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커뮤니티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톰 삭스 : 로켓 팩토리 페인팅》, 타데우스 로팍

객원연구원

톰 삭스 : 로켓 팩토리 페인팅
2022.6.25-8.20
타데우스 로팍


서울 한남동에 위치한 타데우스 로팍에서 6월 25일부터 8월 20까지 톰 삭스의 프로젝트 ⟪로켓 팩토리 페인팅⟫를 진행한다. ⟪로켓 팩토리 페인팅⟫은 미국 현대 미술가 톰 삭스의 기념비적인 NFT 프로젝트 로켓 팩토리(Rocket Factory)를 중점적으로 조명하는 첫 번째 전시라는 의의를 지니며, 상징적인 브랜드를 차용한 로켓 부품과 이들을 조립한 로켓 NFT 중 14개를 선정하여 제작한 회화 14점을 선보인다.

이 전시는 회화와 회화의 역사, 그리고 수십 년에 걸쳐 맺어진 작가와 회화와의 관계에 관한 것이다. 작가는 팝 아트와 개념 미술을 잇는 새로운 접근법을 제안하고 있다. 전시에서 소개되는 작품에는 작가의 정체성을 형성한 브랜드들이 등장한다. 30개의 브랜드는 톰 삭스라는 사람을 구성하는 일종의 자화상이라고 볼 수 있다.



전시 입구

이번 전시에서 선보이는 14점의 회화는 로켓 팩토리에서 구성된 디지털 아트로부터 기인한다. 작가의 아이패드 드로잉에서 출발하여 다층적 NFT 작품으로 발전된 삭스의 로켓 팩토리는 작가가 근래 가장 심혈을 기울이는 프로젝트 중 하나이다. 그는 소위 Web 3.0라 불리는 디지털 공간과 물리적인 합판 공간을 넘나드는 크로스오버를 시도하며 이를 ‘초차원적 가공 공장(transdimensional manufacturing plant)’이라 일컫는데, 디지털 공간에서 조립된 로켓을 실제 조각으로 제작하는 점이 이에 대한 방증이라고 볼 수 있다.


전시 전경

NFT를 유통하는 다수의 플랫폼이 물리적 예술 작품을 디지털로 치환하는 방식에 그 초점을 맞추고 있다면, 삭스는 가상의 로켓을 청사진으로 삼아 그에 상응하는 물리적 조각 작품을 제작하고 더 나아가 회화로 재탄생시킨다. 이는 기존에 존재하는 NFT 관념을 전복시키는 새로운 형식의 접근이다. 디지털 로켓의 근간은 온라인 커뮤니티에 있지만, 회화로 제작될 로켓을 선정하는 것은 전적으로 작가에게 달려있다.


전시 전경

그러나 톰 삭스의 로켓 팩토리 NFT 컬렉션은 일련의 조건과 규칙만을 제시할 뿐 이를 구매하는 커뮤니티 이용자가 결과물을 생산하는 주체가 된다. 이 기저에는 1968년부터 1972년 사이 큰 반향을 일으켰던 개념미술운동의 정신이 깔려 있다. 30가지의 유명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새겨진 로켓 부품으로 15만 개 이상의 로켓 조합이 탄생할 수 있으며, 따라서 각각의 조합이 탄생하는 경우의 수는 아주 드물다. 커뮤니티는 각자의 선택으로 조합된 천 개의 NFT 로켓을 세상에 선보이고 그중에서 작가가 좋아하는 제목과 조합을 찾아 몇 가지를 페인팅으로 제작했다. 결과적으로 그것들은 모두 작가 자신의 능력 밖에서 일어나는 일들이다.


전시 전경

⟪로켓 펙토리 페인팅⟫에서 삭스는 자신의 작품세계를 반추하며 디지털 픽셀을 회화로 제작하고, 브랜드 아이덴티티로 대표되는 시대 문화적 아이콘을 아날로그적 방식으로 작업함으로써 그가 지난 30년간 이어온 예술적 고찰을 지속한다. 자극적인 제목이 부여된 작품 내에 조합된 세 개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는 그들만의 특별한 교차점을 이룬다.


Tom Sachs, 아크바 제독 Admiral Achar, 2022, Synthetic polymer and Krink on canvas, 182.88x152.4cm


Tom Sachs, 베오울프 Beowulf, 2022, Synthetic polymer and Krink on canvas, 182.88x152.4cm

⟪로켓 펙토리 페인팅⟫에서 삭스는 자신의 작품세계를 반추하며 디지털 픽셀을 회화로 제작하고, 브랜드 아이덴티티로 대표되는 시대문화적 아이콘을 아날로그적 방식으로 작업함으로써 그가 지난 30년 간 이어온 예술적 고찰을 지속한다. 자극적인 제목이 부여된 작품 내에 조합된 세 개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는 그들만의 특별한 교차점을 이룬다.



Tom Sachs, 샤넬 로켓 꼬리 Chanel Tail Assembly, 2022, Synthetic polymer and Krink on canvas, 121.9 x 121.9 cm


Tom Sachs, 새 스티커가 붙은 트로잔 로켓 노즈콘 Trojan Nose Cone with Birdie Sticker, 2022, 
Synthetic polymer and Krink on canvas, 121.9 x 121.9 cm

이 모든 회화는 전부 같은 공식으로 만들어지지만, 각각의 작품들은 완전히 다르다. 작품 속 선들의 패턴은 일정하지만, 만드는 이의 제스처는 일정하지 않다. 개인의 손길이 닿는 바로 그 지점에 예술가가 존재한다. 작품들을 보면 저마다 다른 미묘한 붓놀림과 풍부한 색상을 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같은 필치의 작품을 나란히 두고 보더라도 쉽게 둘을 구분해 낼 수 있다. 이 현상은 블록체인에서도 적용된다.



Tom Sachs, 퍼스 블랙보로 Perce Blackborow, 2022, Synthetic polymer and Krink on canvas, 182.88 x 152.4 cm

시각적으로 동일하다고 하더라도, 블록체인에 저장된 정보는 각각의 개성과 고유성을 증명한다. 이런 방식으로 아주 흡사한 두 개의 작품을 만들 수 있다. 하지만 그들의 제목은 다르다. 다른 시간에 발사되었고, 대체될 수 없다. 하나의 로켓이 다른 로켓과 그 구성이 동일하더라도 두 개의 로켓은 완전히 다르다. 그들은 각각 다른 제목과 이름, 그리고 개별적인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 작품이 제작되는 과정이 작품 내에 여실히 드러난다. 붓질이 지나간 흔적이나 자국들, 작가의 지문들 역시 곳곳에서 찾아볼 수 있다. 디지털 공간의 프로젝트 역시 이와 같다. 각각을 구별 짓는, 마치 워터마크 같은 디지털 지문이 존재한다.


Tom Sachs, 희귀성 차트 Rarity Chart, 2021, Synthetic polymer and Krink on canvas, 182.88 x 152.4 cm

삭스의 회화는 기본적으로 물감의 물질성, 그리고 두껍게 덧칠된 붓놀림과 하드 엣지(hard-edge, 면과 면을 구분하는 또렷한 윤곽선 표현 기법)의 충돌을 활용한다는 점에 있어서 제작 방식의 그 틀은 같지만, 그 안에서 저마다의 특징이 상이하게 나타난다. 작가는 추상표현주의의 전통적인 유화 제작 기법을 사용하면서도, 합성 폴리머(synthetic polymer)라는 현대적 기법을 도입하며 새로운 시도를 도모한다. 이는 기존 예술 접근 방식에 대한 도전임과 동시에 물리적 오브제에 우선순위를 부여함으로써 메타버스를 실재 공간으로 끌어오려는 작가의 부단한 의지이다.

본 전시는 ⟪톰 삭스 스페이스 프로그램: 인독트리네이션⟫(아트선재센터)과 ⟪톰 삭스: 붐박스 회고전⟫(하이브 인사이트)과 맞물려 개최되며 이를 통해 작가의 다양한 작품 세계를 확인할 수 있다.

관람 시간: 13:00-19:00(화-토)/일요일, 월요일, 공휴일 휴관/ 7월 31일-8월 15일 휴관

김희영 hppyhee@naver.com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