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달진
한국 근현대미술 흐름: 시대 울림
2024.3.7 - 6.9
울산시립미술관
울산시립미술관은 한국 근현대미술의 흐름전 《시대 울림》은190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한 세기에 걸친한국미술의 전반적인 흐름을 미술사적 맥락에서조명하는 전시로 6월9일까지 열린다. 이건희 컬렉션과 가나문화재단컬렉션 일부를 포함하여 국공립 미술관 및 박물관 등미술 기관이 소장하고 있는 한국 근현대미술 작품110여 점을 선보인다.
이 전시에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아카이브 자료가 대량 대여 되었으며 5월17일 방문하여 채홍기관장을 인터뷰하였다,
전시는 한국 근현대 미술의 전개 과정을 살펴볼 수있는 대표적인 작품을 위주로 ‘전통과 변용’, ‘성장과모색’, ‘실험과 혁신’, ‘소통과 융합’이라는 네 개의주제로 구성하였다. 이로써 한국 근현대 미술에서전통의 계승과 변용, 개성과 독자적인 표현, 실험정신과 도전, 일상의 회복과 세계화를 향한 공감과소통이라는 다양한 면모로 진행되어 온 근현대 미술의흐름과 경향을 보여준다.
각 시대의 특수한 역사적, 사회적 배경 속에서 당시작가들이 시대정신과 삶을 미술의 여러 양식 속에어떻게 담아내려고 했는가를 살펴보고, 나아가 그들내면의 정신적 울림과 예술적 감성에 귀 기울여 보고자한다. 한국미술의 세계적인 확장에 부응하여 한국근현대 미술의 진면목을 보다 가까이에서 이해하고한국미술의 정체성을 되짚어 보는 계기가 되고 있다.
1부 전통과 변용
개항 이후 서구의 새로운 사상과 문물의 수용은 근대 초기화단에 변화를 일으켰다. 조선말 전통 화단의 화풍을 그대로이어받는 한편, 새롭게 유입된 미술을 받아들여 서화의영역을 넓혀 나갔으며 서양과 일본 화풍의 영향으로 변화를모색하기도 하였다. 전통적인 사군자화를 비롯하여 구한말 최후의 어진(御眞) 화가 김은호, 전통화법에 서양화의 기법을 가미하여 독창적인초상화를 제작했던 채용신 등 근대 초기 한국화단을대표하는 작가의 작품을 조명한다. 이상범과 변관식은 한국의실경(實景)을 소재로 전통양식에서 벗어나 한국적인 화풍을모색하고 독자적인 양식을 구축하였다. 근현대 한국화단의기반을 마련했던 당시 서화 작품의 다양한 화풍을 살펴보고, 조선말기 전통적인 서화 양식을 계승하면서 새롭게 유입된미술경향을 수용하고 변용했던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나혜석
2부 성장과 모색
광복 직후 많은 예술가들은 작업을 재개하여 다양한 방면에서활동을 펼쳤으며 전쟁과 이념의 대립 등 고단한 시대상황은작가들이 자신의 이념과 사상을 구체화하고 독자적인 미감과화법을 추구하면서 당시의 시대상을 함축적으로 표현하는계기를 만들었다.박수근, 이중섭, 장욱진 등은 다양한 소재와 독특한 화법을통해 새로운 미술경향을 모색하며 독자적인 조형세계를구축하고자 고군분투했다. 한편, 한국 추상미술의 선구적역할을 했던 김환기와 유영국의 추상화 작품은 한국의추상미술이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격동하는시기를 겪었던 당시 작가들은 창작의 자유는 제한받았지만, 전통의 재해석과 현대화를 위한 끊임없는 모색을 통해 한국현대미술의 성장과 발전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3부 실험과 혁신
한국전쟁 이후 산업화와 경제개발 등 급속한 사회의 변화에따른 사회적 갈등과 모순 속에 기존의 체계에 대한 혁신의의지와 요구가 표출되었다. 이러한 격변기 속에 서구의전위적인 추상화의 한 경향인 앵포르멜(Informel)을받아들여 혁신을 추구하며 기존의 미술형식을 벗어난 다양한예술적 실험을 시도했던 작가들의 작품세계를 조명한다. 한편 단색화와 관념적 경향을 추구했던 박서보, 정상화 등은물질의 고유한 속성을 강렬하게 드러내거나 제작과정과 행위자체에서 창작의 본질을 찾고자 하였다. 또한 다양한 국제적 교류가 이루어지기 시작하면서 한국미술계는 서구의 실험적 흐름을 수용하고 행위미술, 개념미술, 설치미술, 비디오 아트 등 다양한 예술적 실험과시도를 했던 작가들이 등장한다. 일부 작가들의 수묵을 통한실험과 조형미의 탐구는 한국화의 현대적인 변용과 가능성을보여주었다.
4부 소통과 융합
1980년대 중반 이후, 해외 개방정책과 국제화의 물결에힘입어 미술계에도 다양한 움직임이 일어났다. 특정한형식과 매체를 벗어나 개인의 내면세계나 시대적 담론을표출하면서 적극적으로 사회적 참여를 시도하고 대중과소통하기 시작하였다. 당시 극사실회화의 선두주자로주목받았던 고영훈을 비롯하여 일상 사물을 통해 비판적현실 인식을 은유적으로 드러낸 한운성은 한국 극사실회화의면모를 보여준다. 한편 일부 작가들은 민족적 정서가 담긴소재를 현대적으로 표현하거나 당시의 현실에 대한 비판적인식을 담아냈다. 이후 ‘공공미술’, ‘다원예술’의 개념이 도입되며 주민이나공간과의 소통을 중시하는 다양한 매체와 형식의 작품들이제작되었다. 특히 2000년대 이후 첨단 과학기술의 발달로미디어아트를 비롯하여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분야의예술창작 활동이 펼쳐지면서 창작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
2전시실에는 '울산 모색 : 울 도시, 울 미술' 기획전도 3월7일부터 6월9일까지 함께 열린다.
전시는 '문화유산', '산업', '생태' 총 3부로 참여작가는 강운구, 김홍명, 박경근, 양희성, 정철교, 장우진 등 16명의 작가다. 전시장 입구 양희성 작가의 반구대 암각화를 형상화한 작품을 시작으로, 맞은편에는 강운구 사진작가가 카메라 렌즈에 담은 반구대 암각화 문양이 내걸렸고, 현대중공업, 태화강 등 다양한 울산이 모습을 오롯이 담은 회화, 사진, 영상 작품 30여점이 펼쳐져 있었다.
특히 김창락 작가의 회화'반구대 풍요제'는 1978년 정부가 민족기록화사업의 일환으로 제작한 작품으로 한국학중앙연구소가 소장하고 있는 작품이다.
FAMILY SITE
copyright © 2012 KIM DALJIN ART RESEARCH AND CONSULTING. All Rights reserved
이 페이지는 서울아트가이드에서 제공됩니다. This page provided by Seoul Art Guide.
다음 브라우져 에서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This page optimized for these browsers. over IE 8, Chrome, FireFox,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