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아카이브교육프로그램 <라키비움프로젝트2> 7차강연

학예실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에서는 아트아카이브의 개념과 다양한 사례, 우리나라 주요 문화기관 및 연구자들이 아트아카이브를 어떻게 구축, 운영하는지 다각도로 검토하고 한국의 아트아카이브에 대한 다양한 현황과 제반 현상에 대해 점검하고 고민해보는 준전문가 프로그램을 개설하였다.

 

학생 및 일반인뿐만 아니라, 유관기관의 전문가들도 참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제 현장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문제와 필요성을 고민하는 한편, 2013 라키비움 프로젝트 에서 아카이브에 대한 이론중심의 논의가 이루어졌다면, 올해에는 아트아카이브로 주제를 좀 더 특화시키고 한국의 주요 아카이브 기관의 현황과 해외소재 한국학 자료의 현주소, 네트워크 중심의 현재형 아카이브에 이르기까지 현장 사례 중심의 특강형식으로 프로그램을 구조화했다.

8강으로 이루어진 전체 프로그램은 크게 아트아카이브의 개념과 주요 사례’, ‘아트아카이브의 수집과 활용2섹션으로 구성되었다.

 

123일 수요일 오후 6시부터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2층에서 7차 강연이 이루어졌다. 이번 강연은 정보원(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예술자료원 학예사)'한국근현대예술사 구술채록사업운영 현황과 이슈 소개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예술자료원 운영사례를 중심으로라는 주제로 진행되었다. <2013라키비움프로젝트>에서 구술채록에 대해 개념 및 이론중심으로 다루었다면, 이번 강연에서는 실제 아카이브기관의 운영사례 중심으로 살펴볼 수 있도록 준비하였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예술자료원은 예술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보존하여 예술창작과 연구, 교육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기 위하여 1979년 설립된 국내 최초의 예술기록보존 전문기관이다. 2003년 시작한 한국 근·현대 예술사 구술채록사업은 예술사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의 절대적인 부족과 이에 따른 예술사 연구의 단절과 공백을 메우기 위한 시도에서 비롯되었다. 원로예술인들의 예술적 체험과 작품 세계를 집중 기록하는 작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연극, 무용, 음악, 시각, 문학 등 다양한 예술장르에 걸쳐 244(2003~2013)의 원로예술인의 구술기록을 확보하였다고 한다. 이날 강연자는 예술자료원의 특화사업인 구술채록에 대해 구술채록사업기획 및 관리자 입장으로 소개하였다. 강의는 크게 구술채록의 이해’, ‘예술자료원 사업수행 현황’, ‘운영현안 및 이슈’, ‘향후 과제를 살펴보도록 구성해 구술채록이란 무엇이며, 왜 구술채록을 해야 하나? 고민해보고자 하였다. 강연자는 구술채록사업에 대해 따뜻한 사업이라고 표현하며 강의를 시작하였는데 먼저 구술자료의 성격과, 진면목을 살펴보며 구술채록에 대해 이해 한 후, 예술자료원 사업수행 현황에 대해 예술자료원 사업기획 취지 및 내용, 사업추진경과, 사업예산, 사업수행절차, 사업수행 구조 및 역할, 구술채록 유형, 사업수행 통계, 사업수행결과물 및 관리, 활용사례 등을 통해 들여다보았다. 연구인력풀 구성의 문제, 구술자료의 생산과정의 노고, 채록방법, 맥락보존의 중요성, 구술자료 관리 및 서비스문제 등 운영현안 및 이슈에 대해 살펴보고 향후 과제에 대해 고민해보며 마무리 지었다. 강의 마지막에는 미술이론가 정양모 선생님 구술채록영상을 살펴보는 시간을 가졌다. 독립운동가인 아버지를 회상하며 울컥하는 영상을 보며 수강생들도 함께 울컥하였는데 강의 도입부에서 구술채록사업에 대해 따뜻한 사업이라고 표현한 것에 대해 공감할 수 있었으며, 그러한 점들이 기록이 넘쳐나는 이때, 구술채록의 의미가 여전히 유효하다는 것을 증명해주었다.


 



 






추운 날씨 속에서도 강연을 듣기위해 지방에서 올라오는 등 많은 수강생들이 참석하여 자리를 빛내주었다. 120분 시간동안 열띤 강의로 사업기획자, 구술자료 및 연구방법에 관심 있는 연구자에게 예술자료원의 구술채록사업 내막에 대해 세세히 알아볼 수 있는 귀중한 시간이었다.


<라키비움프로젝트2>는 앞으로 1개 강의만 남겨두고 있다. 마지막 강의는 1217일 수요일 열린다. 서진석 (대안공간 루프 대표) - ‘ 아시아 정체성과 아트아카이브: 아시아 아트 네트워크 포럼을 중심으로라는 주제로 진행될 예정이다.

마지막 강의에는 1-8회차 우수 수강생에게 작은 선물 증정식, 참석자들 중 추첨을 통해 선물주는 작은 이벤트도 있을 예정이다.

 

>>>>>>> 강의 신청하러 가기~

https://docs.google.com/a/daljin.com/forms/d/1y1Cqrt78BFKZJgfxvRtNe_txnwqGeB45V3vslMv_YZs/viewform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