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부
![]() | 이대철 : Tattoo on the back 2014-09-19 ~ 2014-09-28 | 아트컴퍼니긱 070-7795-7395 | artcompanygig.co.kr 작가자신이 어릴 적 새긴 등 뒤의 문신을 통해 집단 안에서 타인에게 인정받고 사랑받고자 하는 인간의 심리를 작가의 시선으로 통찰하고자 한다. 작가는 작품에서 “I LOVE YOU”, “FOREVER” 등 인간의 사랑과 감정을 나타내는 글귀를 입체적으로 섞어서 사용했다. 하지만 이를 표면적으로 보았을 때 가시성이 극도로 흐트러지도록 작업을 했다. |
![]() | 문효정 : 오묘한 소녀, 에린 2014-09-21 ~ 2014-09-28 | 갤러리자인제노 002-737-5751 | zeinxeno.com 인형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주인공(Erin)은 현 사회의 익명성과 충족되지 못한 소유욕의 대변이다. 현실과 상상속의 세계의 모호함을 표방하고 있다. 인형의 형상학적 개입의 이유는 소비 사회 속에서 불만족한 욕구의 표현이다. 인간의 본성을 인형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주인공_Erin이 제공하는 상황재현의 은유적 표현이 필요로 더 친밀해졌을 것이다. |
![]() | 이종철 회화 : 90도의 철학 PHILOSOPHY OF 90° 2014-09-02 ~ 2014-09-21 | 진화랑 02.738.7570 | jeanart.net 호는 열린 형태로 유기적 관계를 만들 수 있습니다. 호가 이루는 화면은 각각 하나의 단위(unit)로서 규칙적이면서도 다양하게 변화하는 구조를 생성시킬 가능성을 지닙니다. 절제된 네 가지의 색, 모르타르(mortar)가 만들어내는 최소한의 두께감과 마티에르의 균형 역시 가능성과 상상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선택입니다. 상상을 위한 열린 구조는 소통의 무한 확장을 통한 관계의 유희를 은유 합니다. |
![]() | 서독으로 간 에트랑제, 이응노 : 1959년 독일 순회전 2014-06-14 ~ 2014-09-21 | 대전이응노미술관 042.611.9800 | ungnolee.daejeon.go.kr 1959년 독일의 세 도시(프랑크푸르트, 쾰른, 본)에서 열린 네 번의 고암 순회전 당시 작품과 자료, 현지에서의 평가 등을 집중 조명하는 자료전으로, 1950, 60년대 서구 현대미술의 흐름 속에서 고암의 예술세계를 조명하고자 한다. |
![]() | ![]() | ![]() | ![]() |
고충환 : 박용일 / 보따리에 고이 싼 삶, 꿈, 현실 |
고충환 : 박상우 / 명상조각, 명상의 관념을 표상한 |
이선영 : 홍순명 / 부분이자 전체인 세계 |
이선영 : 장용선 / 잠재성, 실재의 새로운 차원 |
하계훈 : 최혜인 작가 |
하계훈 : 한기창 작가 |
*책 표지를 클릭하면 해당 도서로 연결됩니다*
FAMILY SITE
copyright © 2012 KIM DALJIN ART RESEARCH AND CONSULTING. All Rights reserved
이 페이지는 서울아트가이드에서 제공됩니다. This page provided by Seoul Art Guide.
다음 브라우져 에서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This page optimized for these browsers. over IE 8, Chrome, FireFox,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