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WebZine] 2024년 5월

편집부

Seoul Art Guide × Weekly Mailzine
서울아트가이드로고
2024.5.24 - 2024.5.30
+ Every Friday

메일진 배너 게재문의 02-730-6214  



http://www.daljin.com/display/D094850
Exhibition
포스터를 클릭하면 상세정보가 새 창으로 연결됩니다.
전시 진행 및 전시장 방문 가능 여부를 꼭 확인하세요!
문선영: 엮,꺼내다
2024-05-10 ~ 2024-05-31 | 갤러리은
070-8657-1709 | galleryeun.com
 

표면적인 색채와 민화의 보편적 가치가 아닌 바느질과 자수 기법으로 만들어진 도상의 유사성을 강조한다. 시간성과 반복성을 통해 치유적, 수행적 결과물에 도달하는 자수처럼 한 붓 안에 많은 시간을 내포하고 작업하는 문선영 작가의 작업의 공통점을 중심으로 그 가치에 대해 조명하고자 한다.

흙, 회전하다 The Spinning Earth 전
2024-05-04 ~ 2024-06-02 | 남원시립김병종미술관
063-620-6185 |
 

남원의 도예 전통을 미래지향적으로 계승하고자 흙을 주제로 옛 도자와 현대미술을 접목하여 문화혼종성을 고찰한다. 조선시대 백자와 청화백자, 심수관 자기 45건과 함께 현대미술 작품 25점을 선보임으로써, 남원도자전시관 고유의 콘텐츠를 실험한다. 구본창, 김두진, 이강소, 이성자, 이세현, 이수경 작가가 이번 전시의 주제인 ‘흙, 대지, 도자’와 관련된 작품들로 한 자리에 모였다.

소목장세미 장생 액티비티
2024-04-26 ~ 2024-06-02 | 한솥아트스페이스
02-2033-9642 | instagram.com/hansot_artspace
 

전시공간을 하나의 액티비티 라운지로 재구성하여, 바쁜 일상 가운데 몸의 감각을 다시 인식해보는 가벼운 시간 갖기를 제안한다. 마치 체력 단련장을 연상시키는 트랙을 따라 미니골프, 동심협동게임, 푸스볼게임, 기타 스포츠 오브제들이 코스처럼 짜여 있는데, 이는 관람자로 하여금 쉽고 간단한 몸의 활동을 유도한다.

공성훈: 바다와 남자 전
2024-04-02 ~ 2024-06-01 | 선광미술관
032-773-1177 | sunkwang.org
 

1965년 인천에서 태어난 작가 공성훈은 1990년대 후반까지 실험적이고 전위적이고 다양한 예술매체들로 작업을 하였지만 2000년 이후부터 주매체를 회화로 전향하였다. 그의 작업은 예술가로서의 고뇌하는 자아상과 풍경 등을 큰 캔버스에 담아 한국의 대자연의 숭고미와 그 안에서의 인간의 길을 통찰해 왔다.

공예의 숲 전
2024-04-02 ~ 2024-06-02 | 청주시한국공예관
043-219-1800 | cjkcm.org
 

〈공예의 숲〉은 나무 본연에 대한 깊이 있는 사색을 다룬 이 시대 목공예 작가들의 작품을 다루고 있으며, 나무의 자연스러운 곡선과 질감을 살린 작품들을 통해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보여주는 전시입니다.

누구의 숲, 누구의 세계 전 2024년 대구포럼 Ⅲ
2024-01-30 ~ 2024-06-02 | 대구미술관
053-803-7900 | daeguartmuseum.or.kr
 

지구라는 작은 행성에서 인간이 중심되는 서사를 위해 대상화하고 소외했던 존재자와 풍경 그리고 시간들을 성찰하는 자리이다. 이 전시에는 오늘날의 자연, 비인간적 존재, 인간이 발전시켜 온 도시와 문명의 발전 속 풍경들의 내‧외부를 천천히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하여 우리가 발 딛고 있는 지구라는 작지만 거대한 숲이 누구의 숲이고, 누구의 세계인지 질문한다.



Critic & Review
클릭하면 상세정보가 새 창으로 연결됩니다.
  고충환 : 이연숙/ 기억의 복화술, 무의식보다 깊은, 때로, 깃털처럼 가벼운
  김성호 : 김기주 / 이야기가 있는 풍경
  김영호 : 필립 파레노 개인전 : 영속적인 시간과 공간을 유영하기
  김종근 : 유목민적 예술가의 욕망 언어-Jay의 다양성
  이선영 : 김가을 / 보이는 것이 전부는 아니다
  연구소Blog: 서울시립미술관 2024 전시 계획 기자간담회
  연구소Blog: 심철웅 작가 연구실 방문
  연구소Blog: 《댄 리: 상실의 서른 여섯 달》, 아트선재
  연구소Blog: 《에르베 튈레》,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연구소Blog: 〈김달진, 한국 미술 아키비스트' 출판기념회〉 예술가의집


Book & Magazine
책표지를 클릭하면 상세정보가 새 창으로 연결됩니다.
로절린드 크라우스 컴북스 이론총서

최종철 지음 | 커뮤니케이션북스 | 2024년 2월 | 12,000원

현대미술은 난해하다. 로절린드 크라우스는 이런 예술의 의도와 욕망, 내적 본질을 묻고 관객의 경험에 초점을 맞춰 현대미술을 비평하며, 현대 예술이 망각한 ‘모더니즘’을 다시 기억하라고 말한다. 동시대성에 집요한 관심을 두고 새로운 담론 안에서 자기 쇄신을 거듭해 온 그의 비평은, 친숙하지만 난해한 작가들을 다시 보게 한다.

부산에서 찾아보는 이중섭 흔적 예술문화총서 11

정석우 지음 | 해피북미디어 | 2023년 12월 | 19,800원

작가 이중섭은 6•25 전쟁 중이던 1950년 부산에 피란 왔다가, 그가 작고한 56년 전까지 약 2년을 부산 여기저기서 지냈다. 우암동, 범내골, 동촌 등 조각난 글과 말을 모아 붙여, 그가 부산 어디서 어떻게 지냈는지 차곡차곡 재구성했다. 부산항이 중섭에게 기대와 고통이 교차하는 공간임을 읽어내고, 당시 피란민의 삶까지 복원한다.



Notice & Event
배너를 클릭하면 상세정보가 새 창으로 연결됩니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