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뉴제주일보칼럼6-“예술은 뾰족하다?

변종필

예술은 뾰족하다

뉴제주일보 승인 2022.09.15

 

저지문화예술인마을에는 마을 곳곳에 눈에 띄는 예술 작품들이 있다그 중에서 허공을 찌를 듯 뾰족한 끝부분이 시선을 사로잡는 조각 작품이 있다진입로에서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마우로 스타치올리(Mauro Staccioli, 1937~2018)의 무제라는 작품이다제주현대미술관 소장품으로 2006년 제주에서 개최한 국제행사 제주 국제조각 심포지엄에 작가가 참여해 직접 설치한 작품이다

무제는 활시위를 바짝 당긴 활처럼 팽팽한 긴장감을 지닌 채 하늘을 향한 열린 구조의 형태를 갖고 있다보는 위치와 각도에 따라서는 균형감이나 안정감을 주기도 한다뾰족한 양쪽 끝에 시선을 집중하면 허공에서 두 끝이 서로 만나 커다란 원형이 이뤄지는 것이 상상된다붉은 조각품의 기운이 초록색 자연과 대조를 이룰 때면 뾰족한 끝이 더욱 강렬하게 전해진다.

 

스타치올리는 이탈리아 볼테라에서 태어나 세계적 작가로 활동했다우리나라 대중에게는 올림픽 공원에 설치된 ‘88올림픽이란 작품으로제주도민에게는 ‘2014 예술의 섬 국제공공미술 심포지엄에 참여해 한라산을 모티프로 제작한 서귀포라는 작품으로 친숙한 작가이다그의 작품은 독특한 형태 때문에 사람들에게 초승달’, ‘’, ‘갈고리’ 등의 애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스타치올리는 예술과 사회의 관계성에 많은 관심을 가졌던 조각가이다특히 작품과 장소의 관계성을 중시했다작품을 제작할 때마다 설치할 장소를 면밀히 관찰하는 일을 우선시 했다그에게 장소 places’는 작품의 존재 근거이자 이유였다스타치올리는 자신의 작품을 조각품이 설치된 장소에 깊이 개입한다는 의미에서 개입하는 조각 sculptures-intervention’이라 불렀다작품이 설치될 장소의 역사환경지형 등을 살피고 그에 맞는 작품을 구상하기 때문이다그의 작품들은 간결한 선형 때문에 별반 차이가 없는 듯 보이지만작품마다 시각적 느낌이 다르다기울기방향두께 등에서 차이가 있다특히 뾰족한 끝(머리 혹은 꼬리처리가 조각의 느낌을 좌우한다마치 사람마다 감정이 묻어나는 표정이 있듯이 그의 작품은 선적 표현의 변화만으로 장소에 부합하며 스며든다.


스타치올리의 무제는 긴장 속 안정안정 속 긴장을 오가며 하늘을 향한 양쪽 끝 뾰족함에서 전해지는 짜릿한 긴장감이 최대 매력이다이는 조화와 균형을 통한 문화예술의 이상실현을 꿈꾸는 저지문화예술인마을의 조성 취지의 지향점이기도 하다. 마을 방문 시 이 작품을 마주하면 잠시나마 스타치올리가 고심했을 장소와 작품의 관계성을 생각해보길 권한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