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35)50년 전 ‘다큐 사진’ 찍던 여대생 송영숙, 보석 같은 컬렉션 일구며 사진미술관 만들다

이영란

하단에 국문 콘텐츠가 있습니다.
Korean-English translation by Yerim Choi

Song Young-sook(1948-), who visited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in 2001 with a list of her collections collected for more than a decade and a proposal to establish a photo art museum, was rejected in broad daylight. The judges were puzzled by the question of whether they would like to register the museum with hundreds of photographs. Some pointed out, 'Why don't you just build a camera museum?' The importance of photography was being emphasized in and out of the country, saying that the 21st century is the era of photography, but few people accepted photography as an art. Despite various concerns, Song created the Korea-U.S. Culture and Arts Foundation (currently the Gahyun Cultural Foundation) the following year and opened the Hanmi Gallery at the Hanmi Pharmaceutical building in Bangi-dong, Songpa-gu, Seoul. She persuaded her husband, Lim Sung-ki, chairman of Hanmi Pharmaceutical Co., to create a space where he could showcase the art of photography in earnest. It was meaningful as Hanmi Pharmaceutical is celebrating its 30th anniversary. She then reorganized the system and received permission as an art museum specializing in photography in 2003. It was the birth of the country's first photography art museum. They piled up our collections, collecting important works that we missed during the 1970s and 1980s development. She used the insults as motivation to improve her collection.


송영숙 가현문화재단 이사장, 한미사진미술관 관장.

Since she was in college, Lee would visit various photography collections by Kyung-sung Lee, the former director of the Museum of Modern Contemporary Art, which kindled an interest for photography as well. Song became close with Lee after Lee wrote a critique of Song’s individual collection in 1988, and they mentioned the importance of having a museum specialized in photography. With these words came corresponding actions: they decided to establish the museum. 

In Song's life, there are about 50 percent to 70 percent, of pictures. 'I've been living half a day thinking only about pictures,' he says. Song Young-sook went to Sookmyung Women's University, majoring in education, where she first became a member of the photography club. She dreamed of becoming a photographer under the guidance of Joo Myung-deok. She was competitive with her brother when it came to the field of photography, causing her to have various competitive matches. However, due to her marriage, she had to put a halt into pursuing her passion.  However, planning the opening of the Korea-U.S. Museum of Photography in 2003, Song began to expand and systematize her collection. Currently, this collection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sections: photographs that show Korea’s modern history, pieces from Korean photographers, and photography that had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global historic events. Among them, Song's first attention was on historical photographs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end of the Korean Empire. The museum has collected and organized vast amounts of historical materials, including photos of imperial Japan showing the face of the Korean Empire and photos of the Natural Party Photography Hall made by Kim Kyu-jin in the Haegang River, and organized exhibitions. Song believes that this exhibition will help with the improvement of awareness on these topics. 

Song Young-sook has steadily collected works by photographers representing Korea since the 1990s. He collected photos of Lim Eung-sik, Yuk Myung-shim, Hong Soon-tae, Han Jung-sik, Kim Ki-chan, Hwang Kyu-tae, Joo Myung-duk, Park Young-sook and Kang Un-gu. Also on the list were writers in their 30s and 60s, including Koo Bon-chang, Lee Sang-hyun, Min Byung-hun, Lee Kap-chul, Ko Myung-keun, Chun Kyung-woo and Han Sung-pil. Most of the key pieces were collected under the goal of 'Korean photographers' works should be the center of the museum.' It has also been promoting Korean writers at home and abroad through exhibitions, and is also operating the Korea Photography and Culture Institute.

Song turned to overseas photos and bought the master's photographs he had encountered in textbooks and books one after the other. It has collected photos ranging from early photographs to modernist ones. In fact, the year 2002 when Song Young-sook began to collect pictures of foreign modernism was a bit late. Until 1997 and 2008, the prices of modern and modernist photographs were not expensive as there were not many institutions collecting them, but they rose sharply in 2000. But she didn’t let that stop her. Under the tenacity of collecting the necessary works, she diligently collected them, verifying the authenticity of the works and the history of the photograph. 

Song Young-sook felt an indescribably difficult sensation when she held the representative works of the world's major writers in her arms. For example, when she had the art pieces of Eugene Atget, she felt a feeling of ecstasy. Even though it was an old, crude camera, the photos that captured the city in detail at dawn were not lacking in what was called 'the jewels of modern photography.' Another French photographer, Henri Cartier-Bresson's photographs, which have had a profound impact on modern photojournalism, have collected more than 40 pieces. Song, who bought a series of photos of Bresson, which had been held by a Japanese collector, has since purchased additional photos when Bresson's representative works are at an auction or fair. In 2005, a breathtaking black-and-white photo by Edward Weston and 85 pieces of a series of urban women by Gary Winogland were also collected in the same path.

Since 2006, he has continued his collection by going back and forth between art fairs like 'Paris Photo' and art galleries and auctioning in New York. What's important is 'target,' which focuses on works that are faithful to the original value of photography, rather than on the author's naming and trend. It was a strategy to collect 'the essence of photography' that clearly shows recordability and artistry during 180 years of photographic history. So among the European authors who have come to attention are Andre Kertetsz, who pursued unique photography aesthetics, Brassai, called the 'photographic cubism,' and Mario Zakomelli, who is strongly contrasted with black and white.

Yosef Kudelka, who is from the Czech Republic and is known for his series of Gypsy, has a dramatic collection. Song has been fascinated by Kudelka since he was studying photography, and collected it right away when <Moravia> (1966), which features Gypsy violinist, and <Lumia> (1968), which captures horses and horses, appeared on the market. Then, after five years of questioning to open the exhibition with Kudelka's 'The Gypsy,' he was appointed artistic director of the Magnum (World Press Photographers' Federation) in 2015. Around that time, Christie's in New York said, 'We have 24 pictures of Kudelka, so will you buy it?' As there was no case in which Kudelka's work came out in such a lump, he doubted his ears. The package in question was given Kudelka's best work when her master printer, which had been in charge of printing her work for 35 years, retired. The printer, which has become difficult for the family, presented this 'treasure,' and Christie's, who was looking for a place to take over the entire 24 points, contacted the U.S. and South Korea. Song was elated, but realized that she couldn’t afford this piece. 'I'll split it up three times. Don't you know that you keep your promise for sure?' and received the OK, which eventually took place a year and a half later.

Song has collected every notable photographer’s piece from America, including Alfred Stiglitz, Edward Steiken, Ansel Adams, Walker Evans, Irving Penn and Paul Strand. Song also collected several photos of Aaron Siskind, who opened a new era of abstract expressionism in the U.S. In the end, although the departure was later than that of famous Western musicians, she worked hard to find and combine a good balance of quality and quantity in her collection. Currently, when there are new pieces that are well-fitted for the collection, Song would get the first call. Although the contemporary photos do not excel in number, it still includes pieces from Thomas Roof, Candida Hopper and Cindy Sherman, and she plans to increase the number in later years. 

In November last year, Song won the Order of Merit for Cultural and Arts from the French government, which bought five paintings from photographer William Henry Fox Talbot, female photographer Julia Margaret Cameron's 1867 work and Andre Kertetsz's vintage photos from 'Paris Photo' and donated them to the museum. Photographs of Talbot and Cameron are mentioned when discussing early photographers, and the pictures of Kertets were also featured at the MoMA exhibition in New York in 1973, which is very meaningful.

These days, Song is busy building a new art museum in Samcheong-ro. It is building a new art museum with a total area of about 2,000 square meters on about 4,000 square meters next to Samcheong Park, which it purchased last year. Songpa's art museum will remain the same, while Samcheong-ro's art museum will showcase a variety of exhibitions and programs from the second half of 2020 under the name of 'Seoul Museum of Photography.' To that end, I offered 50 billion won in personal assets, and I want to share that excitement with many people, as I spent 50 years meeting wonderful works, collecting and having a good time. It's not worth it at all because it's used in pictures,' she said. Song Young-sook, who has been running hard as a photographer, collector and museum director, is back on the starting line. She has a picture. She's a permanent active member.



Brassaï, Offrande, Transmutation 10, Gravure 18, Sepia print, 1935, 한미사진미술관

그렇게 단칼에 딱지를 맞을 줄은 몰랐다. 10여 년간 수집한 소장품 목록과 사진미술관 설립안을 들고 2001년 문화관광부를 찾았던 송영숙(1948- )은 보기 좋게 퇴짜를 맞았다. 심사위원들은 고작(?) 사진작품 몇백 점으로 미술관을 등록하려 드느냐며 신통찮아 했다. “차라리 카메라박물관이나 만들지 그러느냐”는 지적도 나왔다. 나라 안팎으로 ‘21세기는 사진의 시대’라며 사진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었지만 사진을 예술로 받아들이는 사람은 별로 없었다. 여러 우려에도 송영숙은 이듬해 한미문화예술재단(현 가현문화재단)을 만들고, 서울 송파구 방이동 한미약품 사옥에 한미갤러리를 열었다. 남편인 임성기 한미약품 회장을 설득해 사진예술을 본격적으로 선보이는 공간을 만든 것. 마침 한미약품이 창립 30주년을 맞고 있어 의미도 있었다. 그 후 체제를 정비해 2003년 사진전문 미술관으로 허가를 받았다. 국내 최초 사진미술관의 탄생이었다. 그렇게 1970-80년대 개발 시기 우리가 놓쳤던 중요한 작품들을 수집하며 컬렉션을 쌓아갔다. 쓴소리는 약이 됐다.

대학 시절부터 사진을 찍으며 사진작가로 개인전도 여러 차례 가졌던 송영숙이 사진미술관을 열게 된 것은 이경성 전 국립현대미술관 관장 때문이었다. 1998년 갤러리현대에서의 개인전 때 이 관장이 비평을 써줘 가까워졌는데, 이듬해 서울올림픽미술관 관장으로 부임해온 그가 “우리도 사진미술관이 필요하다. 당신이 적임자”라고 옆구리를 찔렀다. 그 말에 팔을 걷어붙였고, 국립현대미술관이나 삼성미술관리움 같은 곳들이 신경 쓰지 않던 사진예술을 챙기며 특화된 미술관을 만든 것이다.

송영숙의 인생에서 사진은 5할, 아니 7할쯤 된다. 스스로 “하루의 절반을 사진만 생각하며 살아왔다”고 한다. 송영숙은 의대생이던 오빠가 사진을 찍는 게 멋있어 보여 사진동호회가 있는 숙명여대(교육학)로 진학했고, 주명덕 등의 지도를 받으며 사진가의 꿈을 키웠다. 4학년 때 오빠와 ‘남매전’을 열었던 그는 결혼 등으로 활동을 접었을 때를 제외하곤 줄곧 사진계와 호흡해왔다. 2003년 한미사진미술관을 개관한 뒤론 수집의 폭을 넓히고, 체계화하기 시작했다. 현재 8,000점에 이르는 한미의 컬렉션은 크게 세 갈래다. 한국 근대의 역사 사진, 국내작가 사진, 그리고 세계사진사의 흐름을 보여주는 외국 예술사진이다. 그중 송 관장이 가장 먼저 주목한 것은 조선말과 대한제국 시기의 역사 사진이다. 대한제국의 면모를 보여주는 황실 사진, 해강 김규진이 만든 천연당사진관의 사진 등 방대한 사료를 수습해 정리하고, 전시를 꾸렸다. 그는 “세계 곳곳을 다니다 보면 ‘이 애달픈 우리 옛 사진들이 왜 여기 있을까’ 먹먹해질 때가 많다”고 했다. 다행히 그 중 골자는 거둬들여 사진사 연구의 기틀은 세웠다.

송영숙은 한국을 대표하는 사진가들의 작품을 1990년대부터 꾸준히 수집해왔다. 근대기의 정해창, 민충식 등을 필두로, 임응식, 육명심, 홍순태, 한정식, 김기찬, 황규태, 주명덕, 박영숙, 강운구 등의 사진을 컬렉션했다. 또 구본창, 이상현, 민병헌, 이갑철, 고명근, 천경우, 한성필 등 30-60대 작가들도 리스트에 올렸다. ‘한국 사진가의 작품이 미술관의 중심이 돼야 한다’는 목표 아래 핵심은 대부분 수집한 것. 또 전시를 통해 한국 작가를 국내외에 알려왔고, 한국사진문화연구소도 운영 중이다.

송 관장은 해외 사진에도 눈을 돌려, 교과서와 책자에서 접했던 거장의 사진작품들을 차례로 사들였다. 초창기 사진부터 모더니즘 사진까지 다양한 사진을 수집했다. 사실 송영숙이 외국 모더니즘 사진을 수집하기 시작한 2002년은 시기상으론 살짝 늦은 시기였다. 1997,8년까지만 해도 근대 및 모더니즘 사진은 수집하는 기관이 별로 없어 비싸지 않았으나 2000년 들어 가격이 훌쩍 올랐다. 하지만 그렇다고 손 놓고 있을 순 없었다. 꼭 필요한 작품은 어떻게든 컬렉션한다는 뚝심 아래, 작품의 진위, 소장 이력을 검증하며 부지런히 컬렉션했다. 그 결과 모더니즘 사진은 웬만큼 얼개를 갖추게 됐다. 송영숙은 세계 주요작가들의 대표작을 품에 안았을 때 말로 형언키 어려운 감동을 느꼈다. 이를테면 가난한 마차수리공의 아들로 태어나 독학으로 사진술을 익혀 파리 곳곳을 촬영했던 으젠느 앗제의 사진을 컬렉션했을 때가 한 예다. 비록 낡고 조악한 카메라였지만 새벽 도시를 섬세하게 담아낸 사진들은 ‘근대 사진의 보석’이라 불리기에 부족함이 없었다. 또 다른 프랑스 사진가로, 현대 포토저널리즘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앙리 카르티에-브레송의 사진은 40여 점을 수집했다. 일본 컬렉터가 보유해온 브레송의 사진 연작을 사들인 송 관장은 이후로도 브레송의 대표작이 경매나 페어에 나오면 추가 매입했다. 2005년에는 에드워드 웨스턴의 숨 막히도록 아름다운 흑백사진과 게리 위노그랜드의 도시 여성 연작 85점도 같은 경로로 컬렉션했다.

2006년부터는 ‘파리 포토’같은 아트페어와 전문화랑, 뉴욕 경매 등을 오가며 컬렉션을 이어갔다. 중요한 것은 ‘목표’인데 작가의 지명도라든가 트렌드에 휩쓸리기보다, 사진예술 본연의 가치에 충실한 작품에 초점을 맞췄다. 사진 역사 180년 중 기록성과 예술성을 진득하게 보여주는 ‘사진의 본질’을 모은다는 전략이었다. 그래서 주목하게 된 유럽 작가 중에는 독특한 사진 미학을 추구한 앙드레 케르테츠, ‘사진계 입체파’로 불리는 브라사이, 강렬한 흑백 대비의 마리오 자코멜리가 있다.


줄리아 마가렛 카메론, Portrait of Julia JACKSON, Albumen silver print from glass negative


체코 출신으로 <집시> 연작으로 유명한 요세프 쿠델카의 작품수집 스토리는 무척 드라마틱하다. 송 관장은 사진을 공부하던 시절부터 쿠델카에 매료됐고, 집시 바이올리니스트가 등장하는 <모라비아>(1966), 말과 마부를 포착한 <루마니아>(1968)가 마켓에 나오자 바로 컬렉션했다. 그리곤 쿠델카의 <집시>로 전시를 열기 위해 5년간 수소문하던 중 2015년 매그넘(세계보도사진가연맹) 예술감독 주선으로 마침내 서울전시를 확약받았다. 그런데 그 무렵 크리스티 뉴욕 측이 “쿠델카 사진 24점이 나왔는데 사겠느냐”고 타진해왔다. 쿠델카 작품이 이처럼 뭉텅이로 나온 예가 없어 귀를 의심했다. 문제의 꾸러미는 쿠델카가 자신의 작품 인화를 35년간 전담해온 마스터 프린터가 은퇴하게 되자 최고작 일습을 선물한 것이었다. 집안 사정이 어려워진 프린터는 이 ‘보물’을 내놓았고, 24점 전체를 인수할 곳을 찾던 크리스티가 한미와 접촉한 것. 송 관장은 뛸 듯이 반가웠지만 24점의 대금을 한 번에 낼 여력은 없었다. 이에 “세 번에 나눠 내겠다. 약속은 틀림없이 지키는 걸 알지 않느냐”고 제안해 오케이를 받았고, 결국 1년 반 후 작품은 한국 땅을 밟았다.

송 관장은 미국 사진가들도 주요작가는 빠짐없이 컬렉션했다. 알프레드 스티글리츠, 에드워드 스타이켄, 안셀 애덤스, 워커 에반스, 어빙 펜, 폴 스트랜드 등이 그들이다. 또 미국 추상표현주의 사진의 새 시대를 열어젖힌 아론 시스킨드의 사진도 여러 점 컬렉션했다. 결국 서구의 유명 뮤지엄에 비해 출발은 늦었지만 사진예술사의 귀한 구슬들을 열심히 찾아내 꿰어, 양적 질적으로 만만찮은 사진컬렉션을 일궈낸 셈이다. 이제는 좋은 작품이 나오면 먼저 연락이 올 정도다. 후발주자이면서도 송 관장이 기죽지 않았던 것은 그 자신 시대와 사람을 직시하며 당당하게 카메라 셔터를 눌렀던 사진가 출신이기 때문이다. 세계가 주목하는 사진미술관을 만들기 위해 때로는 남들과 역순으로 가고, 발상도 새롭게 하면서 전문성을 쌓아간 과정은 돋보인다. 물론 컨템포러리 사진은 토마스 루프, 칸디다 회퍼, 신디 셔먼 등 일부에 그쳐 미진하지만 계속 채워갈 계획이다.

송 관장은 지난해 11월 프랑스 정부로부터 문화예술 공로 훈장을 수훈했는데 그 기념으로 사진발명가인 윌리엄 헨리 폭스 탤벗의 1841년 작품과 여성 사진가 줄리아 마가렛 카메론의 1867년 작품, 앙드레 케르테츠의 빈티지 사진 등 5점을 ‘파리 포토’에서 매입해 미술관에 기증했다. 탤벗과 카메론의 사진은 초기 사진사를 논할 때 거론되는 작품이고, 케르테츠 사진 또한 1973년 뉴욕 MoMA 전시에 출품됐던 것이어서 의미가 각별하다.

요즘 송영숙은 삼청로에 새 미술관을 짓느라 바쁘다. 지난해 매입한 삼청공원 옆 약 4,000㎡ 부지에 총면적 약 2,000㎡의 새 미술관을 건립하고 있다. 송파의 미술관은 그대로 유지하고, 삼청로 미술관은 ‘서울사진미술관’이란 이름으로 2020년 하반기부터 다채로운 기획전과 프로그램을 선보일 예정이다. 이를 위해 개인 자산 500억 원을 내놓았는데 “사진과 연이 닿아 50년간 멋진 작품을 만나고, 컬렉션하며 충만한 시간을 보냈으니 많은 이들과 그 감흥을 나누고 싶다. 사진에 쓰는 거라 전혀 아깝지 않다”고 했다. 사진작가이자 컬렉터, 뮤지엄 디렉터로 숨 가쁘게 달려온 송영숙은 이로써 다시 출발대에 섰다. 사진이 있어 그는 영원한 현역이다 

*지난 3년간 연재에 호응을 보내준 독자들께 감사드리며 연재를 마칩니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