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18)김학량 / 전통을 화두로 삼은‘인문적 제스처’

김현숙

이 작가를 추천한다(18)

김학량은 웅얼거리며 천천히 말을 시작해서 목소리 톤의 변화 없이 조용하게 자기 얘기를 끌고 가는데도 구지 목청 높여 얘기하는 쪽보다 더 집중을 하게 만드는 스타일이다. 미술대학 동양화과 졸업, 대학원 미술사 전공, 미술관 큐레이터를 하면서 작업을 병행하더니 작가이자 큐레이터로서의 쉽지 않은 2중역을 ‘마실 나가듯’ 혹은 겨울 밤 ‘동치미 마시듯’ 우물우물, 급하지 않게, 대단하지도 않다는 듯 해나가면서 어느 새 대학 교수라는 타이틀까지 겸하고 있다. 작가는 자신의 멀티플레이어적 존재감에 대해 스스로를 우연기생충 이라 하였는데, 한 가지 직업에 충실하기도 어렵고 성공하기는 더더욱 어렵다는 상식을 가볍게 빗겨나 용케도 다복한(?) 가장이요, 교수도 되고, 큐레이터 상도 받고, 이 처럼 추천할만한 작가도 되는 것을 보면 그의 자연스러운 호흡의 역량이 단지 스타일로만 평가되지 않음이 확실하다.



김학량은 미술 작업을 ‘인문적 제스처’ 라고 칭한다. 인간과 사회와 예술에 대한 궁리로서의 작업이란 문사철(文史哲)을 겸비한 통찰력과 비전을 담는 그릇이자, 예술 작업의 특성 상 ‘제스처’ 즉, 드러냄의 ‘방식’이 중요하다고 보는 것이다. ‘전통’을 화두로 삼은 그의 작업을 들여다보면 동양화과 출신 성분의 자취가 역력한데, 그렇다고 ‘동양성’ ‘정신성’ ‘자연’을 염두에 두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그러한 도식화되고 폐쇄적인 개념에 염증을 느끼면서 “내 육신으로 세상과 교접”하고자 사군자와 서예에 치근댄다. 길거리에서 주은 녹슨 철사를 어느 시멘트 틈새에 풀처럼 난초처럼 박아놓고 사진으로 인화하여 그 위에 사인과 낙관을 한 <부작란>은 추사 김정희의 난초로 대변되는 동양화의 캐논에 대한 농이자 도전이다. 좀처럼 지필묵을 쓰지 않으면서 펜으로 이러저러한 시의 부분들을 베껴 쓰기를 즐기는데, 이름 하여 ‘현대적 서예’에 대한 궁리로서의 일상적 글씨체는 추사체를 연상시킬 만큼 운치 있고 능란하며 소담하기도 하다. 작은 공간에 큰 뜻을 비천하게 담는 작업 방식은 전시 기획에서도 어김없이 등장한다. 바닥, 구석, 전시장 외벽, 천장 등 소외된 공간을 드러내 하얀 벽으로 한정된 미술관 개념을 교란시키고, 필요하다면 윤두서나 겸재 정선 등 박물관 소장급 명화를 복사하여 침으로 꽃아 임시변통하는 데에도 거침이 없다. 시각을 조금 바꾸면 현실의 벽을 넘나드는 것이 얼마나 가뿐한가.




김학량을 추천하는 궁극적인 이유는 자신의 둥지에 가볍게 몸을 걸치는 모양새이면서도 고요함 속의 움직임(靜中動), 고요한 가운데 신묘한 이치를 궁구하는 적정묘궁(寂靜妙窮)이 감지되기 때문이다. 큰 붓을 거칠게 휘둘러야만 기운생동이 발현되는 것이 아니라 이치에 대한 궁구함이 바르게 서 있다면 깃털처럼 가벼운 필촉 하나, 흔들림 하나로도 다른 존재의 마음으로 파고들 수 있음에서 이다. (김현숙)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