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도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단행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투명한, 반투명한, 불투명한 미술

  • 청구기호650.4/이23ㅌ
  • 저자명이대범 지음
  • 출판사북노마드
  • 출판년도2013년 12월
  • ISBN9788997835447
  • 가격16,000원

상세정보

미술평론가이자 독립큐레이터로 활동하는 저자가 지난 10년동안 한국 현대미술계를 성찰해온 기록들을 묶은 책이다. 김학량, 안규철, 이동기, 배영환, 정서영, 문성식, 파트타임스위트 등 한국 현대미술계에서 활동하는 작가들과대면했던 순간들을 정직하면서도 예민한 시선으로 기록하고 있다.


책 소 개

미술비평가이자 독립큐레이터인 이대범의 글은 익숙했던 것과의 이별을 준비하는 과정 혹은 여기저기를 기웃거리며 해찰하기를 좋아하는 저자를 쏙 빼닮았다. 그의 글은 우리가 미술을 사랑한다 말하면서도 미처 시선을 두지 못했던 곳을 살피게 한다. 저자는 미술에 인생을 걸었다 말하면서도 늘 스스로를 타자의 위치에 놓고 자신의 언어를 의심하며 주춤거린다. 그저 그가 수없이 만나고 또 만난 작가들로부터 배운 언어에 자신의 언어를 덧대었을 뿐이라 고백한다. 타자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관계 속에 위치한 마음으로 글쓰기. 이대범의 글에 마음이 가는 이유는 그래서이다.

‘만남’은 하나의 사건이다. 작가가 세상과 만나 작품이 이루어지고, 그 작품이 큐레이터와 만나 전시로 행해지고, 그 전시가 관객과 만나 감상으로 귀결된다. 자칫 어렵게만 다가올 수 있는 ‘미술비평’이라는 것도 그 사이 어딘가에 놓인 만남이라는 사건이다. 결국 서로에게 타자일 수밖에 없는 나와 네가 서로에게 배우는 과정이기도 하다. 『투명한 미술, 반투명한 미술, 불투명한 미술』의 저자 이대범은 책의 제목처럼 그 만남이 투명할 수도, 반투명할 수도 그리고 아무리 다가가도 불투명할 수도 있다고 믿는 미술 비평가이다. 그래서 그는 겸손히 목소리를 낮춘다. 모든 미술의 출발점은 내가 아닌 ‘너’를 인식하는 순간 아름답게 발화한다고.

그래서일까. 이 책의 첫 출발로 그는 1980년대 민중미술을 바로미터로 삼았다. 그에 따르면 한국 현대미술이 ‘타자(The Other)’를 최초로 인식했던 시공간이었기 때문이다. ‘타자와의 관계 설정’, 즉 내가 너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를 세상을 바라보고 인식하는 출발점으로 삼은 민중미술과 그 이후 시간 동안 이어진 포스트 민중미술, 어쩌면 이 책에서 가장 중요한 가치를 형성하고 있는 1990년대에 형성된 질문과 답변을 통해 그는 한국 현대미술을 정리해 나간다. 물론 그의 글이 만들어내는 언어의 풍경 역시 우리 미술이 간직해야 할 소중한 ‘사건’이다.

『투명한 미술, 반투명한 미술, 불투명한 미술』의 자랑은 한국 현대미술 안팎에 머물고 있는 사람이라면 당연히 필독해야 할 작가 리스트라고 할 수 있다. 김학량, 안규철, 조덕현, 이동기, 손동현, 문성식, 이호인, 권경환, 박광수, 정재호, 정용국, 김보민, 이은실, 파트타임스위트, 강동주, 조성린-박길종-황호경-현시원, 노순택, 정서영, 조습, 배영환, 정직성, 김윤호, 박보나 등 1990년대 이후 한국 현대미술에서 작업 방식과 태도에 있어 미술적인 것을 탐구하는 ‘기준’이 되는 작가들이 망라되어 있다. 언젠가 한국 미술사로 편입될 작가들과 나눈 수평적 대화는 단순히 미술을 보여주고 해석하는 데 그치지 않고 우리가 살아가는 이 땅의 현실을 재현하고 우리의 삶을 들여다보는 시선이자 태도로 기능한다. 미술의 외부에서 미술의 내부를 향한 시선을 거두지 못하는 관조자에게도 이 책은 충분히 권할 만하다. 과거의 화석이 아닌, ‘지금, 여기’에서 한창 벌어지고 있는 한국 현대미술의 상황을 제대로 공부하고 싶은 이라면 이 책은 제법 괜찮은 가이드라고 할 수 있으니 말이다.

여기저기서 들려온다. 이제는 문화예술의 시대라고, 그사이에 미술의 대중화를 논하는 이들도 많아졌다. 실로 많은 사람들이 미술에 대해 묻고, 미술을 이야기하고 있다. 서울 한복판으로 자리를 옮긴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 인파가 몰려들고, 어떤 미술관은 줄서서 입장하는 진풍경이 벌어지기도 한다. 그러나 ‘미술적’인 것이 무엇인지를 진지하게 성찰하는 모습은 많지 않다. 누구나 미술에 다가가고자 하지만 그 밑바탕에 미술에 마음을 줘야 한다는 것을 모르는 듯하다. 그래서 이 책이 더욱 소중해 보인다. 모두가 ‘나(I, me, my, mine)’에 빠져 있는 지금, 내가 아닌 ‘타자’를 향한 마음씀씀이가 담긴 비평을 통해 미술적인 것이 무엇인지를 되묻는 한 권의 책이 있어서 마음이 조금 편해진다. 저자는 말한다. 그 마음을 안고 계속해서 미술 여기저기를 기웃거리겠다고. 우리가 미술평론가이자 독립큐레이터인 이대범의 발걸음에 주목해야 할 이유이다. 



지은이 ㅣ 이대범

1974년 매연 자욱한 영등포 언저리에서 태어났다. 어릴 적부터 꾸준히 해오던 해찰하기를 즐긴다. 2006년 조선일보 신춘문예 미술평론으로 등단했다. 현재는 2009년 작동하기 시작한 ‘roundabout’의 일원이기를 바라며, 글을 쓰고, 전시를 기획/참여하고, 강의를 하며 여기저기를 해찰한다.



목 차


8 작가의 말
19 포스트 민중미술, 무엇에 대한 ‘포스트’인가?
37 가만히 좋아하는_김학량
49 ‘나’와 ‘너’를 통한 ‘우리’ 보기- 대화로서의 미술적 재현_안규철
75 ‘낯선 시간’에서 끌어올린 역사라는 천- ‘발굴 프로젝트’를 중심으로_조덕현
97 아토마우스는 아토마우스가 아니다_이동기
인터뷰. 대중문화에 물들다
125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긴 ‘컬러텔레비전 키드’의 생애_손동현
139 인터뷰. 밤을 바라보고 기다리며 노래한다_문성식
155 ‘아무도 없는 곳’으로 떠났다가 돌아온 ‘방랑자’_이호인
167 지루할 틈 없는 날_권경환
179 더듬듯이 다가가는 좀더 밝거나, 좀더 어두운 세계_박광수
189 ‘이승의 한이 뿜어내놓은 입김’ 안의 혹성_정재호
201 통제와 탈주, 그 둘의 우연한 만남_정용국
인터뷰. 검은 안개
229 ‘저 밖의 풍경’에서 ‘밖의 풍경’으로_김보민
239 말하지 못한 소문으로 가득한 고요한 풍경_이은실
인터뷰. 길 목
261 무명의 공간의 나지막한 소란 그리고 발화_파트타임스위트
275 빛도 어둠도 아니면서, 동시에 빛과 어둠인 세계_강동주
인터뷰. 25시간의 ‘정전’, 그곳을 보라
305 ‘천수마트 2층’의 사랑 이야기_조성림-박길종-황호경-현시원
인터뷰. 자극
327 정착하지 못하는 땅에 발 쭉 뻗고 정착한 ‘얄읏한 공’_노순택
335 무중력 공간_정서영
345 유쾌하거나 혹은 불편하거나_조습
355 새파란 하늘처럼 그렇게 살리라_배영환
363 그는 걷는다, 고로 존재한다_정직성
371 지루하고, 지독한 현실을 유랑하다_김윤호
383 누구도 될 수 있고, 누구도 될 수 없는 ‘X’의 고백_박보나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