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도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단행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시간을 복원하는 남자

  • 청구기호600.27/김141ㅅ;2018
  • 저자명김겸 지음
  • 출판사문학동네
  • 출판년도2018년 7월
  • ISBN9788954651981
  • 가격16,500원

상세정보

스스로 작품을 치료하는 의사라 말하는 저자는 보존복원전문가이다. 로댕ㆍ마르셀 뒤샹부터 백남준ㆍ이성자 등 여러 작가의 작품뿐 아니라 근현대 기록물도 복원했다. 권진규 작품의 형상들 안에서 그가 느낀 생명의 긴장감이나, 빠르게 발전하는 시대에 수명이 다하고 제조가 중단된 백남준의 비디오아트는 우리에게도 화두를 던져준다.

책소개

천년 예술에서 시간의 퇴적층을 만날 때

우리는 순간에서 영원을 체험한다!

복원전문가의 일과 예술, 그리고 인생 이야기


이한열의 운동화부터 올덴버그의 〈스프링〉까지,

링컨 대성당에서 광화문 이순신 동상까지…

시간에 풍화하던 예술을 복원하며 남긴 마음의 기록


한국에서는 아직도 낯선 분야인 복원가의 작업과 일상을 담담하게 서술한 책이 나왔다. 보존복원전문가 김겸의 책이다. 우리가 일상에서 마주했던 광화문 이순신 동상, 클래스 올덴버그의 〈스프링〉이 모두 그의 손길을 거쳤다. 김겸은 로댕, 마르셀 뒤샹, 살바도르 달리, 안젤름 키퍼, 헨리 무어, 호안 미로, 백남준, 권진규, 이성자 등 여러 작가의 작품을 복원했을 뿐 아니라 이한열 열사의 운동화와 문익환 목사의 피아노 등 다양한 근현대 기록물도 복원했다. 모두가 숨 가쁘게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고 재빨리 폐기 처분하기 바쁜 시대에 가까이는 수십 년, 멀리는 수백 년 전 태어난 작품을 붙잡고 사라져가는 기억을 되살리는 그의 손길이 특별한 울림을 준다.


작품을 치료하는 의사: 복원 이야기

그는 스스로를 ‘작품을 치료하는 의사’로 칭한다. 예술가가 작품을 태어나게 한 존재라면, 복원가는 작품이 살아가는 동안 다치거나 노화로 특별한 처치가 필요할 때 이를 치료하는 역할을 맡는다. 

책 서두에 나오는 이한열 열사의 운동화를 복원한 이야기는 시대의 질곡과 맞물려 있다. 2015년 김겸은 신촌 이한열기념관 전시실에 밑창이 바스러져가는 형태로 누워 있는 이한열의 운동화를 만났다. 1987년 이한열이 최루탄을 맞고 쓰러졌을 때 현장에 있던 바로 그 운동화였다. 운동화는 한 짝뿐이었고 세월 속에 노화가 진행되고 있었지만 그는 운동화 밑창 모양까지 집요하게 추적해 마침내 운동화를 복원해냈다. 기억해야 할 역사를 복원한 것이다. 최근 김겸은 문익환 목사의 피아노를 복원하기도 했다.

한편, 동상들의 목욕 이야기는 보존복원 분야에서 아직도 전문적인 접근이 아쉬운 한국의 실상을 보여준다. 사실 동상은 섣불리 ‘목욕’을 시켜서는 안 된다. 거친 솔로 표면을 싹싹 문지르면 정작 제거되어야 할 오염물은 떨어지지 않고 보존돼야 할 파티나층(파티네이션으로 만든 동상의 표면층)만 떨어져나가기 때문이다. 


예술의 숨결

작가를 제외하면 복원가는 가장 가까이서 작품의 세밀한 결을 볼 수 있는 사람이다. 이 책에는 복원가가 경험한 예술 이야기도 있다. 

이를테면 김겸은 오랫동안 권진규의 작품을 복원하면서 그가 무척 섬세한 사람이라고 느꼈다. 보통 점토 작업을 할 때 일반적으로는 수제비를 뜨는 정도의 밀가루 덩어리만큼을 붙이고 매만지며 세부를 표현하지만 권진규는 유난히 작은 콩알만한 크기의 점토를 붙여가며 작업했다. 복원을 위해 확대경을 끼고 내부를 들여다보고 손끝으로 더듬는 동안 이 작은 분자들의 결합이 보이기 시작한다. 김겸은 〈지원의 얼굴〉이나 〈마두馬頭〉로 대표되는 권진규의 형상들 안에서 살아 움직일 듯한 생명의 긴장감을 느낀다. 그리고 그 힘은 아마도 작가가 고집스럽게 심어넣은 작은 세포들의 떨림에서 온다고 말한다. 그는 “감상자들이 눈을 통해서만 작품과 작가를 만난다면 복원가는 좀더 많은 감각의 힘을 빌릴 수 있다. 과장처럼 들리겠지만 깊은 밤, 작품을 고요히 홀로 마주하고 안과 밖을 조심스레 살피다보면 작가의 세심한 숨결과 손길이 느껴짐은 물론 어떤 날은 작품이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주기도 한다”고 썼다.

한편, 나날이 기술이 발전해가는 시대에 백남준의 비디오아트는 보존전문가에게 화두를 던져준다. 백남준의 작품에 사용된 모니터는 수명이 한계에 이르렀고 브라운관 모니터는 세계적으로 제조가 중단된 지 오래인데, 백남준은 언젠가 이런 상황이 도래할 것을 예측이라도 한 듯 미디어 변화나 교체에 관해 인지하고 있었고 그 방법을 후세에 자유롭게 맡겨두었다. 그러나 설령 작가가 교체를 용인했다 하더라도 과연 수명이 다한 〈TV로봇〉의 머리를 최신형 모니터로 바꾸는 게 옳은 일일까? 이미 백남준의 작품은 작가만의 것이 아니라 사회적 맥락 안에 들어와 있다. 백남준 작품의 복원 문제는 리쾨르가 ‘소격화’ 현상을 통해 설명한, 예술작품은 잠재적 담론의 장이며 감상자와의 만남에 종속된다는 이론을 떠올리게 한다.


시간에 대한 성찰이 선사하는 특별한 삶의 태도

가만히 두면 사라지고 풍화해버릴 것을 끝없이 돌보고 되살리는 일이란 시간에 숨결을 불어넣는 일과도 같다. 

그는 영국에서 유학하던 시절, 링컨 대성당 복원 팀에서 일했다. 그때 그를 압도한 것은 시간을 멀리 내다보는 사람들의 시각이었다. 문화재로 지정된 이 성당의 복원 작업은 1년 365일 계속 이어지고 있다. 성당 외벽을 한 바퀴 돌며 복원하는 데만 70년이 걸린다. 작업에 참여하며 그는 소위 문화 선진국에서 보존복원은 일회성 작업이나 연례행사가 아니라 꾸준한 돌봄과 치료를 뜻한다는 것을 체감했다. 

복원가의 시선에서, 현재에 충실하고 미래를 내다보는 시각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바로 과거를 찬찬히 돌아보는 일이다. 인생은 찰나지만 인간에게는 순간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그는 “현재의 나는 수백 년, 수천 년을 지내온 유물을 통해 과거 선조부터 태어날 후세까지의 삶에 관여하는 영원성과 시간을 구체적으로 체험한다”고 언급한다. 그는 이렇게 썼다. “오직 열심히 사는 현재가 미래를 만들고 그 자취가 훗날 자랑스러운 과거로 남으리라고 믿는 태도는, 긴 안목으로 미래를 상상하고 설계하고 예측하는 인간의 특성, 꿈꾸는 인간 본성을 발목잡고 있는 것일지도 모른다.” 부조리한 인간을 이해하고 현실에는 없는 것을 상상하고 꿈꾸기 위해 우리는 유물을 만나고 예술을 감상한다. 


어떤 사물은 시간을 기억한다. 이한열의 운동화는 1987년 신촌 대학가를 거닐던 한 청년의 삶이 멈추는 순간 역사가 되었다. 역사의 목격자인 운동화를 다시 숨쉬게 하는 것이 내가 맡은 일이었다. 참으로 조심스럽고도 지난한 작업이었다.

유물이나 예술작품의 가치는 물질로서의 존재보다 그것을 둘러싼 이야기로부터 나온다. 명작들은 과거의 이야기뿐 아니라 동시대 사람들로부터 새로운 이야기를 통해 새로운 가치를 덧입으며 새 생명을 획득해나간다. 보존복원이란 행위는 새로운 이야기가 유물에 덧입혀지는 과정이다. 그 끊임없는 과정 속에서 유물은 살아 있는 역사가 된다.

유물을 복원한다는 것은 기억과 가치를 복원하는 것이며 잃어버리고 싶지 않은 시간을 복원하는 것이다. 잃어버린 시간을 복원한다는 것은 새로운 시간, 새로운 기억을 맞이하려는 의지의 진행형이다. 먼 훗날의 기억이 될 우리의 운동화는 지금 어떤 길을 걷고 있는가. _프롤로그에서


지은이 | 김겸

한국에서 미술사와 미술비평을 전공하고 일본과 영국에서 보존복원을 공부했다. 일본 기비조각수복소, 삼성문화재단 보존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 이후 국립현대미술관 작품보존팀 팀장을 거쳐 지금은 김겸미술품보존연구소를 운영하며 가르치는 일을 함께하고 있다. 로댕, 마르셀 뒤샹, 살바도르 달리, 안젤름 키퍼, 헨리 무어, 호안 미로, 클래스 올덴버그, 백남준, 권진규, 이성자 등 여러 작가의 작품을 복원했다. 또한 이한열 열사의 운동화와 문익환 목사의 피아노 등 다양한 근현대 기록물을 복원했다. 복원은 기술적 완료가 아니라 기억과 가치를 복원하는 일이며, 잃어버린 시간을 복원하는 것이며, 새로운 시간과 새로운 기억을 맞이하려는 의지라고 믿는다. 



목차

프롤로그_모든 사물은 시간을 기억한다


1부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보존복원가의 길

우연과 인연 

무사들의 진검 승부

기꺼이 믿어주는 사람 

잘 닦고 붙이는 일 

보존복원에 왜 화학 공부가 필요할까?

외벽 복원만 70년이 걸린다고? 

숭례문 복원과 링컨 대성당 복원 

작은 유물 조각에 담긴 이야기 


2부 작품을 치료하는 의사: 나의 복원 이야기

작품을 치료하는 의사 

이한열 열사의 운동화 

우리 동네 이웃의 애장품 

부산시민공원 역사관 벽화, 기억의 퍼즐 맞추기 

야전병원에 전화벨이 울릴 때 

감쪽같이 되나요? 

복원하면 가치가 떨어지나요? 

작가 권진규 

쿠리에, 그림을 지키는 기사 

작품 운송 상자, 크레이트 

그림이 살기 좋은 공기 

보존전문가에게 백남준이란 

야외 조형물을 힘들게 하는 것들 

청동을 위한 항변 

이순신 동상의 슬픈 목욕 

아무나 할 수 없다는 자신감 


3부 예술과 시간과 인간: 누군가의 마음을 만나는 일

누군가의 마음을 만나는 일 

부조리한 인간을 외면하는 사회

고색, 영원의 가치 

생명 연장의 꿈, 레플리카 

바니타스, 순간과 영원 

공공예술에 대한 단상 

뒤샹의 작품을 다 복원하지 않은 이유 

아버지를 이해하기 위하여 

이성자 화백의 바라보게 하는 힘 

잘못된 복원? 

‘작가의 의도’를 복원한다는 것 


에필로그 우연한 인생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