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도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단행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예술풍수:동양화에 담긴 미학, 그리고 풍수를 말하다

  • 청구기호654.9188/딩58ㅇ
  • 저자명딩시위안 지음;이화진 옮김
  • 출판사일빛
  • 출판년도2010년
  • ISBN8956451480
  • 가격25000원

상세정보

오랜 기간에 걸쳐 고대 중국의 회화 전반에 대한 폭넓은 연구와 분석을 진행해 온 결과물을 바탕으로 예술적 관점에서 최초로 풍수론을 도입하였다. 예술품의 본연에 내재된 풍수, 전래 과정 속에 존재하는 풍수 그리고 소장 및 전수 과정에서 풍수의 작용과 길흉화복 등 ‘예술풍수’의 의미를 풀어나간다.

책소개

이 책은 중국 그림의 역사를 꿰뚫어 읽어내면서 그 작품들 속에 깃들어 있는 미학을 비롯해 그것에 오롯이 담겨 있는 심미관을 다각도로 조명하고 분석한다. 
또한 중국의 묵화와 채색화 내면을 따라 흐르며 전해져 내려오고 있는 재료와 기법, 필묵(筆墨)과 산세(山勢)와 수류(水流), 명암(明暗)의 강함과 약함을 비롯해 좋은 그림에 관한 해석과 감정(鑑定)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모든 궁금증을 풀어 간다. 특히 중국 서화의 황금기라고 할 수 있는 송나라 시대 그림 속에 담겨 있는 풍수를 예로 들어 구체적인 감상법과 분석법을 제시한다. 
그밖에도 미인화에 내포되어 있는 의미와 미적 요소, 기운생동(氣韻生動)의 내재적 함의와 미감, 세계 예술 발전에 미친 풍수의 역할 등 흥미로운 이야기들이 펼쳐진다. 특히 이 책에서 공개하는 ‘예술풍수의 60가지 길조와 흉조’는 예술품을 구매 소장하는 데 있어서 훌륭한 참고 자료가 될 것이다.
지은이는 오랜 기간에 걸쳐 고대 중국 회화 전반에 대한 폭넓은 연구와 분석을 진행했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예술적 관점에서 최초로 풍수론을 도입하여 ‘예술풍수론’을 제창하였다. 지은이는 예술풍수론의 근거로서 중국 회화 역사의 흐름과 각 시대의 화풍과 기법, 주요 화가와 그의 작품을 분석함으로써 ‘예술풍수’ 속에 담긴 풍수의 비밀과 의미를 세 가지 측면에서 풀어간다.

지은이 | 딩시위안
일본국립학술진흥회 특약연구원, 상해미술관 부관장 등을 역임하고, 현재 상해미술관 연구원, 상해중국화원 소속 화가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해상화파(海上畵派)』,『허곡연구(虛谷硏究)』,『임백년(任伯年)』,『국보감독(國寶鑒讀)』등이 있으며, 중국 회화사에 관한 논문이 여러 편 있다. 현재 그의 저서와 논문들은 북경 수도박물관과 상해박물관을 비롯해 여러 연구 기관에서 연구 토론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옮긴이 | 이화진
숙명여자대학교 중문과와 이화여자대학교 통번역대학원 한중과를 석사 졸업했고, 중국 사회과학원에서 수학했다. 주베이징서울문화무역관(서울시청 베이징대표처)에 재직했으며, 현재는 번역 에이전시 (주)엔터스코리아에서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역서로는 『중국 국가 지리 정화』,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휴양천국 100』, 『평형의 미학』 등 다수가 있다.

목차

1장 예술풍수란 무엇인가? 
01 풍수는 없는 곳이 없다 / 02 풍수의 본래 의미 : ‘풍’에 대한 해석 / 03 풍수의 기원 / 04 풍토와 인정

2장 예술풍수 개요
01 그림에는 음양이 있다 / 02 회화와 건축 / 03 걸개그림과 방위 / 04 기국과 해위 / 05 길상운 / 06 ‘길상’의 해학적 비유 / 07 송나라 시대 그림의 작시법 / 08 남북종과 양생의 도

3장 수묵절창水墨絶暢
01 중국화의 재료와 기법 / 02 수묵과 필묵

4장 그림 속의 산수와 예술풍수
01 산의 형태 : 오성과 구성 / 02 중국화에 나타난 강물의 변천 과정 / 03 그림 속의 명암과 용맥

5장 송나라 그림 속의 풍수
01 산山
범관의 「계산행여도」/ 곽희의 「조춘도」/ 이당의 「만학송풍도」
02 수水
이숭의 「월야관조도」/ 송나라, 작자 미상의 「송간산금도」/ 하규의 「계산청원도」
03 조鳥
송나라 휘종의 「부용금계도」/ 송나라, 작자 미상 「암순도」/ 양해의 「추류쌍아도」
04 음音
마원의 「심당금취도」/ 송나라, 작자 미상 「하당안악도」
05 죽竹
문동의 「묵죽도」/ 임춘의 「매죽한금도」
06 풍風
이적의 「풍우귀목도」/ 최백의 「쌍희도」/ 송나라, 작자 미상의 「해당협접도」
07 화花
송나라, 작자 미상의 「출수부용」/ 송나라, 작자 미상의 「앵속화」/ 송나라, 작자 미상의 「두화청정」
08 설雪
송나라, 작자 미상의 「설제도」/ 남송 시대, 작자 미상의 「설계행여도」
09 월月
마린의 「동파시의」/ 마린의 「대사야월」
10 인人
송나라 휘종의 「청금도」/ 송나라, 작자 미상의 「경획도」/ 이위의 「죽림유거도」

6장 예술풍수와 서화 감상
01 육법과 예술풍수 / 02 방위를 보다 / 03 음양을 분별하다 / 04 풍수를 밝히다 / 05 필묵을 보다

7장 예술풍수의 60가지 길흉

8장 미인화와 예술풍수
01 미인, 수토, 그리고 심미 기준 / 02 중국의 미인화 / 03 미인화와 풍수

9장 운과 풍수
01 운에 내포된 의미와 기원 / 02 운미와 기운 / 03 운과 예술풍수

10장 인류 예술에 나타난 풍수의 변천
01 세계 예술 발전의 두 갈래 / 02 조각과 회화의 예술 변천 / 03 동서양 예술풍수의 융화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