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권순익 초대전_시간의 틈: 오늘

  • 전시분류

    개인

  • 전시기간

    2023-07-01 ~ 2023-08-12

  • 전시 장소

    화이트스톤갤러리_대만

  • 문의처

    886 2 8751 1185

  • 홈페이지

    http://www.whitestone-gallery.com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2023년 권순익 초대 개인전 
“ 시간의 틈: 오늘 ” Interstice of Time: Soonik KWON at Present 

-일본의 선구적인 갤러리, 화이트스톤 갤러리 대만지점에서 25점의 회화작품과 기와설치를 처음 선보여 -


-전 시 명 : 권순익 초대전 “시간의 틈: 오늘” 
           Interstice of Time: Soonik KWON at Present 時光間隙:進行中的權純益
-전시 기간 : 2023. 7. 1 (토) – 8. 12 (토)
-오프닝 리셉션: 2023. 7. 1 (토) 오후 4시 (권순익 작가 참석)
-전시 장소 : 화이트스톤 갤러리_대만 / 1F, No.1, Jihu Rd., Neihu Dist., Taipei City, 114, Taiwan (R.O.C)
-관람 시간 : 화-토요일 11:00-19:00 (일, 월요일 및 공휴일 휴무)
-출품 장르 : 회화 (25점) 및 설치 작업
-전시 문의 : +886 2 8751 1185


 권순익 작가의 개인전이 개최되는 화이트스톤 갤러리(대표: 고이에 시라이시 Shiraish Koei)는 1967년 도쿄 중심부에 설립된 이래로 일본 미술계의 선구적인 역할을 해 온 갤러리 중 하나로서 일본 및 국제적인 예술가들의 작품을 전시하기 위해 노력해오고 있다.

 예술과 지역 간의 대화를 더욱 활성화시키기 위해 2012년 일본 Karuizawa에 사립 미술관 New Art Museum(2012)을 개관했으며, 이후에도 로컬 및 글로벌 관점으로 시야를 확대해 아시아에서 가장 활성화된 미술 시장인 홍콩에 Whitestone Gallery Wong Chuk Hang Road (2015년 3월)와 아트시장의 중심인 H Queen’s 빌딩에 Whitestone Gallery를 개관하였다.
 일본 유명 건축가 겐고 쿠마가 디자인하고 감독한 화이트스톤의 세계 여러 지점은 예리한 미학과 근현대 미술을 전시하기 위한 화이트스톤의 철학과 비전을 담고 있다.

 화이트스톤 갤러리는 홍콩 본사를 기점으로 도쿄, 타이페이, 싱가포르에 지점이 있으며 2023년 5월 베이징과 9월 서울 지점 개관을 준비 중이며, 세계 각 지역과 협력하여 재능 있는 예술가들을 홍보하고, 역사적으로 중요한 예술가들과 예술 운동들을 국제 관객들에게 소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일본 건축가 겐고 쿠마의 건축양식이 가장 잘 선보이는 화이트스톤 갤러리 대만 지점에서 초대전을 가지는 권순익(1959) 작가는 뉴욕, 베네수엘라 국립미술관, 중국 파워롱 미술관 등의 글로벌 미술관뿐만 아니라, 마이애미 상하이 ART021, 싱가포르 아트페어 등 국제적 아트페어에서 작품을 선보이며 많은 주목을 받았으며, 영은 미술관 등에서의 국내 미술관 전시를 통해 한국 현대미술, 특히 미니멀 추상작품으로 활발한 활동을 해오고 있다. 

 회화의 기본인 점. 선. 면을 그려나가는 그는 이번 전시에서 두 가지 시리즈 ‘무아’를 시작으로, 최근작들인 면을 나타내는 ‘틈’을 그려내고 있다. 



Mirage 신기루 (2-01)_180x150cm_Mixed media on canvas_2023


1. 전시실:  무아無我- 명상과 물질의 흔적

작가의 어린 시절 문경 탄광촌에서 우연히 만났던 흑연이라는 재료는 황홀한 아름다움 그 자체였다. 흑연이라는 재료는 눈에는 검은색으로 보이지만, 빛을 만나면 반짝이는 속성이 매력으로 다가온다. 흑연이 갖는 검은색은 어둠이 아니라, 빛을 머금은 어둠이다. 이 빛을 통해 진리로 나아갈 수 있는 틈을 발견한다. 
권순익 작가는 도예와 구상회화를 거쳐 2010년경 ‘명상적인 추상화’라 평가할 [무아] 연작의 세계를 시작한다. 모노톤으로 밑칠을 한 후에 사각이나 원형 혹은 파형의 패턴을 구획 한 후 그 위에 붓으로 색 점을 반복한다. 그 위에 흙과 안료를 섞어, 또 다른 점인 ‘덩어리 점’을 나이프로 올리고, 그 다음 흑연을 입혀 문질러 검은 광택을 만들어 낸다.
권순익 작가는 세상을 보는 자신의 생각을 미니멀 추상화로 풀어내는 화가이다. 무아(無我)라는 화두에 천착하면서 작업을 시작했다. 불교의 무아는 시공의 세계에서는 영원히 변하지 않는 자아가 없다는 뜻이다. 하지만 작가에게 무아는 몰아(沒我)다. 캔버스와 내가 하나가 되어서, 작업에 몰입한다. 
 

Interstice - Pile up & Rub 틈 - 적·연(積·硏) 01-04_72.7x60.6cm_Mixed media on canvas_2023


2. 전시실: 틈 또는 적.연
 
 [틈]연작인 [적積. 연硏] 시리즈는 캔버스 위 넓게 포진하는 몇 개의 면들이 맞부딪히면서 만들어내는 내면의 긴장감 속에서 진가를 드러난다. 색이 다른 둘 이상의 화면이 서로 마주하고 구성되어 물감을 바르고, 그 위에 또 다른 물감으로 두꺼운 색 층이 다른 물감 층을 형성해 나간다.
 면 과 면 사이에 그 틈을 연필심(흑연)으로 문질러 올리면서 빛을 형성한다. 검은 빛의 띠는 전형적인 오목한 형태를 띠며, 화면에 깊이의 공간을 만들어 낸다. 노동의 시간을 투여한 집적 행위는 바로 노동을 통한 명상이라고 볼 수 있다.
‘틈’ 시리즈는 과거와 미래 사이에는 영원으로 통하는 틈이 있는데, 그것이 바로 ‘현재이며 오늘’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오늘’을 갈고 닦아 빛나게 할 때 영원으로 통하는 ‘틈’이 보인다. 결국 오늘을 잘 살 때 지금 이 순간은 완벽해진다. 현재를 충실하게 살아가는 것, 이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는 권순익 작가는 자신의 작품을 통해, 힘든 시기에 『현재의 오늘』을 살아갈 수 있는 위로와 위안을 전하고자 한다.





3.전시실: 기와 설치 작업
 
 어느 날, 우연히 책 속에서 만난 기와에 대한 화두에서 시작되었다. 老스님을 찾아온 제자가 ‘어찌하면 빨리 득도를 할 수 있느냐’고 물었을 때, 老스님은 기와를 들고 와 "이것을 거울처럼 투명하게 빛이 날 때까지 문질러라". 그만큼 거친 기와가 투명한 거울이 되기는 힘들다는 점을 글로 읽으면서, 작품은 화가로서 득도, 즉 완성이라는 것은 없다. 하지만 끊임없이 거친 표면의 둔탁한 기와 표면을 갈고 닦아 나가다 보면, 빛이 나리라는 생각에서 착안하였다.  

 '땅에서 쓰러진 자, 그 땅에서 일어나리라.' 라는 부제로 시작되는 기와는 한국의 전형적인 기와위에 자연스런 두께의 형태를 만들어, 그 위에 흑연(연필심)을 문질러 추상적 마티에르를 형성한다. 180여개의 한국 기와를 자연스럽게 쌓아 올리거나, 벽에 펼쳐 보이는 작업이다. 흔히 절에 가면 많은 신도들이 간절한 염원을 적어 쌓아 놓여 있는 바람을 함께 기원하는 마음으로 쌓아간다.




권순익 Soonik Kwon (1959)


세종대학교 회화과 졸업 
 
개인전
2023 화이트스톤 갤러리, 대만 
2022 통인화랑, 서울
2021 아트소향 갤러리, 부산
2020 흰물결 아트센터, 서울
2020 2448 문파인아츠, 서울
2019 Miaja 갤러리, 싱가포르 
2018 Saphira & Ventura 갤러리, 뉴욕, 미국
2018 ‘積·硏(적·연) - 쌓고, 갈다’, 영은미술관, 경기도
2017 ‘無我(무아)’, Imaginart 갤러리, 바르셀로나, 스페인
2016 가일미술관, 경기도
2016 ‘無我(무아)’, Museo de Arte Moderno (MAMJAA), 메리다, 베네수엘라
2015 UNC갤러리, 서울
2015 줄리아 현대미술관(Museo de Arte Contemporaneo del Zulia), 베네수엘라
2015 한국-베네수엘라 수교 50주년 기념전- 베네수엘라 국립현대미술관(Museo Nacional de Arte Contemporaneo Caracas), 베네수엘라
2014 ‘無我(무아)’, 갤러리 팔레드 서울, 서울
2011 흰물결 갤러리, 서울
2011 ‘신명나게 놀자’ 목인박물관 기획초대전, 목인박물관, 서울
2011 LGM Arte International 갤러리, 보고타, 콜롬비아
2011 ‘은유의 시간’, Espacio de UBS Punta del Este, 우루과이
2011 마이라 갤러리, 마이애미, 미국
2010 ‘은유의 시간’, 백송화랑, 서울
2010 콜롬비아 톨리마 미술관 초대전(Museo de Arte del Tolima), 이바게, 콜롬비아
2010 우루과이현대미술관초대전(Museo De Arte Contemporaneo de el Pais), 몬테비데오, 우루과이
2008 ‘읽다’, 백송화랑, 서울
2007 한국일보 미술관, 서울
2006 갤러리 호르헤 온티베로스, 마드리드, 스페인
2005 인데코 갤러리, 서울

단체전 및 아트페어
2023 ART CENTRAL,(화이트스톤 갤러리), 홍콩
2022 ART021 (화이트스톤갤러리), 상하이, 중국
2022 Art Taipei (화이트스톤갤러리), 대만
2022 파워롱 미술관, 중국 
2022 Xu Gallery – 파워롱 아트센터, 중국
2022 키아프서울(화이트스톤갤러리, 아트소향), 서울
2022 아트부산(화이트스톤 갤러리, 아트소향), 부산
2022 Epoch 미술관, 윈저우, 중국
2021 ART021 (화이트스톤 갤러리), 상하이, 중국
2021 화랑미술제, 코엑스, 서울
2020 Saphira & Ventura 갤러리, 뉴욕, 미국
2014-2020 KIAF(한국국제아트페어), 코엑스, 서울
2020 아트소향 갤러리, 부산
2018 CONTEXT New York(컨텍스트 뉴욕), 뉴욕, 미국
2018 아트부산, 벡스코, 부산
2017 CONTEXT Art Miami(컨텍스트 마이애미 아트페어), 마이애미, 미국
2016 SCOPE MIAMI BEACH, 마이애미, 미국
2016 양평군립미술관, 경기도
2013 Art Stage Singapore, 싱가포르
2012-2009 KIAF(한국국제아트페어), 코엑스, 서울
2011 SH - The Asia Pacific Contemporary Art Fair, 상하이, 중국
2011 SCOPE 아트페어, 뉴욕, 미국
2010 상하이 아트페어, 상하이, 중국
2009 Comparaisons, Grand Palais - Champs- Elysées, 파리, 프랑스
2008 북경올림픽 국제교류미술대전, 시안, 중국
2008 ‘월간조선 평론가 선정 현대작가 55인전’, 한가람 미술관, 서울
2007 ‘문화의 만남’, 갤러리 온띠베로, 마드리드, 스페인
2007 ‘2007 시겐사’, 코스모아르떼 갤러리, 알리깐떼, 스페인
2006 ‘한.미국제교류전(한국문화원장초대)’, 메디슨대학, 워싱턴, 미국
2005 기획초대전, Gallery Espacio, 카라카스, 베네수엘라
2005 ‘한국의 해 기념-한.독 문화교류전(뉴-넨시장 초대)’, 독일
2005 ‘한.중 문화교류전 (중국 태안시장 초청)’, 태안, 중국


레지던시프로그램
2008 코스모 아트 갤러리, 스페인
2010 제주현대미술관 1기 입주 작가, 제주도
2017 영은미술관 10기 입주 작가, 경기도 광주

작품소장
국립외교원 / 줄리아 현대미술관, 베네수엘라 / 베네수엘라 국립현대미술관 / 톨리마미술관, 콜롬비아 / Epoch 미술관, 중국 /  태평양건설 / 성남아트센터 / (주)박영사 / 한국일보 / 해태제과 / LG화학 / 동양제철화학 / Cosmo Arte Gallery, 스페인 / 그 외 개인 소장 - 싱가포르, 베네수엘라, 중국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