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황창배 : 한국화의 파격적인 일탈로 사후에 재평가된 작가

김달진


한국화의 파격적인 일탈로 사후에 재평가된 작가 

황창배(黃昌培  HWANG CHANG BAE 1947 - 2001)






소정 황창배(1947-2001는 “한국화의 테러리스트, 한국화단의 이단아”라는 수식어를 가지고 있다. 남들과 달리 독특한 수식어를 갖게 된 이유는 틀에 박히지 않은 독창적이고 자유로운 화법을 구사하기 때문이다. 작가는 엄숙하고 틀에 박힌 한국화의 틀을 깨부수려고 한 최초의 인물로 꼽힌다. “예술은 무법(無法)이다”라는 신념으로, 전통에 안주하지 않고 자유를 중시하며 한국화와 서양화의 재료, 기법 등을 자유롭게 실험하고 발전시켜 본인만의 작품세계를 구축해나갔다.  

황창배는 1977년 〈秘31〉로 제26회 국전 문화공보부 장관상을, 다음 해인 1978년 제27회 국전에 〈秘51〉을 출품하여 한국화 비구상으로 대통령상을 받으며 등단했다. 작가는 그 후 열심히 작품활동에 몰두하며 전시회를 열었고,  여러 대학 1975-82 명지실업전문대, 1982-84 동덕여대, 1984-86 경희대, 1986-91 이화여대, 1991-2001 동덕여대 초빙교수로서 많은 제자를 육성해 나갔다.



비51 1978 국전 대통령상


 작가는 방북 1호 화가라는 특이한 경력을 가지고 있다. 1997년 중앙일보사 통일문화연구소가 기획한 ‘북한문화유산조사단’의 일원으로 선정되어 국내 화가 최초로 북한을 방문하였다. 황창배 작가는 조사 기간 동안 북한의 일상적인 모습들과 풍경들을 열심히 그려내었고, 그 후 선화랑에서 열린 《황창배 북한기행 그림전》과 여러 인터뷰 기사 등을 통해 대중들에게 많은 주목을 받으며, 북한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해주는 역할을 했다



무제 1987


 황창배 작품은 작품의 제목이 없는 무제 시리즈가 많다. 작품의 제목을 달 시간에 작품 하나를 더 완성하겠다는 작가의 의지 때문이다. 그의 무제 작품 특징으로는 그림과 글씨가 한 화면에 공존하고, 실험적인 재료를 사용하고 부조적 평면 작품이 많다. 언뜻 보면 황창배의 작품은 난해하고 어린아이 낙서처럼 보인다고 생각이 들 수 있지만, 조금 비틀어 생각해본다면 그의 작품은 정형화되어 답답할 수 있는 한국화의 기법이나 특징을 벗어던지고 자유롭고 유쾌하게 단순화되어 드러난다. 
 작가는 현재 우리가 볼 수 있는 익숙한 이미지들을 사용하여 재치있게 표현해냈다. 다양하고 자유로운 기법으로 유쾌하게 작품을 그렸고 싸인에 서기를 쓰지 않고 단기를 많이 썼다. 그는 전통미술에 대한 기초는 탄탄하다는 점을 놓쳐서 안 된다. 대학 시절 월전 장우성에게 동양화의 기초와 문인화의 정신을 배웠고, 철농 이기우에게 서예와 전각 배웠다. 이렇듯 두 스승 밑에서 배운 전통적인 동양화에 대한 이해가 풍부하기 때문에, 다양한 해석을 시도해볼 수 있었다.



무제 1990


무제 1994

황창배는 화가로서 무궁한 잠재력을 펼치던 도중 2001년 54세에 세상을 떠났다. 1990년대 한국화단에 ‘황창배 신드롬’을 만들어 낼 정도로 후배 화가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기 때문에 아쉬움이 많았다. 사후에 황창배기념사업회도 조직되었고 큰 전시로  2003년 동덕아트갤러리, 2018년 소마미술관, 2019년 겸재정선미술관, 2022년 김종영미술관 등에서  유작전이 있었다, 또 후배 / 제자들에 의한 추모전이 열리며 더욱 평가되었다. 2017년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에서 <20세기 한국화의 역사전>을 가지며 설문조사 중 '한국화 작가 중 재조명되어야 할 작가'에서 1위로 선정되었다. 2017년 스페이스창배가 개관하여, 황창배미술관, 황창배미술공간으로 변경되어 운영되고 있다. 

무제 2 1996


황창배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