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커뮤니티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손의 기억》, 세화미술관

객원연구원

《손의 기억》

2020. 9. 16 - 2021. 2. 28

흥국생명빌딩 3F 세화미술관 1,2 전시실



전시장 입구


이번 전시는 '손 노동의 가치'를 조명하고자 수공예적 창작방식으로 섬유 매체를 다루는 조소희, 최수정, 정문열, 김순임, 최성임이 참여해 그들의 시간, 노동, 서사가 축적된 '손의 기억'을 살펴볼 수 있다.



조소희, <...where...>, 2020, 실 인스톨레이션, 1,500x600x320cm, 650x300x250cm


조소희는 일상 속 반복적인 손 작업을 통해 시간을 가시화하는 작업을 해왔다. 작가에게 그물코를 뜨는 행위는 공백을 짜는 일이며 가벼운 실은 시간을 은유하는 재료가 된다.



조소희, <아, 이 또한 유쾌한 일이 아니냐?>, 2020, 벽에 연필드로잉, 실, 가변크기


중국 명말 청초 시기에 진성탄이 쓴 '행복한 때에 관한 33절' 문구를 실과 함께 설치한 텍스트 작업이다. 작가는 자신의 개념을 시간, 일상과 연결해 행복은 주변에서 발견할 수 있다는 깨달음을 전한다.



최수정, 2020, <춤추는 그림자>, 캔버스에 아크릴과 자수 112x112cm


최수정은 캔버스에 근경의 이미지인 초상과 원경의 이미지인 풍경을 동시에 담아내 회화라는 매체의 한계를 실험한다. 그의 회화는 물감 표면층 위로 자수를 더한 여러 겹의 레이어를 통해 오랜 시간과 서사를 담는다.



최수정, 2020, <초상풍경> 시리즈, 캔버스에 아크릴 자수, 각 150x150cmx7개


강렬한 사이키델릭한 색상의 <초상풍경> 시리즈는 동굴의 풍경으로 위장한 누군가의 초상화들이다. 마치 뫼비우스의 띠처럼 외면과 내면이 연결되어 회화의 환영과 즉물성을 가시화한다.



정문열, 2020, <소리의 나무>, 광섬유, LED, 아두이노 마이크로프로세서, 미니 PC, 사운드 1,000x250x300cm


정문열은 과학기술의 미학적 가능성을 탐구해왔다. <소리의 나무>는 영화 '아바타'에서 영감을 받아 관람객이 광섬유로 표현된 나무가지 숲을 지나갈 때 빛을 내고 반응하도록 설계되었다. 컴퓨터공학 기술을 통해 자연과 교감하며 하나가 되는 일련의 체험을 제공한다.



김순임, <비둘기 소년 Dove Boy : The people 19-Daniel>, 2012, 울 펠트, 깃털, 다니엘의 스니커와 스케이트, 가변크기


김순임은 작가의 역할을 '직조자'라 상정해 공간, 사람, 자연, 지역 등을 서로 연결하고자 한다. 사람을 따뜻하게 해주는 자연 섬유를 주재료로 사용해 그가 만났던 사람들의 모습과 얼굴을 담은 인물 시리즈를 선보인다.



김순임, <코튼 드로잉 11-이옥란>, 2006, 면에 바느질, 인스톨레이션


작가의 어린시절을 함께 한 할머니를 주인공으로 한 작품이다. 관람객에게 누군가의 얼굴을 마주하는 경험은 낯설지만 이내 친숙한 주변인물과 이야깃 거리가 된다.



최성임, <검은 꽃>, 2020, 아크릴, 방모사, 각 6x6x320cmx8개


최성임은 주로 밤시간을 활용해 일상 속 약한 재료들을 모아 부피감을 만들거나 공간 일부를 점유하는 설치작업을 해왔다. 그는 작업에 집중한 밤과 낮의 시간, 손 끝의 감각, 기억의 흔적 등을 작품 속에 포함시킨다.



최성임, <구름>, 2020, 강선, 폴리에틸렌 그물, 강철 링, 지름 200cm 


밤의 이미지와 대조되는 낮의 색과 이미지를 드러낸다. 밤 시간과 낮 시간의 균형을 맞추고자하는 작가의 의도를 살펴볼 수 있다.


빠르게 돌아가는 디지털시대 속에서 천천히 그리고 충실히 쌓아간 작가들의 '손의 기억'은 오늘날 우리에게 손의 가치에 대한 성찰을 불러일으킨다.


조은정 연구원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