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박은총 : 쓰임이 있는 오브제 ‘균형속의 비 균형’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박은총 - 쓰임이 있는 오브제 균형속의 비 균형

2020. 11. 18 () ~ 2020. 11. 24 ()

 





전시개요

전 시 명: 갤러리 도스 박은총 쓰임이 있는 오브제 균형속의 비 균형

전시장소: 서울시 종로구 삼청로 737 갤러리 도스

전시기간: 2020. 11. 18 () ~ 2020. 11. 24 ()

 

쓰임이 있는 오브제

균형 속의 비 균형

  오늘날 가구의 의미와 역할은 점차 확장되어 다양한 변주를 만들고 있다. 인간 삶의 유용한 목적을 수행하는 기본적인 틀(역할)에서 벗어나 공간을 꾸미고 개인의 개성을 드러내는 매개체의 역할을 하며, 하나의 조형 언어로써 표현의 가능성을 넓히고 있다.

 

  ‘쓰임이 있는 오브제는 가구가 지니는 사물의 목적성과 창작자로서 표현 의지 사이에서 오는 질문들에서 부터 시작되었다. 나에게 가구의 쓰임과 창작 세계의 조화는 중요한 과제였고 이들을 어울리게 할 조형 언어를 찾아야 했다.

 

  ‘균형 속의 비 균형은 수직과 수평의 교차구조에 의해 나타나는 조형성과 각기 다른 재료의 특성에서 오는 대비감을 이용한 조형 언어로써 균형속의 비균형 즉, ‘양면성에 대한 이야기이다.

 

  작품을 표현하는데 있어서 사물을 구성하는 면과 선 등이 교차되거나 끼워 맞춰지는 구조 즉, 수직·수평적 교차구조를 주로 사용하였는데 이것은 교차구조에 의해 구성된 형태에서 보여 지는 균형감과 그 균형 안에서 드러나는 비 균형이라는 시각적 대비를 보여준다. 또한 인공물과 자연물이라는 대비되는 두 재료의 사용을 통해서도 균형과 비 균형을 표현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시각적이고도 관념적 표현은 인간뿐만 아니라 인간이 만들어낸 사물 또한 균형과 비 균형 등의 양면성을 가지고 있다.’ 라는 것을 표현 하고자 함이다.

 

  이렇듯 균형과 비 균형의 관점을 바탕으로 다양하고 깊이 있는 조형성을 표현 하고 그 안에 내포되어 있는 양면성이라는 주제를 통해 가구가 지니는 의미를 찾아내고자 하였다. 이로 인해 본인이 주된 표현의 매개체로 활용하고 있는 가구에 대한 대중들의 인식의 변화를 꾀하고 더 나아가 가구가 단순히 기능만을 하는 사물이 아닌 예술적 가치를 지닌 사물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Objects of function

‘Balance within Imbalance’

 

 

   In the modern era, the meaning and roles of furniture have gradually broadened to serve a greater purpose. Variations are being created with furniture representing not simply a medium that decorates space or reveals personality. Furniture or objects have deviated from basic roles or frameworks to be more encompassing in human life. They have broadened the potential in expression as a formative & functional language.

 

  The ‘Objects of function' started with questions stemming from a gap between the purpose of an object vs. its means of expression for the creator. The harmony of both usage of furniture and creative world was an important goal to me as I formulated a formative language that combines both.

 

  ‘Balance within Imbalance’ is a formative language that utilizes the contrast between the formativeness shown by a crossing structure of verticality and horizontality as well as the properties of different materials. It is a story about the Imbalanced forms within a balance, in other words a two sided story.

 

  Through the works, I express the crossing structures of verticality and horizontality, with the resulting intersections the object is composed. This secondarily demonstrated as a visual contrast between the ‘balance’ of the vertical structure with the ‘imbalanced’ horizontal cross structure elements. A tertiary method of expressing this design intent is by employing two contrasting materials such as artificial and natural elements. Such a visual and conceptual expression is intended to result in the expression of the ‘humanistic side but also the artificial or human made properties’.

 

  Based on the above theme of balance and non-balance, I strived to demonstrate this with various levels of depth and forms. The meaning of furniture or objects having dual or two sides was key. I hope to change the perception of the public to see furniture as not just a merely preforming function but also having artistic value to enrich the lives that interact with it.

 

 

 

 

 

 

박은총

 

2018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금속공예학과 졸업

2015 건국대학교 예술 디자인대학 공예학과 졸업

 

<개인전>

2020 박은총 개인전, ‘쓰임이 있는 오브제갤러리 DOS, 서울

 

<개인 부스전>

2018 공예트렌드페어 창작공방관 개인부스, Coex, 서울

2016 홈테이블 데코 페어 디자이너 프로모션 개인부스, Coex, 서울

2016 공예트렌드페어 창작공방관 개인부스, Coex, 서울

2015 서울/부산 디자인페스티벌 신예디자이너 개인부스, Coex, 서울

 

<주요 단체전>

2020 '친구야 놀자, 크래프트 아원, 서울

2019 금속 제3그룹 정기전, kcdf갤러리, 서울

2019 ‘높고, 높다전 지아가가 갤러리, 서울

2019 ‘잘가라 이천십팔전 지아가가 갤러리, 서울

2018 ‘눈길, 꾸밈전 갤러리 아원, 서울

2018 ‘시선의 움직임전 아우룸 갤러리, 서울

2018 금속 제3그룹 정기전, kcdf갤러리, 서울

2018 유연한 금속, 울산북구문화예술회관, 울산

2018 ‘, 지아가가 갤러리, 서울

2017 2인전, 갤러리 뤼미에르, 하남

2017 2인전, 갤러리 칸, 일산

 

<수상>

2019 청주 국제 공예 공모전 입선

 

<현재>

Commune 107 studio 운영, 금속 제3그룹 회원

 

 

 

 

 

 

 

 

 

Artist Biography

 

<Education>

2018 B.F.A.,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Major in Metal Craft)

2015 M,F.A., Konkuk University Department of Art and Crafts(Major in Metal Craft)

 

<개인전>

2020 Park Eun Chong Solo Exhibition, ‘Objects of function’ Gallery DOS, Seoul

 

<개인 부스전>

2018 Craft Trend Fair 2018, Coex, Seoul

2016 Home Table Deco Fair 2016, Coex, Seoul

2016 Craft Trend Fair 2016, Coex, Seoul

2015 Seoul/Busan Design Festival 2015, Coex, Seoul

 

<주요 단체전>

2020 Let's play, my friend, Craft Ahwon, Seoul

2019 The 3rd Group Exhibition2019, kcdf Gallery, Seoul

2019 Lighting Exhibition, Giagaga Gallery, Seoul

2019 Goodbye 2018, Giagaga Gallery, Seoul

2018 Group Exhibition, Gallery Ahwon, Seoul

2018 Art Mobile Exhibition, Aurum Gallery, Seoul

2018 The 3rd Group Exhibition2018, kcdf Gallery, Seoul

2018 Flexible Metal, Ulsan Bukgu Culture Arts Center, Ulsan Seoul

2018 Object Exhibition, Giagaga Gallery, Seoul

2017 Furniture Exhibition, Gallery Rumiere, Hanam

2017 Furniture Exhibition, Gallery Khan, Ilsan

 

<수상>

2019 Received a Prize, Cheonju International Craft Competition, Cheongju, Korea

 

<현재>

Operate Commune 107 studio, Member of The 3rd Group of Metalsmith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