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평론 일반│박봉기 인터뷰 / 2018금강자연미술비엔날레 주제전 출품 작가 인터뷰

김성호

2018금강자연미술비엔날레 주제전 출품 작가 박봉기 인터뷰

김성호(Kim, Sung-Ho, 인터뷰어)




김성호 ∥ 박봉기 선생님은 그동안 바깥미술전, 야투의 워크숍, 금강자연미술비엔날레 등 국내의 행사는 물론이고 해외의 환경미술제, 조각프로젝트 등 야외현장예술에 다수 참여해 왔습니다. 한국과 비교하여 외국의 아트프로젝트의 장단점과 그 의미를 소개해 주시죠. 

박봉기 ∥제가 참가해본 자연환경을 기반으로 하는 여러 아트프로젝트들의 주제와 형식, 내용들이 비슷한 부분도 있고 어떤 부분은 서로 다른 특성들이 있어서 한국과 외국의 아트프로젝트 비교점은 분명하지가 않습니다. 단지 유럽의 몇 군데와 일본, 대만의 행사에서 제가 인상적으로 느낀 점은 행사가 이루어지는 지역주민의 적극적 관심과 자원봉사 등의 자발적 참여도가 높다는 점입니다. 동네 사람들의 자부심과 예술가들을 특별하게 생각하는 그들의 마음을 느낄 수가 있었습니다. 또한 유럽이나 미국 등의 아트프로젝트들의 재정지원처가 중앙이나 지방정부 예산뿐만 아니라 지역의 여러 기업들, 개인 등 다양하고 유연한 점이 우리나라와 차이가 있었습니다. 

김성호 ∥ 그렇군요. 선생님의 개인 작업을 위한 작품과 야외현장예술에서의 작품 사이에는 엄밀한 의미에서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고 생각되는데요. 그럼에도 둘 사이에서 추구해 왔던 공통점이 있다면 그것이 무엇인지요? 구체적인 작품을 예로 들면서 설명해 주셨으면 합니다. 

박봉기 ∥장소성이 제 작업의 중요한 요소입니다. 내용이나 재료, 작품의 구성, 제작 과정 등이 현장에 접목되고 발현되는 과정이 전제됩니다. 대부분의 제 작업들이 현장에서 이루어졌고 가끔은 미술관이나 실내전시공간에서 연출되고 전시한 경우도 있었습니다. 실내 전시의 한 사례로 작년 2월 경남도립 미술관 전시를 설명하자면, 출발은 태풍과 비바람에 쓰러진 나무들이 있었던 장소였고 나무들을 작업실로 옮겨서 가공한 후 전시 공간에 연출한 과정으로 완성되었습니다. 여기서 전시 공간의 의미는 작품을 주목하게 하고 세밀하게 드러내는 배경의 역할로 한정됩니다. 관객은 짐작과 상상으로 나무의 경로와 스토리의 흐름을 탐색하게 되죠. 반면에 야외 현장에서의 작품은 주변의 지형지물과 관련되고 작품과 환경이 서로 긴밀하게 간섭하고 작용하는 가운데 작품 관람이 이루어집니다.  
그리고 개인 작업이나 야외현장예술작업이나 자연과 사람, 환경이 상호 작용하는 흐름 안에서 작품을 존재하게 한다는 점이 공통점인 것 같습니다. 


 <Breath> 태풍 차바에 쓰러진 나무들, 와이어, 길이 20m, 2017. 경남도립미술관. 창원. 


<Breath> 표류목, 나사못, 철근, 길이13m 높이7m, 2018, Taoyuan, Taiwan.


김성호 ∥자연미술이 품고 있는 오늘날의 생태미학은 미술 - 자연 - 인간 사이의 문제뿐 아니라 미술과 인류학, 사회학, 공학 등 다양한 학제간 네트워킹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통섭의 차원에서 선생님은 어떠한 분야에 특히 관심을 가지고 계신지요? 실제로 이러한 관심이 실천된 경우가 있다면, 어떠한 것이었는지도 함께 설명해 주시죠. 

박봉기 ∥ 작품을 계획할 때 놀이나 휴식 등 실질적 인터렉티브 작용을 포함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특히 아이들이 놀이의 매개물로써 작품과 소통하는 것에 관심을 가지고 시도를 해 오고 있습니다. 자연에서 자연 재료를 주로 사용해서 작품의 안과 바깥이 서로 열려 있게 만들고 구조를 되도록 견고하게 만들죠.  


<Breath>Tree House Project, 나무, 나사못, 2014, Nagano, Japan.


 <Breath>표류목, 나사못, 길이 13m 높이 7m. 2017, Taoyuan, Taiwan.


<Breath>나무, 나무판, 길이10m, 2012, France.


김성호 ∥ 선생님의 2018금강자연미술비엔날레 출품작은 어떻게 보면 원시적 건축 혹은 동양적인 건축 양식을 닮아 있는 것 같습니다. 그렇게 보일 수 있는 점을 작가의 입장에서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그리고 이번 주제 ‘자연 - 사적 공간 - 셀터’를 해석하면서 이번  출품작을 위해 특별하게 관심을 기울인 부분이 있었다면 그것이 어떠한 것이었는지 설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박봉기 ∥도구나 재료가 제한적인 산간 지역의 전통적 생활 환경에서 불가피하게 적응하면서 만들어진 주거형태가 돌담이나 너와지붕이라고 생각합니다. 재질감과 무기교의 원시적 느낌들, 저절로 조화를 이루는 자연미가 뛰어난 편안한 조형으로 여겨지며 비엔날레 전시 공간인 공주의 작은 숲속에 이런 정서를 불러일으키는 조형작업을 만들고 싶은 마음을 담고 있는 작업입니다. 비엔날레의 주제와 다를 수 있으나, 방문자이며 관람자인 사람들을 위한 공간이라기보다 이미 빈번한 사람들의 발길에 점점 거처를 잃어가는 숲 속의 주인인 작은 동물들을 생각하면서 제 작품이 점차 동물들의 쉼터나 은신처로 쓰이기를 기대하는 마음을 담았습니다. 오래 전부터 그곳에 있었던 것 같은 쇠락함과 작품인 듯 아닌 듯 나무들 사이에 낮고 무심해 보이는 조형을 구현해 본 작품입니다. 

김성호 ∥그렇군요. 제가 보기엔 이번 주제를 잘 해석해 주신 작품 같은데요. ‘숲 속의 셸터’라는 것이 꼭 인간만을 위한 휴식과 피난처가 아니니까요. 사실 동물들이야 자신들이 잘 알아서 휴식과 안식처를 찾고 있을 테지만, 그들과 상호 작용하려는 자연미술가의 마음을 숲 속 동물들이 알아봐주길 바라는 마음입니다. 인터뷰에 응해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출전/
김성호, 「2018금강자연미술비엔날레 주제전 출품 작가 박봉기 인터뷰」, 『2018금강자연미술비엔날레- 숲 속의 은신처, 자연, 사적 공간, 셀터』, 카탈로그,  (2018금강자연미술비엔날레, 2018. 8. 28 - 11. 30) , pp. 127-128.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