mass), 질감(texture), 부피(volume) 등의 조형 요소를 전복하고 새로운 양태로 변환된다. 가히 ‘비조각’이라 할 만하다. 그의 ‘조각/비조각’은 테트라포드를 형상으로만 재생(regenarate)할 뿐, 무거운 구조물로부터 가벼운 구조물로 이동시킨 전환(transform)의 과정을 거치고 예술교육센터라는 장소적 맥락(context) 속에 새롭게 위치시키는 전유(appropriate)의 조형 방식을 종합적으로 실천한다. 
구체적으로 작가 금보성은 ‘입체화된 ‘ㅅ’자를 닮은 테트라포드의 외형을 고스란히 빌려온 동형의 구조물들을 전시 맥락 속에 새롭게 위치시킨다. 그는 동형의 공기 구조물을 서서울예술교육센터의 ‘실내외 공간’에 멀티플(multiple)의 방식으로 매달거나 올려놓고 있는데, 이것은 작가 금보성의 작품 세계를 해석하는데 있어 하나의 관건이 된다. 그의 전시 《하늘을 나는 방파제》, 더 정확히 말해 그의 전시 출품작 〈커넥트-방파제(Connect-tetrapod)〉(2018)가 ‘무엇을 만들 것인가’라는 창작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어떻게 보여줄 것인가’에 대한 전시에 대한 관심으로 초점을 이동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 면에서, 작가 금보성이 ‘재생-전환-전유’를 실천하는 조형 방식은 매우 유의미하다. 이러한 전시의 방식은 마치 미니멀 아티스트인 모리스(R. Morris)가 같은 모양의 L자형 빔을 눕히고 세우고 걸쳐 놓는 방식으로 조각의 설치적 언어를 확장했던 방식과 닮아 있다. 이와 같은 ‘장(field)’이라는 컨텍스트는 창작자의 작품 세계를 더듬을 수 있는 매우 주요한 공간이다. 
크라우스(R. Krauss)의 논문, 「확장되는 영역(expanding field)에서의 조각」(1979)은 ‘확장되는 미술’에 관한 논의에 있어서 이러한 ‘장, 혹은 영역’의 주요성을 강조한다. 이 논문에서 크라우스는 조각이 장르 간의 경계를 허물고 최종적으로 ‘장소 구축(Site-construction)’으로 확장하고 있는 다원주의적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문화적 맥락(context)의 주요성을 강조한다. 이 맥락이란 한편으로는 상황(situation)이며 한편으로는 영역/장(field)에 대한 변주이다. 
주지할 것은, 최종적으로 ‘장소 구축’이라는 장(field)을 만나기 위한 노정 중에, 조각이 필연적으로 맞닥뜨리게 될 ‘풍경(landscape)’과 ‘건축(architecture)’과의 통합(complex)을 설명하기 위해서, 크라우스가 아님(not)이라는 부정의 전략을 취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즉 조각이 풍경과 건축이라는 전혀 엉뚱한 장르와 만나기 위해서는 그것들에 ‘아님’의 옷을 입혀 '비풍경(not-landscape)'과 '비건축(not-architecture)'으로 만들어 비교적 조각과 닮아 있는 중성화의(neuter)의 모습을 만드는 전략을 취하고 있는 것이다.   
작가 금보성은 크라우스의 해석을 역으로 취한다. 즉 〈커넥트-방파제〉라는 조각이 풍경(방파제가 있는 바닷가)과 건축(서서울예술교육센터)을 만나기 위한 단계에서 스스로를 비조각(not-sculpture)으로 변환하여 삼자 간에 중성화 전략을 취한 것이다. 조각과 만나는 모든 것들을 부정하면서 중성화를 만드는 크라우스적인 시도를 역으로 취한, 작가 금보성은 처음부터 ‘조각’ 스스로를 부정하는 ‘비조각’으로 출발시킴으로써 자신의 조각을 모든 것(들)과 ‘중성화의 장(field)’ 안에서 만날 수 있게 만든다. 그의 최근의 한글 입체 조형을 우리가 ‘확장하는 비조각’이라 정의하는 까닭이다. 




III. 관계 미학의 창발성   
작가 금보성의 조형 설치작인 〈커넥트-방파제〉가 함유하고 잇는 ‘사이시옷의 메타포’, ‘확장하는 비조각’은 모두 ‘관계의 미학’을 가시화하는 동인들이다. ‘환경-작품-관객’, ‘건축-작품-풍경’뿐 아니라 주체/타자, 사물/사물 사이에서 그의 작품은 관계의 미학을 작동시킨다. ‘관계의 미학’이라는 것이 큐레이터 니꼴라 부리요(Nicolas Bourriaud)의 청년기 저작인 『관계의 미학(Esthétique relationnelle)』(1998)으로부터 촉발된 것이긴 하지만, 사회학적 미학에서는 이미 오래된 주요한 담론이다. 
그는 이 책에서, 예술가가 생산하는 것은 무엇보다 미학적 대상을 통해 만들어지는 인간과 세계 사이의 관계들이라고 피력하면서 “인간 상호 작용의 영역과 사회적인 맥락을 이론적 지평으로 삼는 예술”을 ‘관계적 예술’로, 그것을 통해 발현되는 것은 ‘관계적 미학’으로 정의한다. 그렇다. 오늘날 예술은 이미 콜라보, 연합, 통합, 그리고 융복합의 예술이며, 오늘날 예술의 장은 작가, 관객, 시장 등이 서로 상호 작용하는 영역이다.  
우리는 여기서 작가 금보성의 작품  〈커넥트-방파제〉가 상기하는 관계의 미학을 읽는다. 그의 작품에서 ‘커넥트’란 그의 ‘공기 조각’이 단수가 아닌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복수로서의 존재임과 동시에 ‘무엇과 무엇’ 혹은 ‘누구와 누구’ 사이의 매개의 역할을 자임하고 있다는 사실을 암시적으로 드러낸다. 그것은 그의 ‘공기 구조물’ 혹은 ‘공기 조각’이 뿌리를 내리고 있는 ‘언어적 기호’인 ‘ㅅ’이 함유하고 있는 ‘사이시옷’으로서의 메타포를 우리에게 강력하게 상기하게 만든다.   
특히 전시가 맞물린 이번의 기획 프로그램인  《하늘을 나는 방파제》에서 작가 금보성은 유치원, 초등학생들과 그 가족을 대상으로 일련의 ‘창작 체험 및 미술 교육 프로그램’의 강사로 나서 그의 작품이 견지한 이러한 상호 작용과 ‘관계의 미학’을 전한다. 체험 프로그램의 참여자들은 작가 금보성의 작품을 마분지를 접어 잇는 과정을 통해서 미니어처 형식으로 재생하면서 작가의 창작을 체험함과 동시에 그가 선사하는 ‘관계의 미학’에 동참한다.


이러한 일련의 교육 프로그램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가? 작가의 창작을 대리 체험하는 ‘놀이와 유희로서의 예술’에 대한 단순한 호기심의 충족? 작가 금보성이 주최 측과 더불어 주도하는 ‘체험 및 교육 프로그램’은, 참여자들로 하여금 ‘나/너/그(녀)/’라는 만남을 ‘우리/너희들/그(녀)들’이라는 만남으로 확장하게 만들면서, 상호 작용의 ‘관계 미학’과 더불어 ‘창발성(Emergent Properties)’의 가능성을 스스로에게 질문하게 만든다. 
그렇다면 ‘창발성’이란 무엇인가?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반 영국에서 활동한 브로드(C. D. Broad)와 사무엘 알렉산더(Samuel Alexander)와 같은 창발론자들로부터 기원하는 이것은 글자 그대로 ‘불시에 솟아나는 특성’이다. 이것은 ‘원초적이고 높은 수준의 인과적 상호 작용이 기초적 하위 층위가 아닌 다른 층위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다. 즉 ‘하위 층위의 개별 요소에서는 특성이 별반 없던 것이 집단을 이루면서 상위 층위의 전체 구조에서 폭발적으로 어떠한 현상을 발생시키는 것’을 지칭한다. 이때 개별 요소들로 구성된 복잡한 전체 구조는 ‘개별 요소들의 합 이상의 존재’로 드러난다. 
즉 창발성이란 존재론적 측면에서 하위 층위가 아닌 층위에서 발생하고, 그 자체로 특수한 지위를 차지하면서 그것이 근본적인 하위 층위로 결코 되돌아가지 않는 ‘환원 불가능성(irreducibility)’을 그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물의 경우처럼 원자 상태에서는 존재하지 않던 성질이 분자의 단계로 통합되면서 나타나는 창발성은 대표적이다. 개미나, 꿀벌이 개체 수준에서 보이지 않던 역동성을 집단성으로 확장되면서 드러내는 현상도 이러한 창발성과 관계한다.
그런데 이 창발성이란 또한 어떠한 속성이 창발될 것인지를 가늠할 수 없다는 ‘예측 불가능성(unpredictability)’을 그 특징으로 한다. 개미탑을 쌓거나 벽을 허물수도 있는 집단의 힘은 놀라운 것이다. 그 창발성의 정도나 규모 역시 가늠할 수 없다. 
이러한 차원에서 참여와 교육 프로그램이 단지 재미와 유희로서 족한 것일까? 창발성을 도모하는 하나의 프로젝트가 될 수는 없는 것인가? 작가 금보성은, 서서울예술교육센터의 기획 프로그램인, 《하늘을 나는 방파제》를 통해서 자신의 작품인 〈커넥트-방파제〉가 지향하는 ‘한글의 조형 실험’과 더불어 ‘시옷과 사이시옷이 함유하는 메타포’, ‘확장하는 비조각의 가능성’을 탐구한다. 뿐만 아니라, ‘관계 미학’과 ‘창발성’에 대한 탐구라는 관점에서 그는 오늘도 작가와 관객의 위치와 역할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도전적인 질문을 던지고 있는 중이다. 
오늘날 미술은 작가만의 고유한 산물이 아니라 관객과의 교감 속에서 완성되는 관계의 예술이라 할 수 있지 않은가? 오늘날 미술교육이란 관객(특히 어린이 세대)의 집단적 창발성으로부터 작가 스스로 예술의 활력을 얻게 되는 상호 작용의 ‘관계의 미학’이 아닌가? ●

출전/
김성호, 「한글을 확장하는 조형 실험과 창발성의 관계 미학」, 전시 서문, (금보성 - 하늘을 나는 방파제, 2018. 6. 1. ~ 8. 30, 서서울예술교육센터)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