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차영석 전: Mashup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An Elegant Endeavour_241, 2021. Pencil, colour pen, acrylic gouache and coffee on Korean mulberry paper, 35 x 50 cm


전시 제목 : Mashup (차영석 개인전)
전시 장소 : 이화익갤러리 (Tel. 730-7817/8 www.leehwaikgallery.com) 
전시 기간 : 2021. 10. 6 (수) - 10. 26 (화) 
            (일요일 공휴일 휴관, 10월 4일, 10월 11일 대체휴일 휴관)
전시 작품 : 차영석 회화 작품 80여 점
전시 오프닝 : 2021. 10. 6 (수)  5시pm 


이화익갤러리에서는 10월 6일부터 차영석 작가 개인전 <Mashup>이 진행된다. 차영석 작가는 2007년 한국예술종합학교 조형예술과 예술사를 마치고, 한국예술종합학교 조형예술과 전문사를 졸업했다. 2009년 금호영아티스트로 선발되어 금호미술관에서 첫 개인전을 시작으로 꾸준히 작품을 선보이고 있으며 이번 전시는 차영석 작가의 14번째 개인전이다.

차영석 작가는 그 동안 타인의 수집품을 통해 세계를 관찰하고, 수집된 사물들을 취사선택하여 그 표면을 세밀하게 선묘하는 패턴으로 가득 채우는 작업에 집중하였다.

이번 <Mashup>전시에서 차영석 작가의 개인적 선택과 취향에 의한 패턴화가 잘 들어나는 매 연작 4점과 함께 새롭게 선보이는 운동화 76점 작업이 출품된다. 

차영석 작가는 작품 속에 드러나는 수집품들은 단순한 개인 욕망의 발현 일 뿐 만 아니라 그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이 속한 시대와 사회의 모습을 반영한다고 보았다. 

‘운동화’라는 소재는 운동 할 때 필요한 기능적인 목적으로, 혹은 발의 편안함을 위해 실제 착용의 목적으로 구입하게 되는 일상적인 소모품이지만, 특정 운동화의 경우 마니아들 사이에서는 고가의 수집아이템으로써 취미생활이자 동시대의 트렌드를 담고 있는 상징적인 산물이기도 하다. 차영석 작가는 연필에 집중하던 작업 방식에서 벗어나서 재료의 확장을 통해서 실제 운동화의 색감 뿐 아니라 질감까지도 극사실적으로 묘사함으로써 ‘운동화’가 일상의 파편이자 미적인 대상임을 더욱 부각시켰다.


An Elegant Endeavour_156, 2019. Pencil, colour pen and watercolour on Korean mulberry paper 7 pieces, each, 142 x 75 cm

전시전경



매 연작 작품은 2019년에 제작되었던 작품이지만, 기존에 벽에 걸었던 설치 방법이 아닌 병풍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평면 작품에서 입체 작품으로 변환되어 새로운 관점으로 작품을 바라보게 된다. 차영석 작가의 매 연작은 해부학적 사실에 입각해서 그려진 작품이 아닌 작가의 자의적 해석과 상상력이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작품으로써 재현의 의미보다 작가의 개인적 취향인 세밀하게 선묘하는 독창적인 화풍이 잘 드러난다.


전시전경


이번 차영석 개인전 <Mashup>은 서로 다른 것들이 융합되어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낸다는 ‘매시업’의 사전적 용어처럼, 고전미를 느낄 수 있는 작품(매 연작)과 동시대의 트렌디함을 보여주는 작품(운동화)이 한 전시장에서 어우러져서 새로운 감각을 일깨우는 시간이 될 것이다. 

이번 전시는 10월 6일부터 26일까지 21일간 이화익갤러리에서 진행된다.



An Elegant Endeavour_257, 2021. Pencil, colour pen, acrylic gouache and coffee on Korean mulberry paper, 35 x 50 cm



차영석 Yeongseok Cha (b.1976)

학력
2011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조형예술과 예술전문사 졸업
2007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조형예술과 예술사 졸업

개인전
2021 <Mashup>, 이화익갤러리, 서울
2019 <성실한 감각>, 63 아트 미술관, 서울
2018 <우아한 노력>, 이화익갤러리, 서울
2017 <어떤 것>, 카이스갤러리, 서울
2015 <망각한 변형>, 표 갤러리, 서울
<습관적 세계>, Taipa Houses Museum, 마카오
2014 <은밀한 습관>, 표 갤러리 LA, 로스앤젤레스
<은밀한 습관>, 표 갤러리 사우스, 서울
<은밀한 습관>, 표 갤러리 798, 베이징
2013 <습관적 세계>, Space Cottonseed, 싱가포르
2012 <습관적 세계>, 아트라운지 디방, 서울
2010 <파편의 몽타주>, New Gallery on Old Bailey, 홍콩
<건강한 정물>, 갤러리현대 윈도우갤러리, 서울
2009 <금호 영아티스트: 건강한 정물>, 금호미술관, 서울

주요 단체전
2021 <이화익갤러리 20주년 기념 전시>, 이화익갤러리, 서울
2020 <예술가의 연필>, Curator’s Atelier 49, 서울
        <Autumn Breeze>, 이화익갤러리, 서울
<Garden>, 이화익갤러리, 서울
<비상: 飛上>, 이화익갤러리, 서울
2019 <금호 영아티스트: 16번의 태양과 69개의 눈>, 금호미술관, 서울
2016 <탐-색>, 63아트미술관, 서울
2015 <윈터 프리즘>, 신세계갤러리, 서울
<소마 드로잉: 무심(無心)>, 소마미술관, 서울
<Still Life: A Frozen Moment>, Space Cottonseed, 싱가포르
2014 <Play with Drawing>, 일우 스페이스, 서울
<Now and Then… The Future of Korea>, 주중한국대사관, 베이징
<Pencil>, C5ART, 베이징
<Pencil>, 1/2 Art Space, 상하이
<오늘의 살롱>, 커먼센터, 서울
2013 <Object>, popopopopop, 서울
<시원한 지구>, 롯데갤러리, 서울
<G.P.S Art Navigator>, 갤러리 퍼플, 남양주
2012 <Muse in Art>, 아트사이드 갤러리, 서울
<Bob up-Young Korean Artist Group Exhibition>, 오스갤러리, 전주
<하하호호>, 롯데갤러리, 서울
<미완의 여정>, 카이스 갤러리, 서울
<전지적 작가시점>, 갤러리 잔다리, 서울
<황금기>, 롯데갤러리, 서울
2011 <No. 45 Kumho Young Artist>, 금호미술관, 서울
<Korea Tomorrow>,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서울
<Propose 7(Vol. 6)>, 금호미술관, 서울
<Do Window Volume 3>, 갤러리현대 강남, 서울
<몰입의 순간>, Fnart Space, 서울
<Room Project(Vol. 1)>, 인터알리아 아트 컴퍼니, 서울
<Hatch Out>, KIC Art Center, 상하이
2010 <내일-오픈 아카이브>, 소마미술관, 서울
<Symbolon: Everything is Never as it Seems>, Hwa’s Gallery, 상하이
<패션, 문화에 물들다>, 국립중앙박물관, 서울
<40x40x40x40>, 솜씨, 서울
<문지방>, 아트라운지 디방, 서울
<Meet the Artists>, 금산갤러리, 파주
2009 <Ordinary Days>, PKM 트리니티 갤러리, 서울
<창동 오픈스튜디오: Cue! >, 국립현대미술관 창동레지던시, 서울
<The Soul Travels at the Pace of a Carmel>, 아이엠 아트 갤러리, 서울
<IYAP 2009: 해석에 반대한다>, 인터알리아 아트 컴퍼니, 서울
2008 <Directors’ Cut>, 175갤러리, 서울
<The Bridge>, 가나아트센터, 서울
<Everyday Is Not the Same>, BizArt, 상하이 / 175갤러리, 서울
<Privacy>, 대안공간 루프, 서울
<Privacy>, Gallery Eighty at Space two, 싱가포르
<Privacy>, Canvas International Art, 암스테르담
<중앙미술대전>, 한가람미술관, 서울
2007 <푸른대양: 청춘의 개화>, 갤러리 벨벳, 서울
<드로잉 오픈-엔드>, 한국예술종합학교 갤러리, 서울
<도시에서 걷기>, 모란갤러리, 서울
<드로잉 변주>, 175갤러리, 서울
2006 <School-Exchange Show>, 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버지니아
2005 <광기예찬>, 스페인대사관, 서울
<Ready Made>, 갤러리 인데코, 서울
2004 <시사회>, 대안공간 팀퓨리뷰, 서울

수상
2008 중앙미술대전, 중앙일보, 서울
2007 금호 영아티스트, 금호미술관, 서울

레지던시
2013-14 갤러리 퍼플 스튜디오, 파주
2011-13 스튜디오 박영, 파주
2008-09 국립현대미술관 창동레지던시, 서울

작품 소장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국립현대미술관 정부미술은행, 과천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과천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금호미술관, 서울
아부다비 로열 컬렉션, 아부다비
에코랜드, 제주도
에코 에너지 홀딩스, 서울
벤타 코리아, 서울
㈜신세계, 서울
LG, 서울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