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Art salon de H와 파리 친구들 part2 _ 김명남: Écriture blanche 하얀 묘법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김명남 개인전 《 Écriture blanche 》전시 개최



《하얀 묘법 Écriture blanche 》이라는 타이틀로 
2023년 7월 13일부터 8월 7일까지 전시
Art Salon de H 아트살롱 드 아씨갤러리 
*전시 오프닝: 2023년 7월 13일 목요일 오후 5시



Art Salon de H 갤러리는 2023년 7월 13일부터 8월7일까지 김명남의 개인전 《 Écriture blanche 》을 개최한다. 1993년부터 서울과 파리를 오가며 활동 중인  김명남은  활발한 작업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다.

김명남은 순백의 화면을 뚫거나 긁어내는 방식과 삼베나 모시로 한지위에 작가의 내면의 글쓰기를 통해 세상과의 소통을 모색한다. 자국의 흔적들은 마치 언제 생겼는지 인지하기 어려운 인간의 피부, 주름처럼 시간과 기억의 지층들로 보인다. 켜켜이 쌓아 나간 작가의 기록은 《하얀 묘법 Écriture blanche 》의 전시장에 한데 모여 순백의 공간을 경험하는 것으로 시작되어, 점차적으로 드러나는 점과 선의 흔적들을 따라가면 알려지지 않은 미지의 풍경과의 마주침으로 확장된다. 이러한 만남에 대해 프랑스의 미술비평가 필립 피게(Philippe Piguet)는 “형언할 수 없는 어떤  외딴 곳으로  향하는 비범한 명상” 으로의 초대라고 표현했다. “비범한 명상”의 기능을 담당하는 미니멀한 순백의 화면은 작가의 내적 고민과 사유의 결과로써 탄생한 것이다. 녹내장이라는 진단 앞에 작가는 붓과 색을 모두 내려놓고 흰색의 의미와 삶(예술)의 근본을 지독하게 탐구했고, 그 결과로 색을 제거하고 작가 주변의 가장 가까이 있던 도구들을 이용해 한지에 바늘, 실, 송곳으로 종이를 떠 올려, 드로잉 하듯 작업을 풀어왔다. 이번 Art Salon de H 갤러리에서 작가는 특히 조명의 빛을 이용하여 작품과 공간 간의 밝음과 어둠 대비를 극대화하는 시각적 효과를 창출한다. 무한의 공간 속에 침투하는 빛과 그로 인해 선명히 드러나는 종이 표면의 도드라짐, 점과 선의 의도/비 의도된 운율은 관람객으로 하여금 외부의 잡음을 소거하고 전시공간에 몰입하게끔 만들어 명상적 경험의 공간을 열어 놓는다. 김명남의 작품 속에 때때로 삼베 실과 모시실 등으로 내면의 언어로 풀어내는 작업 앞에서는, 관람자에게 오래전 우리들의 어머니들이 가슴을 녹여 내었고, 표현했었던, 베틀 앞에 앉아 있는 그 어머니들 표상, 혹은 깊은 심연 속에 자리한 인간 존재를 상기시킨다. 이번 김명남의 개인전에서, 작가는 감상자와 작품이 만남으로써 생성될 또 다른 이야기를 제한 없이 개방한다.

‘’…녹내장으로 인해, 깊은 생각을 해 봤다. 어떻게 작업을 해 나가야 하나? 그 답은 … 바로 내 안에 있었다. 그때 나는 붓과, 내가 좋아하는 색깔들을 내려놓고, … 이제까지의 삶을 되돌아보았다. 평생을 종이로 작업을 해왔고, 나의 삶 속에서 바늘과 실은 늘 내 가까이 있는 물건들이었다. (중략) 흰색은 삶의 모든 것을 덜어내기도 하고, 흡수할 수 있는 색이다. 모든 걸 내려놓고, 그냥 묵상으로 초대하는 색깔이다. 또한 삶에서 가장 가파른 절벽에 처할 때와 가장 희열을 느낄 때, 빛처럼 강하게 와닿는 색이었다. … 나는 송곳으로 하얀 화면에 흔적을 남기며 여행을 떠난다. 그리고 그 여행에서 만난 사람들과 소통을 한다. 이쪽에서 저쪽으로 바라볼 수 있는, 빛을 투영하고, 공기가 양쪽으로 흐르는 그래서, 모두가 좋아지는, 좀 더 평화로운 삶과, 휴식이 되는 그런 작업을 위해, 늘 하얀 화면 위를 여행하고 있다.” - 작가노트 중 일부 발췌
김명남 작가의 작품은 언뜻 보면 단순한 백지처럼 아무것도 없는 듯하지만, 그 순백 속에는 무언의 기록인 점과 선이 고요한 정신적 풍경을 빚어낸다. 이번 전시를 통해 지금의 시대에 깃든 시각적 포화 상태에서 잠시 이탈하여 외딴 풍경과의 조우를 경험해 보길 바란다.



■ 작가 소개
김명남 (b. 1961)
서울과 파리를 오가며 활동 중인 작가는, 현재 프랑스 정부 문화성으로부터, 파리에 작업실을 제공받아 작업중이고, 한국은 진주시 정수예술촌에 작업실이 있다. 베르사유 미술대학교 판화학과 학과장으로 재직 중이며. 많은 개인전과, 그룹전을 참여했고, 아트 파리, 쾰른 아트페어, 광주비엔날레 Mega-exhibition (아시아전당 ) 및 다수 살롱전, 아트페어 참가.  한국, 프랑스, 미국, 독일, 이태리, 스페인, 그리스, 일본, 중국, 대만, 인도, 룩셈부르크에서 전시 참가. 프랑스 유수 6 살롱에 올해의 작가로 선정되어, 살롱 기간동안 초대 개인전(노바 아트,빌 백시. 살롱 데 보자르 가르슈, 가르슈 시. 국립 현대미술전, 샤텔로 시. 살롱 뒤 베지네, 베지네 시. 14회 국제판화 비엔날레 에르몽 시. 살롱데 보자르 몽마니, 몽마니 시) 판화그룹 “잉크의 인상들”그룹을 창립. 프랑스 유수 공모전, 살롱전 심사위원 및 위원장과, 울산 목판화 비엔날레와 다수 전시에 프랑스 커미셔너로도 참가함.

2019년 김명남의 1985 년 작업 부터, 하얀 묘법 으로의 작업의 여정을, 파리 국립아시아 기메 박물관에서의 컨퍼런스와 더불어, 여러 국제 컨퍼런스에 참여했다. 2022년에는 한불 현대목판화 결의 만남전을 김포문화재단 김포아트빌리지 아트센터, 파리 주불 한국 문화원, 베르사유 미술대학교전에 총감독을 역임함.  
 
주요 수상 내역
프랑스 이블린 도지사 상, 살롱 도톤느  젊은 판화가상, 프랑스 유수 살롱 올해의 작가  6회 선정 등

레지던시
2018 영은창작스튜디오 10기 단기 입주작가, 영은미술관, 경기도 광주
이전: 마산아트센터, 서울문화재단 금천 미술공장, Artoll Artiste(독일), DAKSHINACHITRA 미술관 2회  (인도, 첸나이)

작품 소장처
프랑스 국립도서관, 파리 시립 세루니치 미술관, 프랑스 :이블린 도청, 프랑스 에르몽 시, 생망데 시, 기앙쿠르시, 주 프랑스 한국대사관, 주 그리스 대사관
서울 : 미술은행, 아트에디션, 금천구청, 울산시
일러스트레이션으로 프랑스 시인들과 시집 협업

2015 Passeurs de Rives, avec Cécile Oumhani, publié par La tête à l’envers, France
          Enjamber le fleuve, publié par Daniel Leuwers. France
2012 Vie saxifrage, avec Gabrielle Althen, publié par Al Manar Alain Gorius, France
2010 Écrire et Peindre au-dessus de la Nuit des Mots, publié par Voix d’encre, France
2009 Temps solaire, avec Cécile Oumhani, publié par Voix d’encre, France
2005 Demeures de mots et de nuit, avec Cécile Oumhani, publié par Voix d’encre, France

myoungnamkim.com (김명남 홈페이지)
https://vimeo.com/457065594 (퍼포먼스)
https://www.inkocentre.org/writing_in_white.html (인도 첸나이 인코센터 온라인 전시)




               


Écriture blanche III, 켄파스위에  아르쉬 종이 위에 송곳으로 글쓰기97x194cm 부분2018            




Écriture  blanche  켄파스위에 아르쉬종이 위에글쓰기3500x100cm 2022 (작업광경) 
              

          

Écriture blanche  Hahnemühle종이위에 삼베실로 글쓰기70x50cm, 부분2018




Écriture blanche   한지위에 삼베실로 글쓰기 60x92cm 부분2020
   



Écriture blanche  한지위에 삼베실로 글쓰기 23,6x19cm 2021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