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커뮤니티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조명치 해양문화특별전》, 국립민속박물관 본관 기획전시실

객원연구원






《조명치 해양문화특별전》
국립민속박물관 본관 기획전시실
2023.5.3.~8.15.



 국립민속박물관은 지난 달 조기·명태·멸치가 지닌 문화적 의미와 현재 우리 바다가 처한 상황을 조명하는 전시인 조명치전을 개최하였다. 한국인이라면 어렸을 때부터 밥상에서 흔히 만나온 먹거리인 조기, 명태, 멸치는 우리에게 친숙한 물고기이다. 이번 전시는 시각적 자료 뿐만 아니라 청각, 후각 등의 자료를 통해 오감으로 느끼는 전시를 보여주고 있다. ‘조명치전’에서는 옛 문헌들부터 그물 등의 어업 도구, 어시장과 어물전, 위판과 파시 등 170여점의 자료를 소개한다. 








 전시는 총 3부로 구성된다. 1부 ‘밥상 위의 조명치’에서는 다양한 조리방식으로 ‘조명치’를 즐겼던 우리 문화를 소개하고 있다. 잘 보이지 않지만 다른 음식에 스며들어 맛을 내는 멸치. 멸치는 조선시대에도 다양한 음식 재료로 활용되었고, 예나 지금이나 가장 영향력 있는 맛의 지휘자라고 할 수 있다. 조기와 명태는 음식 기능을 넘어 기원의 의미를 담은 의례와 신앙적 의미로까지 나아간다. 그래서 조기와 명태는 제사상에 오르는 중요한 제물이다. 











 2부 ‘뭍으로 오른 조명치’에서는 조명치에 생계를 의지해 살아간 사람들의 이야기를 통해 조명치의 판매, 유통, 가공과정을 살펴본다. 이 섹션을 통해 황태 덕장 사람들, 어시장 상인, 위판장 경매사와 중도매인 등 우리의 밥상이 수많은 사람들의 노고를 거쳐서 지켜진 것을 알 수 있다. 시장의 현장을 실감나게 재현하여 생선 냄새까지 느낄 수 있게 하는 등 오감 체험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였다.









 3부 ‘조명치의 바다’에서는 현재 조명치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조기, 명태, 멸치의 공간인 바다와 함께 환경이야기도 살펴본다. 조기를 잡던 어선의 모형, 조기잡이 신으로 추앙되는 임경업 장군 그림, 창살 모양의 고기잡이 도구가 그려진 옛 지도, 1940년대 촬영한 명태 관련 영상 등을 볼 수 있다. 또한 환경오염으로 인해 조명치의 어획량이 감소하는 실태를 보여주며 해양 생태계 보존의 중요성을 이야기한다. 









 이번 전시는 소리와 냄새까지 조명치의 현장을 생생하게 느끼며 우리 문화와 그 실태에 대해 생각해보게 하는 전시이다. 박물관의 우아하고 엄숙한 전시실의 이미지를 깨고 우리 문화와 삶을 조기, 명태, 멸치를 통해 보여준다. 전시를 기획한 김창일 학예연구사는 “지금은 조명치가 가득하던 바다를 그리워하던 실정”이라면서 “해양 생태계의 변화가 곧 우리 밥상의 미래와 직결된다는 점을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고 하였다. 물고기를 전면에 내세운 신선한 전시를 통해 우리 민족의 삶과 현장, 그리고 현재 우리의 삶까지도 생각해보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 


(글: 국립민속박물관 전시도록 참고) 
원선경 edu@daljin.com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