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도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단행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유홍준의 한국미술사 강의 6 - 조선 : 공예, 생활·장식미술

추천

  • 청구기호609.11/유95ㅇ;6
  • 저자명유홍준 지음
  • 출판사눌와
  • 출판년도2023년 10월
  • ISBN9791189074623
  • 가격32,000원

상세정보

저자의 ‘한국미술사 강의’ 마지막 총서이다. 13년 만에 완간된 저술은 2,500쪽에 달하며 2,650여 개의 도판을 포함한다. 5권 ‘도자’는 조선 도자 전반을 다룬다. 조선 초 전성기를 누린 분청사기와 사회상 변화에 따라 시기별로 다른 미감•양식을 보이는 백자를 소개한다. 또한 조선 후기 지방 가마에도 주목했으며, 권말에는 중국과 일본의 도자사을 요약해 함께 볼 수 있게 했다. 6권 ‘공예, 생활•장식미술’은 조선의 공예를 재료•기법이 아닌 사용자의 시각에 초점을 두어 분류했다. 가장 높은 수준의 왕실공예, ‘화이불치’ 미학의 규방공예, 절제 미학의 선비공예, 기능미와 지역별 미감까지 볼 수 있는 민속공예로 나누어 적었다. 또한 특유의 익명성으로 본격적으로 다뤄지지 않은 장식화, 민화, 자수도 최근 연구를 반영해 미술사 체제로 편입했다.

책소개

《유홍준의 한국미술사 강의》 제6권은 조선시대 공예를 다루었다. 공예는 삶을 아름답게 꾸미기 위한 인간 노력의 산물이다. 이 책에서는 조선시대 공예를 사용자를 기준으로 왕실공예, 규방공예, 선비공예, 민속공예의 네 개 분야로 나누어 각 분야마다의 고유한 아름다움을 여실히 보여준다. 또한 익명성 때문에 미술사에서 본격적으로 다루어지지 못했던 장식화, 민화 그리고 자수까지 ‘생활·장식미술’이란 이름으로 미술사의 체제로 편입하였다.


사용자의 시각에서 바라보는 조선시대 공예

공예는 인간의 삶을 풍요롭게 만들기 위한 노력의 산물로, 예로부터 미술사의 중요한 분야 중 하나로 자리 잡아왔다. 다만 기존에는 공예를 재료와 기법에 초점을 맞추어 해설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그런 경우 유물 자체의 아름다움에 주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유홍준 교수는 조선시대 공예를 생산의 측면이 아닌 사용의 측면에서 접근하여 왕실공예, 규방공예, 선비공예, 민속공예의 네 개 분야로 나누었다.


왕실공예: 공예 중에서도 가장 높은 수준의 기교와 재료가 동원되었기에 당연히 개개 유물의 수준도 높다. 국가 권력의 상징인 국새, 왕실의 권위를 나타내는 의물인 어보‧어책‧교명 등은 역사적인 의미도 클 뿐 아니라 그 자체로도 대단한 명품이다. 또한 왕실가구들은 주칠과 흑칠로 적흑의 조화를 보여주어 엄정한 분위기를 풍긴다.

규방공예: 양반 계층의 여성들이 주로 사용한 규방공예품들은 ‘화이불치(화려하지만 사치스럽지 않다)’의 미학을 보여주고 있는데, 나전과 화각으로 장식된 가구와 소품들은 그야말로 규방공예의 꽃이라 할 만하다.

선비공예: 선비들의 사랑방에 놓였던 가구와 공예품들은 장식을 절제해 단아한 아름다움을 풍기는 것이 특징이다. 나뭇결을 그대로 살린 의거리장, 별다른 장식 없이 비례감과 공간감만으로도 상쾌한 멋을 느끼게 하는 사방탁자 등은 그야말로 선비정신을 그대로 구현한 듯하다.

민속공예: 생활에 요긴하게 쓰인 민속공예품들은 실제 그 쓰임새와 환경에 따라 나타나는 기능미가 특징이다. 지역별로 독특한 미감을 보여주는 반닫이, 견고한 형태미가 특징인 뒤주, 사실성과 추상성이 동시에 드러나는 목안(혼례용 나무 기러기) 등을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새롭게 만나는 생활‧장식미술

조선시대 회화사는 문인화가와 도화서 화원들의 감상화를 중심으로 서술되어 왔고, 막상 조선 사람들의 삶과 가장 밀접하게 자리 잡고 있던 장식화와 민화들은 그 특유의 익명성 탓에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않는 경향이 있었다. 특히 장식화의 경우 민화와 혼동되어 심지어 궁궐 어좌에 놓이는 일월오봉도까지 민화로 분류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다행히 최근 들어 많은 학자들이 장식화의 가치에 주목하여 연구한 덕분에 그 실체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게 되었는데, 이 책에서는 이를 충실히 반영하였다.


장식화: 궁중과 양반사회에서 쓰였던 장식화들은 정교하게 그려졌을 뿐 아니라 크기도 커서 감상화들과는 다른 아름다움을 보여주고 있다. 이 장식화들은 연교차가 큰 한반도의 기후 탓에 실내공간이 비교적 좁을 수밖에 없었던 한옥의 특성상 이동과 보관이 쉬운 장식병풍의 형태로 많이 제작되었다. 이 책에서는 일월오봉도, 십장생도, 책가도 등의 익히 알려진 장식화 명작들은 물론 비교적 최근에야 해외 박물관 등에 소장되어 있음이 알려졌거나 국내로 들어온 곽분양행락도, 호렵도 등도 소개하여 다채로운 장식화의 세계로 독자들을 이끈다. 말미에는 비교적 최근에야 실체가 밝혀진 경복궁과 운현궁, 동관왕묘 등의 붙박이 그림과 부벽화, 그리고 조선 말기 광화문의 사진에서 확인된 문배도도 다루었다.

민화: 조선 후기부터 등장한 민화는 그 특유의 매력 덕분에 비교적 이른 시기부터 민예학자들과 애호가들의 사랑을 받아왔다. 다만 워낙에 작품이 많이 전하고 그 수준도 들쑥날쑥한 탓에 어느 그림을 기준으로 설명해야 할지 모호했던 것도 사실이다. 유홍준 교수는 민화는 정통화법을 벗어난 자유로움에 그 특질이 있다고 말하며, 이를 바탕으로 민화의 명작을 판별할 때 장르로서의 지위도 확립될 것이라 말한다. 또한 호작도, 화조도 등 민화의 다양한 도상들의 유래와 내용을 설명하고, 대표적인 명작들을 제시하여 민화를 보는 눈을 트여준다.


자수는 시각에 따라서는 규방공예의 일부로 볼 수도 있겠으나, 실제로는 의복과 장신구를 꾸미는 데 활용된 것은 물론 감상 목적의 병풍에 쓰이기도 하였고 심지어는 가구를 장식하는 데 쓰이기도 하였다. 이에 ‘생활‧장식미술’의 별개의 한 장으로 분류하였다.

이 장에서는 대표적인 자수 기법들을 일러스트레이션과 함께 설명하여 자수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돕고 있다. 자수의 본령이랄 수 있는 복식과 장신구로는 복온공주 활옷(혼례복)을 비롯하여 문무관들의 관복에 장식되었던 흉배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신사임당의 것으로 전하는 자수초충도와 조선 말기의 화가인 양기훈의 그림을 밑그림으로 삼아 제작된 자수송학도, 자수매화도 병풍 등은 많은 사람들이 미처 몰랐던 자수의 매력에 흠뻑 빠지게 해줄 것이다.


지은이 | 유홍준

1949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하고,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동양철학과(예술철학 전공)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1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미술평론으로 등단한 뒤 미술평론가로 활동하며 민족미술인협의회 공동대표, 제1회 광주비엔날레 커미셔너 등을 지냈다.

영남대학교 교수 및 박물관장, 명지대학교 교수 및 문화예술 대학원장, 문화재청장을 역임했다. 현재 명지대학교 미술사학과 교수를 정년퇴임한 후 석좌교수로 있으며, 명지대학교 한국미술사연구소장을 맡고 있다.

평론집으로 《다시, 현실과 전통의 지평에서》, 답사기로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전20권), 미술사 저술로 《조선시대 화론 연구》, 《화인열전》(전2권), 《완당평전》(전3권), 《유홍준의 미를 보는 눈》(《국보순례》, 《명작순례》, 《안목》 전3권), 《유홍준의 한국미술사 강의》(전6권), 《김광국의 석농화원》(공역), 《추사 김정희》 등이 있다. 간행물윤리위 출판저작상(1998), 제18회 만해문학상(2003) 등을 수상했다.


목차

공예의 미술사적 재정립을 위하여


공예


58장 왕실공예

지존至尊의 존엄을 위한 공예


59장 규방공예

화이불치華而不侈의 은은한 화려미


60장 선비공예

검이불루儉而不陋의 조용한 절제미


61장 민속공예

삶의 향기, 혹은 생활의 체취


생활·장식미술


62장 장식화

아름답고 풍요로운 장식병풍의 세계


63장 민화

파격의 미와 일탈의 즐거움


64장 자수

기술과 정성이 낳은 장식미술


부록

전통 목가구의 부분 명칭도


참고서목

도판목록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