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현대미술관은 <젊은모색 2019: 액체 유리 바다>전을 6월 20일부터 9월 15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에서 개최한다.
국립현대미술관 개관 50주년을 맞이하여 5년 만에 부활된 <젊은모색>은 국내에서 가장 오래되고 권위 있는 신진 작가 발굴 프로그램이다. 이불, 최정화, 서도호, 문경원 등의 이름을 알린 본 프로그램은 한국 동시대미술의 가능성 있는 작가들을 소개하고, 국내 미술 현장을 가늠하는 지표를 제시해왔다. 이번 <젊은모색 2019: 액체 유리 바다>전에서는 9명의 청년 작가와 그들의 신작 52점이 최초 공개된다. 전시 개막에 앞서 19일에 진행된 기자간담회에 참석하였다.
기자간담회에 앞서 윤범모 국립현대미술관 관장의 인사말이 있었다. 윤범모 관장은 “<젊은모색>이라는 전시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젊은 작가들이 다양한 주제와 형식을 통하여 실험적인 작업을 하면서 다양한 목소리를 만들어내는데, 이를 많은 사람이 와서 직접 경험하기를 바란다”고 하였다. 아울러 “한국 현대미술의 기라성 같은 작가를 많이 배출한 <젊은모색>전이 이번 전시에서도 그 명성을 이어가길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국립현대미술관은 신진-중견-원로-작고 작가를 균형 있게 다루고 지원하는 작업을 계속 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기자간담회에 참석한 9명의 작가들 모습.
전시개요를 설명하고 있는 이번 전시를 기획한 최희승 학예연구사.
최희승 학예연구사는 “<젊은모색>은 1981년 <사회청년작가전>으로 시작하여 올해 19회 차로, 이번 전시에서는 참여 작가 9명에게서 발견된 공통의 키워드인 ‘액체 유리 바다’를 부제로 선정하였다”고 말하면서 본 전시의 전체적인 개요와 주제를 설명하였다. 여기서 부제는 구체적으로 “동시대 한국 젊은 작가들의 자유롭고 유동적인 태도를 상징하면서 단단하고 섬세한 액정유리 같은 현실을 더욱 투명하고 선명하게 반영하는 젊은 작가들의 성향과 끊임없이 율동하는 바다처럼 멈추지 않는 흐름으로 존재할 그들의 가능성을 의미한다”고 설명하며 전시 공간 또한 각각의 공간을 가지고 있되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형성하게끔 하였다고 밝혔다. 최희승 학예연구사는 전시의 주제와 개요 설명을 마치고 참여 작가와 작품을 설명하였다.
준비된 순서가 끝나고 진행된 질의응답에서 최희승 학예연구사는 “본 프로그램에 나이제한은 없으며 무엇보다 중요하게 작용하였던 기준은 젊은 정신과 참신함” 이라고 밝혔으며 앞으로도 <젊은모색>전시는 이루어질 예정이라고 하였다. 강수정 전시1과장은 5년 만에 진행된 신진 작가 발굴 프로그램에 <젊은모색>이라는 제목을 붙인 이유에 대하여 “전통을 가져오면서 젊은이들의 작업을 보여줄 수 있는 미술관의 태도를 담은 것”이라고 말하며 “제도와 나이와 공간을 뛰어 넘은 젊은 작가의 참신한 콘텐츠를 보여주기 위한 노력의 결과”임을 밝혔다.
작품 설명을 하고 있는 김지영 작가.
사회 시스템으로 인해 발생한 재난과 희생된 개인에 관심을 가지고 같은 일이 반복되어서는 안 된다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작업을 하는 김지영 작가는 이번 전시에서 희생자들을 애도하고 추모하는 공간을 회화와 조각을 통해 구성한다.
작품 설명을 하고 있는 송민정 작가.
송민정 작가는 SNS와 애플리케이션 등을 이용하여 동시대의 대중문화가 소비되는 방식을 작품을 통해 보여주면서 ‘현재’라는 시점을 강조함과 동시에 발화 대상에 관하여 질문을 던진다.
작품 설명을 하고 있는 안성석 작가.
안성석 작가는 작가 본인의 10년 동안의 일상을 돌아보면서 사람들이 관성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던 세상에 사진, 영상, 설치 등 다양한 매체로 질문을 던진다.
작품 설명을 하고 있는 윤두현 작가.
경쾌하고 유쾌한 태도가 돋보이는 윤두현 작가는 가상과 상상, 실재의 경계를 넘나들며 컴퓨터 바탕화면 이미지를 사용하여 거대한 풍경을 만들어낸다.
작품 설명을 하고 있는 이은새 작가.
자신만의 회화스타일로 사회의 모습을 담아내는 이은새 작가는 자신과 주변에서 목격한 부조리, 금기시된 장면들을 재해석하여 수면아래에 있던 것들을 수면 위로 올려 그림 위에 생생히 펼쳐놓는다.
작품 설명을 하고 있는 장서영 작가.
장서영 작가는 몸의 안팎에서 일어나는 감각을 스크린 너머로 더욱 선명하게 제시한다.
작품 설명을 하고 있는 정희민 작가.
회화의 새로운 표현 방식을 보여주는 정희민 작가는 이미지 사이의 부딪힘과 그로부터 발생하는 촉각적인 감각을 탐구하며 이는 몽환적인 형상으로 나타난다.
작품 설명을 하고 있는 최하늘 작가.
조각이라는 장르를 중심에 두고 다양한 관심사를 3차원 입체 작업으로 보여주는 최하늘 작가는 동시대에도 여전히 유의미한 조각을 보여준다.
작품 설명을 하고 있는 황수연 작가.
황수연 작가는 주변에서 발견한 재료를 탐구하며 그 형태가 변화하는 과정에서 자신만의 조형언어를 발견한다.
전시전경 :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9명의 작가들은 미디어의 이미지, 스마트폰 앱, 유튜브 등에서 발견한 특성과 정서를 통해 시대적인 고민과 정면 대결하기도 하고, 인터넷의 파도에 몸을 맡겨 함께 떠다니기도 한다. 신작 52점을 포함한 53점의 작품에서 발견할 수 있는 그들의 실험성과 참신함, 그리고 그들을 잇는 연결고리인 동시대성을 관람을 통해 직접 경험하길 바란다. 전시는 9월 15일 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