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커뮤니티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서스펜스의 도시, 워치 앤 칠 3.0》,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객원연구원

《서스펜스의 도시, 워치 앤 칠 3.0》
2023-04-12 ~ 2023-07-23
국립현대미술관(서울관) 지하1층, 5전시실

 


기자간담회 현장

 

 2023년 4월 11일 화요일 10시 30분, 국립현대미술관 온라인 아트 스트리밍 플랫폼인 ‘워치 앤 칠’의 3번째 전시 《서스펜스의 도시, 워치 앤 칠 3.0》 언론공개회가 서울관에서 이루어졌다. 윤범모 관장의 인사말과 ‘워치 앤 칠’ 시리즈를 기획한 이지회 학예연구사의 전시소개 및 전시투어로 진행되었다.

 

 ‘워치 앤 칠’은 코로나시기 미술관 휴관으로 관람객을 맞이하지 못함을 극복하기 위해 진행된 프로젝트이다. 미술한류 3개년 프로젝트로 2021년에 온라인 플랫폼을 개설하여 미디어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해외 기관과 협력하여 전 세계에서 스트리밍이 가능하다. 2021년 아시아 중심, 2022년 유럽과 중동, 2023년에는 미국과 오세아니아를 거점으로 각 나라의 주요 미술관과 협력전시를 진행하였다. 주제의 경우 2021년에는 사회적 거리두기로 외부 활동이 제한되는 것에 출발하여 집의 연결성에 대해 이야기하였고, 2022년은 디지털 세계의 감각과 교류를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2023년은 미디어 작가와 작품을 한층 더 몰입하여 불안정하고 긴장감을 일으키는 작품에 초점을 맞추었다.

 

*온라인 플랫폼 링크: https://watchandchill.kr


 

 《서스펜스의 도시, 워치 앤 칠 3.0》은 호주의 빅토리아국립미술관(NGV), 미국의 피바디에섹스미술관(PEM), 브라질의 토노페스티벌(TONO)과 함께한다. 전시명은 이번 국립현대미술관의 오프라인 전시 공간을 구현한 건축가 푸하하하프렌즈(한승재, 한양규, 윤한진)의 <서스펜스의 도시>(2023)을 그대로 차용하였다. 총 28점의 미디어 작품이 온/오프라인으로 선보인다. 전시 구성은 5가지 카테고리로 구분되어 있다.

 

참여 작가
: 가루쉬 멜콘얀, 권하윤, 나오미 린콘 갈라르도, 닉 해밀턴, 루이즈 로케, 리앙 루스콤비, 리오 샴리즈, 메리엠 베나니, 박찬경, 송상희, 세실 B. 에반스, 스카위나티, 앨리슨 응우옌, 자콜비 새터화이트, 장민승, 정은영, 정재경, 치트라 가네쉬, 카리나 우토모&큐라8, 클럽 아테(저스틴 숄더&벤지 라), 파이어룰 달마, 팔로마 콘트레라스 로마스, 푸하하하 프렌즈, 피아 보리

 

전시구성
1부 ‘달빛 아래 풍경’, 2부 ‘증거의 재구성’, 3부 ‘몸의 변이’, 4부 ‘죽지 않는 퍼포먼스’, 5부 ‘디스토피아 이후 세계 짓기’

 

 

[질의응답]

 

Q ‘서스펜스’를 주제로 가져온 이유는?
: 현대미술을 어떻게 몰입할 수 있을까? 에서 출발하였다. 긴장과 불안정함을 느낄수록 강렬한 감정을 느끼는 것처럼 몰입을 극대화하려는 방안이자 서술로서 ‘서스펜스’를 주제로 전시를 기획하였다. 

 

Q 미디어 영상 중 1시간 이상의 장편의 경우, 현장에서 오롯이 전부 감상하는지 의문이다.
: 현장에서 몇 시간 동안 머무르며 모든 작품을 시청하는 것은 생각보다 어려운 일이다. 이런 물리적 공간과 상황의 한계를 보완한다는 점에서 온라인을 통해 편히 관람하게 하고자 하였다. 한편, 현장에서만 느낄 수 있는 공간적 경험은 특별하다. 이미지를 직접 볼 수 있는 공간을 감각적 비주얼로 만들기 위해 건축가 협업을 중시하는 이유기도 하다.

 

Q 온라인의 평균 시청시간은?
: 2년 동안 102개국에서 총 3.6만 명이 접속하였다. 평균 20분 정도로 1년 동안 약 4분이 증가하였다. 머무는 시간에 대한 평균으로 정략적 수치로 보기보다는 정성적 수치로 봐야 한다. 여러 번 나누어 시청할 수도 있고, 배속으로 시청할 수 있기에 수치 기반의 평가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질적 관람을 위해 <나만 아는 이야기 3.0> 위성 프로젝트를 만들었다. 소설가, 사회학자, 건축이론가 등 온라인 플랫폼 경험담을 글로 공유해볼 수 있는 플랫폼이다. 시청만이 아닌 텍스트로 읽고 쓰며 전시를 깊이 관람할 수 있도록 하였다.

 

Q 온라인에서 영상은 하나씩 공개되는가?
: 온라인에선 한 번에 공개되지 않는다. 시퀀스를 주고자 하였다. 정해진 날에 하나씩 공개되어 9월에 모든 작품을 시청할 수 있다. 내년 4월 7일까지 1년 동안 온라인 플랫폼에 공개된다. 오프라인 현장에선 모두 관람이 가능하다. (오프라인 전시의 경우 국립현대미술관을 시작으로 멕시코, 미국, 호주로 순회 전시가 될 예정이다.)

 

Q 온라인을 접속하면 보이는 대화문은 무엇인가?
: 멍하게 바라보는 것을 방해하고자 만들었다. 작품을 시청할 땐 나타나지 않는다. 홈 화면에 머무를 때 서술적 AI 대화체 텍스트가 나타난다. 플랫폼의 재미 요소로 봐주길 바란다.

 


1부 달빛 아래 풍경

 


앨리슨 응우옌 <안드라8: 내가 제일 좋아하는 소프트웨어는 여기 있는 거야>(2020-2021)
: 알고리즘으로 생성된 디지털 안드라8에 대한 이야기이다.

 

2부 증거의 재구성

 


정재경 <어느 장면>(2021)
: 두 배우가 도스토옙스키의 소설 『죄와 벌』(1866)에서 살해와 죄를 어떻게 재현할 것인지 대립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3부 몸의 변이

 


송상희, 〈다시 살아나거라 아가야〉(2017)
: 한국의 인민혁명당사건, 나치 인종 교배 프로젝트 에벤스보른, 체르노빌 이후 우쿠라이나 프리피야트, 일본 정부주도 탄광도시였던 북해도 유바리시 등 극단적인 상황과 생명에 대해 이야기 한다.  
 

 

4부 죽지 않는 퍼포먼스

 

 

정은영, <나는 왕이야! / 죄송합니다. 공연이 지연될 예정입니다 / 가곡실격-사잇박 / 유예극장>(2018)
: 여성국극과 퀴어에 대해 이야기한다.

 

 

5부 디스토피아 이후 세계 짓기

 


정재경, <금, 송>(2023)
: 종말 후 살아남은 소수의 인간과 윤리적 문제를 다룬다.



2부와 3부 사이, 온라인 플랫폼을 접속해볼 수 있다.

 


 

푸하하하프렌즈(한승재, 한양규, 윤한진), <서스펜스의 도시>(2023)
: 전체 전시 공간을 건축가 푸하하하프렌즈가 구성하였다. 흡음재가 내장된 스테레오 사운드 시스템이 사용되어 헤드셋 없이 작품을 오롯이 관람할 수 있다. 미로 속 펜스 구조로 답답함이 느껴진다면 보이는 비상구로 탈출할 수 있다. 


 

 현장감을 느낄 수 있는 오프라인 전시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 모두 경험해보길 바란다. 전시연계 퍼포먼스와 큐레토리얼, 건축, 퀴어에 대한 대담도 참석해보길 추천한다. 

 

작성: 신소연
museum@daljin.com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