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퇴화와 변형의 조형-인간과 자연

이선영

퇴화와 변형의 조형-인간과 자연

 

이선영(미술평론가)

 


인류학자 레비스트로스는 [슬픈 열대]의 맨 마지막 단락을 ‘세계는 인간이 없이 시작되었고 또 인간 없이 끝날 것이다.’고 말했다. 구조주의의 선구자로, 인간을 대신하는 구조의 힘을 대변해왔던 학자다운 언명이다. 현대의 언어학과 인류학, 정신분석학 등에서 중시한 구조는 철학과 미학에도 영향을 주었고, 인간은 구조의 뒤편으로 사라지는 듯했다. 하지만 얼마 전부터 떠오르고 있는 ‘인류세’라는 패러다임은 인간이 자연에 대한 불길한 영향력을 암시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보자면 2024년 해움 미술관의 기획전시 ‘퇴화와 변형의 조형-인간과 자연’은 오래된 주제이면서도 새롭다. 자연은 다양성과 실재에 대한 인식의 근원으로 예술가에게 영감을 주어왔고, 무의식의 발견 이후에는 인간 내부의 자연력이 주목받았다. 이번 전시에 참여하는 송창, 김보중, 이흥덕, 나종희, 이해균의 작품에서 자연은 인간 주체가 대상으로 삼는 피동적인 무엇이 아니다. 이들의 작품에서 자연은 인간 안팎에 있다. 이들의 자연에는 역사가 켜켜이 쌓여있고, 온몸으로 교류하는 체험의 원류이자, 한갓된 가상세계를 상대화하는 현실의 원천이 된다. 또한 그들의 주요 형식인 회화가 자연과도 같은 실재감을 가지길 바란다.   


 

이흥덕

제작년도가 각기 다른 작품들을 함께 건 이흥덕의 작품들은 추리적 상상력을 요구한다. 그의 작품 자체가 불연속적인 구성을 통해서 모종의 분위기와 메시지를 전달해 온 터다. 그의 많은 작품에서 보이는 수수께끼같은 분위기는 카페나 마을 같은 평범한 일상 속에서 나타나곤 하지만, [태풍](2013)이나 [쓰나미](2015) 같은 천재지변, 요컨대 예측 불가능성과 재난이라는 사건적 상황도 예외는 아니다. 작품 [태풍]은 어마어마한 자연력이 훑고 지나간 사건 앞에서 얼어붙은 듯한 인간들의 다양한 면모를 불연속적으로 배치한다. 쓰나미는 그것이 바닷가에서 벌어진 사건이라는 점이 화면의 안배를 통해 나타난다. 집과 사람이 물고기처럼 파도 위에 떠 있는 광경을 바라보거나 무시하는 사람들이 공간공포증적인 구성으로 빽빽하다. 쓰나미에 희생된 사람들 못지않게 묵시록적이다. 오가는 열차가 동시에 정차한 승강장에 일관된 기준으로는 분류 불가능한 다양한 무리들이 쏟아져 나오는 작품 [종착역](2017)은 다양한 인간들이 한 플랫폼에서 뒤섞인다는 점이 활기와 불안을 동시에 야기한다. 붉은색 배경은 작가가 이미지 뿐 아니라 색으로도 말함을 알려준다. 사건이 벌어지기 이전에 멈춰진 상황에 집중하는 이흥덕의 작품은 인간사회의 가장 친근한 범주인 [가족](2019)에 적용됨으로서 기이함을 더한다.



이흥덕, 태풍- 227X181. 2013년. 캔버스위에 유채.


 

나종희

판넬 위에 알루미늄 캔을 붙여 만든 나종희의 작품들은 일회용품이 쌓인 듯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집적]은 말 그대로 거대한 쓰레기 산처럼 보인다. 대량 소비사회의 풍경인 셈이다. 선진국의 쓰레기는 후진국으로 수출되어 그들의 생태계가 되기도 한다. 상품 기호가 자연을 대신하여 인공생태계를 이루며 인간 또한 그 산물이다. 작품의 형태소를 이루는 압축된 캔은 인간의 생산/소비활동이 초래한 결과가 기후변화를 비롯해 자연을 재구성하고 있음을 말한다. 일부가 아니라 전체, 외부가 아니라 내부까지 잠식한다. 작품 [녹색 터널]에서 터널은 끝이 없어 보이는 암울한 상황에 대한 은유다. 자연을 흉내내는 녹색이라고 해서 달라지는 것은 없다. 일상의 일거수일투족이 일회용 소비 품목으로 깔려있는 끝없는 길을 통과하는 여정이 바로 일상이다. 작품 [무릎 꿇다]와 [추락하는 사람]은 쓰레기 산처럼 나타나는 생태계에 상응하는 인간의 모습이다. 무릎을 꿇는 모습이든 추락하는 모습이든 긍정적이지 않다. 찌그러진 깡통들로 이루어진 형태소는 소비자의 몸통을 이룬다. 작품 [팬데믹]은 한치의 앞도 가늠할 수 없는 풍경이라는 점에서 불길하다. 사회적 약자에게 더 가혹하게 다가왔던 세계적인 재앙은 자연의 역습이 편재하며, 그것이 상시적일 것이라는 묵시록적 예감이다. 


나종희, 추락하는 사람



나종희, 집적



송창

작품 [교하](2022)의 화사한 풍경에서 흉측하게 드러나는 우측 철조망은 분단국가의 현실을 상기시킨다. 휴전선은 강대국의 이해관계에 의해 그어졌고, 지금도 그 역학관계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그가 분단 풍경을 계속 그리는 이유이기도 하다. 몇 년 전 평화와 통일 문제는 우리 사회의 수면 위로 떠오른 빅이슈가 되기도 했지만, 정권의 부침에 따라 퇴행하기도 한다. 민족이나 통일이라는 단어 자체를 삭제하려는 움직임까지 있는 판이다. 우리 사회의 근본 모순인 분단을 수십년째 녹여 넣는 작가의 방식은 담담하면서도 끈질기다. 한탄강 승일교를 배경으로 한 작품 [만남-승일교에서](2022)는 인간이 만든 구조물과 달리 강은 막힘없이 흐름을 암시한다. 역사가 새겨진 자연에 대한 관심은 채 100년이 안 되는 분단의 역사를 넘어 보다 광폭의 연대기로 이어진다. 작품 [옥녀봉의 봄](2022)의 소재지는 신선들과 옥녀가 등장하는 설화가 깔린 곳이다. 화면 전면에 가득한 꽃들은 뒤편의 무언가를 감추는 듯하며, 모종의 이야기, 즉 사건 이후에도 꽃은 피고 지는 것이다. 작품 [호로고로](2021)는 색유리 파편들이 수수께끼같은 기호로 나타나며 거듭되는 해석을 요구한다. 호로고로 유적지는 한탄강과 차탄천이 만나는 유적지로, 역사가 펼쳐지는 무대에 대한 작가의 관심은 선사시대까지 연장된다. 



송창, 교하-2,2022년작,181.8x227.3,캔버스에유화



송창, 만남-승일교에서, 2022년, 캔버스에유화, 193.9X259.1,



이해균

이해균은 단단한 것에서 유동성을 본다. 파도치는 바다를 닮은 우리 산하의 모습은 단단함도 처음에는 부드러움에서 시작된 것임을 말한다. 상반되어 보이는 것의 경계를 풀어헤치는 것은 바다 풍경에서도 마찬가지다. 바다와 하늘이 구별되지 않는 풍경에는 에너지의 흐름만이 출렁인다. 그의 풍경은 물질과 에너지가 서로의 몸을 바꾸면서 요동친다. 재현으로 굳어질 풍경이 아니라, 생성하고 소멸하는 과정 중의 자연이다. 일출 풍경에서는 허(虛)의 공간을 요동치는 붓자국으로 가득 채운다. 다양한 표현형식 와중에도 회화라는 기본 형식을 고수해온 작가는 예술과 자연의 수렴을 꾀한다. 붓으로 자연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자연적 실재에서 붓자국을 발견하는 것이다. 굵은 붓터치가 두드러진 작품은 추상적이지만 풍경이 깔려있다. 작가는 오래된 나무 껍데기에서 자연이 그은 굵은 필획 형태를 발견한다. 나무껍질을 죽 이어붙인 작품은 자연에 내재한 추상적 형태를 재차 강조한다. 표현이 아니라 강조인 것은 그가 나무껍질의 원래 배열 상태를 최대한 존중하기 때문이다. 자연적 형태는 어떤 에너지의 흐름이 고정된 것이다. 죽은 나무의 껍질도 예외는 아니다.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 살고 가장 부피도 큰 기념비적인 생명체는 그 일부라 할지라도 우주의 질서가 아로새겨져 있다. 



이해균



이해균, 웅비의 자연감-백두대간 163x227.oil on canvas.2023


 

김보중

김보중의 [공생인] 시리즈는 햇살이 들어오는 푸른 숲속에 사람이 있다. 그 사람은 그곳에서 사냥이나 노동하지 않는다. 나뭇가지를 붙잡고 놀며 흐르는 물에 발을 담그고 있기도 한다. 숲 속 누드의 모습은 낙원을 떠올린다. 이상적인 숲을 무대로 한 낙원의 인간이 악의 유혹에 빠져 나신의 부끄러움을 깨닫고 낙원에서 쫒겨났다는 유명한 종교적 서사도 있다. 작가가 종교인인지는 모르지만, 낙원에 대한 이미지로서는 설득력이 있다. 낙원은 다름아닌 자연과 인간이 대립하지 않고 서로에게 속하는 세계에 대한 상상이다. 남성은 나무와 여성은 계곡의 물과 어우러져 있어 자연으로부터 출발한 상징에 대한 인류학적 상상력과도 연결된다. 하지만 조형적으로 보면, 그의 작품 속 누드는 나무숲 사이로 스며든 빛의 그림자를 미묘하게 반영하는 중성적 대상으로 다가온다. 마치 조각에서 하얀 석고상의 역할과 유사하다. 나무숲을 통과한 비정형적 빛의 무리들은 건강하고 균형 잡힌 몸을 더욱 빛나게 한다. 그것은 자연에 대립하지 않고 자연에 귀속되어 있는 인간의 본모습일 것이다. 작품 [광장, 인류세 이후]는 대지를 벌떡 일으켜 세운 듯한 구도로 긴장감을 준다. 살을 떠올리는 대지, 그 위에 돋아난 식물들은 인류세 이후의 지구에 인간의 자리는 불확실하다는 메시지로 다가온다.



김보중, 공생인 2



김보중, 공생인 3



출전; 해움미술관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