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도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단행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예술문화총서 03)공공미술, 도시의 지속성을 논하다

  • 청구기호601.3/구45ㄱ;2021
  • 저자명구본호 지음
  • 출판사부산:해피북미디어
  • 출판년도2021년 5월
  • ISBN9788998079420
  • 가격25,000원

상세정보

부산 내 마을 공공미술 사업에 오랫동안 참여해온 저자가, 공공미술이 본격적으로 등장한 1960년대 말 이후부터 안창마을 등 부산의 대표적 마을 공공미술 사업까지, 개요와 변화상•경험담을 사진과 더불어 현장감 있게 기록했다. 공공미술이 일시적 사업에서 나아가 마을이 자생할 수 있는 힘으로 자리 잡기 위해 주민•지자체가 생각해야 할 지점과 고민도 담았다.

책소개


도시와 마을을 소통의 공간으로 만드는 공공미술

그리스의 산토리니를 닮아 ‘한국의 산토리니’로 불리는 부산 감천문화마을은 이제는 부산의 대표 관광 명소로 주목받으며, 2012년 한 해 동안만 9만 8천 명이 넘는 관광객이 다녀갔다. 젊은이들이 마을을 빠져나가고 빈집이 늘면서 낙후되어가던 감천문화마을이 지금의 마을로 변모하기까지는 마을에 생명력을 불어넣는 공공미술 사업이 있었다.

도시는 인간에 의해 계획적으로 만들어진 공간이지만 하나의 생명체처럼 성장과 쇠락을 겪는다. 그리고 도시에 생명력을 부여하는 것은 도시에 사는 사람들이다. 지난 40여 년 동안 우리나라의 도시개발 기본방향은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늘어나는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신도시 위주의 개발과 낙후한 도시를 완전히 새롭게 뜯어고치는 것으로 도시계획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점차 도시사업은 도시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기능을 회복하는 동시에 경쟁력을 가질 수 있게 재창조하는 것으로 변해가고 있다.

이 책의 저자는 노후한 마을이 다시 활력을 찾을 수 있게 공공미술이 마을 사람들에게 생각의 전환점을 가져다주는 정신적 재생의 시작이라고 말한다. 마을에 대한 주민들의 생각 변화는 곧 마을을 변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오랫동안 부산에서 마을 공공미술 사업에 참여한 저자가 공공미술을 전후로 변화한 마을과 주민들의 생활 변화를 기록했다. 무엇보다 공공미술 사업이 끝난 후 다시 마을을 찾아, 일시적인 사업으로 마을을 변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마을이 자생할 수 있도록 주민들과 지자체가 생각해야 할 지점이 무엇인지 부산의 공공미술 마을을 둘러보며 애정 어린 고민을 담았다.


공공미술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그렇다면 미술은 어떻게 거리로 나오게 됐는가.

1960년대 말 이후 공공미술이 본격적으로 등장하게 된 배경에는 자기충족적인 모더니즘적 미술에 대한 거부감이 있었다. 이제 예술은 밀실 같은 작업실에서 자기만이 알고 있는 방식으로 그려 결과물만 보여주는 유미주의, 심미주의에서 벗어나, 대중과 소통하고 대화의 장을 만들고자 한다. 이러한 상황들 중 하나인 미술은 세상 밖으로 나와 공공공간과 만났다. 미술을 가지고 접근한 공공공간은 공간뿐만 아니라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자연과 인간, 시간과의 관계도 만들며 지금 여기의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

저자는 공공미술이 공공공간과 만나면서 도시가 어떻게 변화했는지 주목한다. 마을 만들기로는 초기 단계에 마을의 정체성에 맞는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마을을 잘 아는 리더를 영입해 마을 만들기의 가능성을 점치게 하는 것이 좋은 예라고 말한다. 이처럼 미술이 장소와 결합해 장소와 장소에 살고 있는 사람들과 어떻게 소통해야 할지 부산 곳곳의 사례를 들어 구체적이고 생동감 있게 설명했다.


부산의 공공미술 마을을 생생하게 기록하다

안창마을, 산복도로, 꽃마을 등 부산의 대표적인 공공미술 마을 사업에 저자가 참여하면서 느낀 경험담과 직접 찍은 사진들로 부산의 공공미술 마을을 현장감 있게 기록했다.

죽전마을은 대나무 밭이 많아 ‘죽전’이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고, 안창마을은 안쪽 끝이라는 의미로 ‘안창’이라는 이름을 갖게 된 것처럼 마을마다 고유의 이름이 갖게 된 배경과 더불어 마을의 특색에 따라 입혀진 공공미술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마을을 아름답게 꾸미는 벽화뿐만 아니라 마을이 지속적으로 재생할 수 있도록 주민들과 함께 북카페와 주민 센터를 운영하는 과정도 담았다.

단순히 마을을 둘러보고 끝내는 것에 그치지 않고 마을의 유례와 공공미술로 마을의 변화를 알 수 있어 마을과 그곳에 사는 사람들을 조금 더 가까이 이해할 수 있게 한다. 사업이 끝난 후 다시 찾은 마을로 사후 관리의 중요성을 일깨우며, 미술과 마을, 주민들과 마을이 함께 공존할 있는 지혜를 이 책에서 모으고자 했다.


지은이 | 구본호

부산대학교에서 미술을 전공하였고 신라대학교에서 미술비평과 문화예술경영을 공부하였다. 고샅길 프로젝트, 닥밭골 마을, 금곡동 공창행복마을 골목길 문화사업 등 공공미술 관련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목차

머리말


제1장 도시의 발전·쇠퇴·재생

1 도시 속의 나

2 창조도시라는 이름의 도시재생

3 살기 좋은 도시 만들기


제2장 도시공공예술

1 공공성과 공공공간

2 공공예술의 영역

3 공공미술이란


제3장 예술가는 왜 공공미술을 하는가?

1 예술가와 공공예술

2 왜 공공미술이 도시의 흉물이 되었을까?

3 예술가는 왜 공공미술을 하는가?


제4장 부산의 공공미술 마을

1 골목길의 부활

2 달동네 벽화마을

3 산복도로, 장소특징의 부활

4 기차길옆 행복마을

5 역사를 찾는 마을


제5장 공공미술, 도시의 지속성을 논하다

1 공적 공간으로서의 권리

2 도시의 지속성과 가능성

3 공공미술, 아직 미완성작이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