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한국화의 재료와 기법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2회 기획초대전
한국화의 재료와 기법
2023.07.14-10.15
정종미갤러리카페


<한국화의 재료와 기법>출간기념전이다 수록된 원화와 재료기법까지 상세 안내를 한다. 석채 등 안료나 염료 그리고 여러 전색제 코팅제 등 실물 재료도 함께 볼 수 있다 차도 힌 잔하며 전통회화의 현대화를 감상하기 바란다.

저자강연 
한국화의 재료와 기법

7.28 (금) 16:00
8.11 (금) 16:00
8.25 (금) 16:00
9.8 (금) 16:00
9.22 (금) 13:30 - 16:35 서울대오라토리움
10.6 (금) 16:00






[도서] 한국화의 재료와 기법 | 미진사

우리 미술 속의 벽화와 불화, 민화의 조형 언어를 현대적으로 창출해내고 전통 재료를 이용한 독특한 채색 기법으로 한국미술의 지평을 넓혀온 화가 정종미의 책이다. 『한국화의 재료와 기법』은 전통 회화에 대한 재료학적 연구를 바탕으로 안료의 미시적 분석과 전색제에 따른 물감의 종류별 특성, 기능, 사용법을 소개한다.

저자는 우리 미감의 정체성을 아는 일이 “우리 자신을 아는 일”이며 이는 곧 “한국미술의 미래를 여는 길”이라고 말한다. 아울러 동·서양화나 채색·수묵 사이에 있는 논란과 갈등은 “재료학”을 통해 극복될 때 비로소 “회화라는 통합적 차원으로 나아갈 수 있”다고 말한다. 한국미술에 대한 저자의 웅숭깊은 시각은 다채로운 회화의 세계로 우리를 초대한다. 한국화에 관심이 있거나 재료학에 대한 기초 개념을 정립하고 싶은 일반 독자와 연구자, 한국미술의 전통적 미감과 정서를 입체적으로 경험해보고 싶은 이들에게 도움이 될 책이다.



정종미

1957년 대구 출생으로,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와 동 대학원 석사과정을 졸업했고 1994년부터 1995년까지 뉴욕 파슨스 디자인 스쿨(Parsons School of Design)과 디외 도네(Dieu Donne) 종이 공방 등에서 수학했다. 고려대학교 디자인조형학부에 재직했으며 색채연구소장을 역임했다. ‘한국콘텐츠진흥원’,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한국연구재단’ 등에서 전통 미술 문화와 관련한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우리 미술 속의 벽화와 불화, 민화의 조형 언어를 현대화하는 작업을 이어오고 있다. 콩댐 기법이나 들기름, 안료와 염료 등을 이용한 독특한 채색 기법으로 ‹몽유도원도› 연작, ‹어부사시사› 연작 등의 현대적 산수화를 시도했고, 한지를 새롭게 해석한 ‹종이 부인› 연작, ‹여성성에 바치는 헌사› 연작으로 한국화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해왔다.

국내외에서 25회의 개인전과 다수의 초대 기획전을 가졌다. 2001년 ‘제13회 이중섭 미술상’, 2012년 ‘제13회 이인성 미술상’을 수상했다. 저서로는 『우리 그림의 색과 칠』(2001), 『KSH 재료기법 활용 매뉴얼』(2017)이 있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