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커뮤니티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한국 채색화의 흐름, 국립진주박물관 / 진주시립이성자미술관

김달진

한국 채색화의 흐름

The flow of Korean Polychrome paintings

2022.3.22 - 6.19 국립진주박물관, 진주시립이성자미술관 

    

  

김은호


진주시는  ‘한국 채색화의 흐름: 참眞 색과 참 빛이 흐르는 고을晉州’ 공동기획전을 국립진주박물관과 진주시립이성자미술관에서 3월22일부터 6월19일까지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진주의 대표 작품인 <논개영정>과 진주 출신 박생광을 포함하여 삼국시대부터 근현대까지의 한국 전통회화인 채색화의 흐름을 조명한다. 채색화는 색이 있는 그림을 말한다. 동북아시아에서는 수묵화의 위상이 컸기에 수묵화와 변별을 위해 색채가 들어간 회화로 구분하며, 채색의 정도에 따라 담채, 진채 등의 기법적인 방식으로 설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역사는 1,700년 전인 삼국시대 고분벽화부터 시작되었으며, 고려 불화, 조선시대의 장식화, 초상화, 민화 등 회화 예술을 거쳐 현대까지 오랜 세월을 발전해 왔다. 이 공동기획전을 통해 우리 역사와 함께했던 채색화의 전통과 근대 이후 당대의 시대정신을 담은 채색화 작가를 알아보고, 기억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3월21일 개막식날 조규일 진주시장은 일회성이 아니고 계속되며 국립진주박물관의 구 진주역사 이전, 국립현대미술관 분관 유치 등도 의지를 표명했다. 이원복 추진위원장, 장상훈 국립진주박물관장의 경과보고, 정경두 전 국방부장관, 권순기 경상국립대학교 총장 축사가 있었다.


박생광  제왕 1982년

  

국립진주박물관은 고대편으로 고분벽화, 고려시대 공민왕의 작품으로 전해지는 ‘천산대렵도’를 비롯해 김홍도ㆍ신윤복의 채색화, 작자미상의 ‘수갑계첩’과 ‘회혼례도’, 리움미술관 소장의 보물 제1394호 ‘경기감영도’, ‘십장생도’,이형록의 ‘책가문방도’, ‘일월오봉도’가 전시된다. 민간에서 민화로 일월오봉을 그려 사용했던 ‘일월부상도’,채용신의 작품으로 전해지는‘팔도미인도’도 소개된다.

  

진주시립이성자미술관은 근현대편으로 1부 전통의 계승과 발전, 2부 채색의 흐름, 3부 참진주, 4부 현대적 변용으로 구성했다. 이당 김은호가 그린 조선시대 역사와 이야기 속 대표 여성인 논개, 춘향, 아랑의 초상, 박생광의 ‘제왕’ 이유태의 ‘호국’,박래현의 ‘회고’,박노수의 ‘여인’,천경자의 ‘청춘의 문’,오태학의 ‘소와 아이들’ 이숙자의 ‘보리밭’ 등 총 16명의 작가 작품들이 전시된다.

  

장우성 화실 1943년

  

미술전문가(이원복, 최열, 윤철규, 정준모, 조은정, 김진령, 박성식, 구대회, 김우연, 허금숙 등)들로 구성된 이 전시의 실행위원회는 '전시 주제와 작품 및 작가 선정에 주최측인 전권을 위임해서 가능한 전시였다.'고 밝혔다. 대개 지역의 미술 전시의 경우 지역 작가 안배 등 많은 지역사회의 요구로 인해 전시 기획을 하는 전문가 그룹과  충돌이 있던 이전과는 다른 현상으로 좋은 선례이다. 덕분에 한국의 채색화 중요 작품들이 한자리에 모여 국립중앙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 경기도박물관, 리움미술관, 국립대구박물관, 서울대학교미술관, 금성문화재단, 가나문화재단, OCI미술관, 이영미술관, 밀양시립박물관, 남원향토박물관, 황창배미술공간 소장품을 내줬다.

  


이유태 호국 1956년


기획전 전시기간 중 두 전시장의 관람은 무료이나 국립진주박물관의 경우 진주성 입장료가 발생한다. 쾌적한 관람을 위해 전시장별 시간당 인원 제한이 있다. 기타 문의사항은 국립진주박물관(055-740-0698), 진주시립이성자미술관(055-749-3661)으로 하면 된다.진주시는 유네스코 창의문화도시로 지정을 받고 작년 진주전통공예비엔날레가 열려 문화에 조시장이 많은 관심을 보이지만 인구 35만 진주시에 제대로 된 미술관이 필요한 시점이다. 특히 진주시립이성자미술관은 장소가 좁아 관람이 불편하다. 

  


천경자


오태학 소와 아이들


이숙자, 원문자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