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체주의 건축가인 저자가 20세기 후반의 대표적 건축가 10명을 조명한 책이다. 저자는 대학에서 강의한 세미나 수업을 바탕으로 10개의 건축물에 대한 통찰력 있는 해석을 제시한다. 작품마다 수십 장의 이미지와 도면은 거장들의 작품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으며 커다란 감동을 전달한다.
책 소 개
해체주의 건축가 피터 아이젠만이 20세기 후반의 대표적 건축가 10명을 조명한 책. 저자가 프린스턴 대학에서 2003년부터 강의한 세미나 수업을 바탕으로 10개의 건축물에 대한 통찰력 있는 해석을 제시한 역작이다.
열 명의 거장-루이지 모레티, 미스 반 데어 로에, 르 코르뷔제, 루이스 칸, 로버트 벤추리, 제임스 스털링, 알도 로시, 렘 콜하스, 다니엘 리베스킨트, 프랭크 게리-의 작품 중에서 각각 오직 하나의 선구적인 작품을 선택하여 섬세하게 분석한다.
아이젠만은 1950년에서 2000년 사이의 가장 중요한 건물과 프로젝트를 정밀하게 분석함으로써 이 건축물들이 어떻게 현대건축의 새로운 공간과 형식을 제시했는지 이해할 수 있게 한다. 각 작품마다 수십 장의 이미지와 아름다운 도면은 거장들의 작품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게 해주며 커다란 감동을 전달한다.
현대건축의 거장 10명의 작품을 읽다
이 책은 “건축적 텍스트 바깥에는 아무것도 없다”라는 아이젠만의 생각을 반영하는 결정판이라 볼 수 있다. 이러한 생각의 바탕에는 건축이 곧 ‘텍스트’이며, ‘보는’ 대상이기보다는 ‘읽는’ 대상이며, ‘기능’보다는 ‘의미’를 묻는 것이 보다 적절하다는 의식이 깔려 있다. 1960년대를 풍미했던 이러한 인식론적 전환은 모던이후의 건축을 논하는 데 있어서도 여전히 필수적인 조건으로 남아 있다.
오직 하나의 작품에 대한 정밀독해
현대 건축가에 대한 이해가 대부분 겉핥기에서 멈추는 이유는 대표작에 대한 깊이 있는 해석과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 책의 열 명의 건축가에 대해 저자는 각각 오직 하나의 작품에 수 십 페이지를 할당하여 정밀한 해석을 가한다. 저자가 제시하는 섬세한 다이어그램과 명쾌한 문장을 통한 정밀독해는 현재의 건축이 태동하게 된 순간을 포착하는 방법론이다.
아름다운 도면
건축가는 도면으로 말한다. 그 자신이 현대의 대표적인 건축가인 아이젠만은 이론가이며 동시에 건축가의 시선으로 건축물들을 바라본다. 그리고 역사적 전환점을 만들어 내는 순간들을 각 건축물에서 포착하고 이를 여러 장의 아름다운 도면으로 분석하여 보여준다.
새로운 규범의 창조를 위하여
아이젠만이 재정의하고 있는 규범적 건축은 포스트모던이라는 특정한 시대정신에 국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그러한 시대정신을 창출하는 것이 규범적인 것의 기능이다. 저자는 동시대의 다양성과 차이를 긍정할 것을 역설하고 있다. 이것은 외부의 명령으로서가 아니라 내적 창조의 힘으로서의 규범을 의미한다. 저자의 글과 그림을 따라가다 책장을 덮을 때에 이르면 우리의 시선은 우리시대의 역동적인 규범의 창조를 위한 새로운 가능성으로 열리게 될 것이다.
지은이 ㅣ 피터 아이젠만 (Peter Eisenman)
1932년 뉴욕 뉴저지(New Jersey)주 뉴어크(Newark)에서 태어났다. 1960년 콜롬비아대학원에서 도시계획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1962년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석사, 1963년에는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케임브리지대학교, 프린스턴대학교, 쿠퍼유니온, 메릴랜드대학교에서 교수를 지냈다. 1980년대에 들어서는 현대 건축의 흐름을 주도하는 대표적인 건축가로서 명성을 얻었으며 현재 뉴욕의 아이젠만 건축사무소의 대표이다. 오하이오주립대학교 웩스너 예술 센터와 베를린의 유럽 유대인 학살 기념관은 미국 건축가 협회가 선정한 National Honor Awards of Design을 수상했다.
옮긴이 ㅣ 서경욱
고려대학교 건축공학과를 졸업한 후 Georgia Tech에서 석사, University College London의 바틀렛 건축대학에서 모폴로지 이론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대우건설, 아키프라자 건축사사무소, 미국 Wendel-Duchscherer에서 설계실무를 했으며 현재 경기대학교 건축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도시 및 건축공간 분석 연구로 해외 저명저널에 다수의 논문을 게재했고 현재 한국연구재단 지원으로 사용자해석 주거공간Interpretable Housing에 대한 연구를 수행 중이다.
옮긴이 ㅣ 고영선
고려대학교 건축공학과를 졸업한 후 미국 Yale School of Architecture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일건건축사사무소, 미국 Polshek Partnership Architects와 Michael Fieldman Architects에서 다양한 규모와 유형의 설계실무를 했다. 현재 홍익대학교 건축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The Place/ 그곳_Design Lab 설계 사무소를 운영하며 다양한 작품활동을 하고 있다.
옮긴이 ㅣ 박순만
고려대학교 건축공학과와 동 대학원에서 건축공간의 위계에 따른 재실자의 피난 행태에 대한 이론을 연구한 뒤 Columbia University에서 미국 대학의 연구개발 활동이 지역경제 발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문으로 도시계획학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서울대 환경대학원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하고 지역 및 계급 간 정보격차와 경제적 격차에 대한 연구를 진행중이다.
옮긴이 ㅣ 박훈태
서울대학교 도시공학과 및 동 대학원에서 도시설계를 전공하였으며, University College London의 바틀렛 건축대학에서 도시공간분석 이론으로 박사를 취득했다. 현재 MIM 매핑 및 모델링 연구소를 운영하며, 탄소발생 저감을 위한 도시공간배치 모델을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유비쿼터스 공간담론의 도시건축적 해석』, 역서로『프라이버시와 공공성: 대중매체로서의 근대건축』,『신자유주의 세계화의 공간들』 등이 있다.
옮긴이 ㅣ 남궁돈기
미국 보스턴 Northeastern University에서 건축공학과를 졸업한 후 Georgia Tech에서 건축학 석사를 취득했다. PFVS Architects와 Minoru Yamasaki Associates에서 다양한 국내외 프로젝트의 설계실무를 수행했으며, 미국 건축사 면허(AIA)를 취득 후 Design-Build회사인 ADC Architects와 ADC Construction Services의 대표를 역임했다. 현재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에 재직중이며 성남시 도시개발공사 건설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목 차
감사의 글
아이젠만의 규범: 모던에 관한 상반된 기억 - 스탄 알렌
서문
1. 텍스트의 윤곽 - 루이지 모레티 ‘일 지라솔레’ 주거 1947-50
2. 우산 다이어그램 - 루드비히 미스 반 데어 로에, 판스워스 주택, 1946-51
3. 텍스트적 이단 - 르 코르뷔제, 스트라스부르 의사당, 1962-64
4. 격자무늬에서 통시적 공간으로 - 루이스 I. 칸, 애들러와 드보어 주택, 1954-55
5. 9정방 다이어그램과 그 모순들 - 로버트 벤추리, 바나 벤추리 주택, 1959-64
6. 물성의 전환 - 제임스 스털링, 레스터 공과대학, 1959-63
7. 유추의 텍스트 - 알도 로시, 산 카탈도 공동묘지, 1972-78
8. 보이드의 전략 - 렘 콜하스, 주시우 도서관, 1992-93
9. 축의 해체 - 다니엘 리베스킨트, 유대인 박물관, 1989-99
10. 부드러운 우산 다이어그램 - 프랭크 게리, 루이스 빌딩, 1997-2002
참고문헌
역자후기
찾아보기
도판출처
역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