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김명진 개인전 : 소년,만나다

  • 전시분류

    개인

  • 전시기간

    2015-08-19 ~ 2015-09-10

  • 참여작가

    Kim,MyungJin

  • 전시 장소

    갤러리3

  • 유/무료

    무료

  • 문의처

    02-730-5322

  • 홈페이지

    http://www.gallery3.co.kr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김명진展 _소년, 만나다

Gallery3 서울시 종로구 인사동 5길 11, 3F (인사동 188-4)

​3rd Floor, 11, Insadong 5-gil, Jongnogu, Seoul, 110-290, Korea ​www.gallery3.co.kr 

Phone:+82-2-730-5322 월요일 휴관

 


소년, 만나다_캔버스에 한지, 먹,안료, 콜라주_97 x130cm_2015

  


모빌-소년들_캔버스에 한지, 먹, 안료, 콜라주_162 x 130cm_2014-2015

 

  

모빌_캔버스에 한지, 먹, 콜라주_145 x 112cm_2015

 

 

모빌-별_캔버스에 한지, 먹, 안료, 콜라주_162 x 130cm_2015

 

 

떨어진 열매_캔버스에 한지, 재, 안료, 콜라주_162 x 130cm_2015

 

 

 

가족, 열매_캔버스에 한지, 안료, 콜라주_162 x 130cm_2015

 

 

 

소녀 복사-알아내지 못한_캔버스에 한지, 먹, 콜라주_100 x 145cm_2015

 

 

 

소년,소녀 만나다_ 캔버스에 한지, 먹, 안료, 콜라주_50 x 138cm x 2_2014-2015

 

 

 

저글링 하는 사람_캔버스에 한지, 안료, 콜라주_100 x 100cm_2015

 

 

 

목마_ 캔버스에 한지, 먹, 안료, 콜라주_65x53cm_2015

 

 










●​열매

남국의 섬에는 집과 거리, 정원, 어디서든 열매가 달려있는 나무를 볼 수 있었다.

허약한 가지에서 떨어진 열매와 사뭇 다르게 보이는 건 나무와 가지에 단단히 달려 있기 때문이다. 어느날 사람이, 가족이, 소녀와 소년이 열매처럼 보인다.

사람에게서 누군가와 비슷한 모습과 닮은 향기를 가진다는 것은 신기하면서 두려운 일이기도 하다. 그런 열매를 보면서 그동안 체념했던 것들이 떠오르고, 내게 삶에 대한 간절함이 있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한밤에 어둠속에서 땅으로 떨어진 열매를 줍는다.


●여행

우여곡절 끝에 도착한 섬에서 나는 냄새는 어떤 시절로 나를 안내 한다.

일상을 벗어나 떠났던 긴 여행은 특히, 그림을 하는 일에서 어떤 전환기를 맞게 한다.

여행은 무심을 향해 가는 휴식과 같다. 그 휴식은 풍경 너머로 사라져 버린 것을 불러 들인다. 그동안 나와 세상을 향해 두 눈을 가린 채 이야기를 하지 않으려 했던 것은, 어떤 피안의 견고한 세계가 있다고 믿고 싶었기 때문인지 모르겠다.


●풍경

풍경은 고정되어 있지 않다. 남쪽의 끝에서 매년 불어오는 태풍 속에서 세상을 삼켜 버릴 것 같은 불안함을 보았고, 지인이 권해준 남국선원의 끝없는 적막함에서 투명한 세상을 만났다. 맑고 투명한 날부터 바람섬의 풍경이 부조리한 세상과 어쩔 수 없는 순간과 일상의 결이 뒤섞인다. 활경이 그동안의 관념을 깨운다.


●모빌

바닷가를 산책한다. 수면위로 솟아나는 화산석의 틈새에 온갖 물건이 박혀있고, 하얀 백사장속 여기저기에 아무렇게 널부려져 있다. 언젠가의 태풍에 뿌리 채 뽑힌 나무는 하얗게 바랜 거대한 몸뚱이처럼 유유히 떠다니고,분주하게 활어를 손질하던 칼질이 도마 위에 오롯이 남아있다. 너울과 부딪힌 깨진 술병은 눈부신 백사장 표면에서 부드러운 알맹이로 빛을 더하고, 신발 한 짝은 어디로 갔는지 포말 안에서 오르내린다. 소년의 부러진 장난감, 약병, 광택이 날아간 플라스틱의 껍질, 누군가의 생명줄 이었을 구명복, 시대를 알 수 없는 유물의 조각, 열매, 어선의 부속품들, 어망, 곳곳에 널려있는 생선 대가리와 단단한 비늘, 아직 식지 않은 비릿한 내장,......대륙과 태평양에서 조류를 타고 흘러들었을 조각과 파편에서 묘한 상상이 피어나고, 그 속에 얽힌 이야기가 귓가에 웅성거린다.

지난 5월은 너무나 잔인했다.

가슴이 내려앉은 사람들이 멍한 눈으로 한사람씩 모여들었다. 서로가 위로를 필요로 했다.

아무것도 아닌, 쓸모없는 것으로 움직이는 조각을 만들어 보기로 한다.

그것은 잊혀짐을, 어떤 희망을 위한 놀이였다.


●소년, 만나다.

잊고 있었다. 소년이 나고 자란 곳이 섬이었다는 것을...

소년은 이른 아침이면 바다로 향해 난 대문을 열고 근사한 날개를 가진 세상에서 가장 빠른 배를 구경하는 것이 하루의 일과였다. 소년은 하얀 포말을 가르며 미끄러지는 모습에서 견디기 힘든 그리움과 공포를 잠시 잊을 수 있었다.

육지와 섬을 이어주는 아주 높고 근사한 다리가 있었지만, 소년은 그 다리를 건널 때마다 느낀 현기증과 공포가 있었다.

몇 일간 귓가를 파고드는 바람소리가 이어진다.

끝날지 모르는 소리는 누군가의 탄성으로 바뀌고, 사라져 버리거나, 망각을 불러들인다. 삶에서 끝내 알아내지 못한 것이 있기 마련이다. 그것은 하나의 상처로 끝나고 아무는 것이 아니라 가슴 한켠에 순간순간 남아있다.

까맣게 타버린 돌, 몸을 가누기 힘든 거센 바람, 높은 너울과 부서지는 하얀 포말, 비릿한 냄새, 까만 바다의 적막, 그리고 돌아오지 않은 사람과 사람들.

소년은 풍경과 만나고 자신의 그림자를 따라갈 뿐이었다.

소년에겐 끝나지 않을 것만 같은 내일이 있다.



2015년 8월 김명진

 

김 명 진 KIM,MYUNG JIN


           [학력]

            1997년 세종대학교  회화과 졸업(동양화 전공)

            2001년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학과졸업(동양화전공)

          

           [개인전]

           2015  김명진 개인전-소년, 만나다(갤러리3,서울)

           2011  김명진 개인전-이식(진선갤러리, 서울)

           2010  김명진 개인전-움직이는 풍경Ⅱ(가회동 60,서울)

           2009  김명진 개인전-움직이는 풍경(TJH 갤러리, 서울)

           2008  김명진 개인전-치유의 집 house of cure (hosigallery, 도쿄)

           2005  김명진 개인전-몽유  (고양미술창작스튜디오, 고양)

           2002  김명진 개인전-산란 (갤러리 창, 서울)

           2000  김명진 개인전-이식하기 (덕원갤러리, 서울)

          

          [2인전]

           2014  김명진,신현경전, 連-동하다(갤러리3,서울)

           2010  김명진 임춘희전, "인간과 자연"(갤러리Dr.Messner,트로싱엔,독일)

                                  ‘가깝지도 멀지도 않은’, Bebelstrasse 12a(슈투트가르트, 독일)                    

          [주요단체전]

           2014  바람섬의 나날(이중섭미술관,서귀포)

                  콜라주아트, 생각엮기 그림섞기(경기도 미술관,안산)

                  이중섭창작스튜디오 6기 작가전(창작스튜디오,서귀포)

           2013  드로잉,생각의 시작 DMZ프레 드로잉비엔나레(화이트블럭,헤이리)

                  삼탄아트마인 지성의 미학1 WHO ARE YOU(삼탄아트현대미술관, 정선)

                  자유아재,세계일보사 초대 한국 현대미술전(서울시립 경희궁미술관,서울)

           2012  화가, 화가를 보다(이브 갤러리, 서울)

                  도다 소사이어티 8인작가전(도다 스페이스, 서울)

           2011 “강호가도” 서호미술관 개관10주년 기념전(서호미술관,남양주)

           2010 삼국G,IMAGE IN DIALOG(한전프라자, 한국문화원 갤러리미,서울,동경)

                 1₊1전 (리즈갤러리,남양주)

                 60-70(가회동60,서울)

           2009 “시각 그 경계너머로" 이영미술관 신축개관기념전(이영미술관,용인)

                “한국화의 현대적변용”전 동양화새천년 기념(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

                ‘Salmons of KiMi’개관5주년기념전(키미아트갤러리,서울)

           

           2008   2회 서울청년미술제 (서울시립미술관 경희궁분관)

                  스톤&워터기획 여섯 번째여름(스톤&워터,안양)

           2006   Boardline 전 “키미아트기획”(키미갤러리,서울) 

                  사람이 크는 예술마을“아트 빌리져스” (동덕아트센타,서울)

           2005  “사람의 도시,어울림”전 고양문화재단기획(어울림미술관,고양)

                  고양미술창작스튜디오 “hub"오픈스튜디오(스튜디오,고양)

           2004   동아미술제 수상작가전 (갤러리상, 서울)

                  국립 고양미술스튜디오 개관기념전 (스튜디오 갤러리, 고양)

           2003   사람을 닮은 책,책을 닮은 사람 (금호미술관, 서울)

                   리바이벌전 (신필름예술센타, 안양)

                   아주 특별한선물전 (스톤&워터,안양)

           2002   젊은 작가 10인의 환경전환전 (경기문화재단, 수원)

                   백송문화재단기획<한국화45인전> (백송화랑,서울)

                   세종회화제 <세종문화회관>

                   동아미술제 수상작가 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과천)

                   삶에 대한 스펙스럼전 (경기문화재단,수원)

           2001   송은미술대상전 (공평아트센타,서울)

           2000   공장미술제 <눈먼사랑> (샘표공장 , 서울)

                   동아미술제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대한민국미술대전(국립현대미술관, 과천)

           1999   대한민국미술대전(국립현대미술관, 과천)

                   세종대 대학원 오픈스튜디오(세종관,202호)

                   한독미술가협회전(공평아트센타,서울)

           1997   중앙미술대전(호암아트홀,서울)

           1996   대한민국미술대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미술세계대상전(서울시립미술관 경희궁분관,서울)

                   전국 뉴코아 장학공모전(뉴코아백화점,과천) 

         

          [수상/레지던스프로그램]

           2014  이중섭창작스튜디오 6기 입주작가

           2013  DMZ프레 드로잉비엔나레 선정   

           2010  소마드로잉센터 4기 아카이브작가선정

           2005- 2004 고양미술창작스튜디오 1기 입주작가 

           2001 송은미술대상전 입선

           2000 동아미술제 동아미술상 수상

           1999 한독미술가협회전“특별상”

                 대한민국미술대전 입선

           1997 중앙미술대전 입선 

           1996 미술세계대상전 우수상 수상

           1996-2006 대한민국미술대전 입선3회 및 특선

           1996 뉴코아 장학공모전 대상

           1995 전국대학미전 동상

       

          


         [주작품소장처] 

          기당미술관(제주, 서귀포) 외교통상부(주함부르크 총영사관),이중섭미술관(서귀포) 

          경기도립미술관(안산),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과천), 경기문화재단(수원)

          주소 경기도 남양주시 수동면 내방리 13-6  / email:mjin710@hanmail.net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