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권기수: 색죽 色竹 Colour Bamboo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권기수, <Colour Bamboo> 전시전경


- 꽃 향기 만발하는 평창동 언덕, 색죽들의 향연으로 초대.
- 권기수 작가의 신작 ‘Colour Bamboo 색죽色竹’ 최초 공개.
- 전통 사군자 묵죽의 관념을 현대적으로 재구성한 새로운 시도.
- 전시는 2024년 5월 3일(금)부터 6월 15일(토)까지.




권기수, <Colour Bamboo> 전시전경 



권기수 작가의 새로운 도전, 형형색색 펼쳐진 ‘색죽’ 전시설치

5월 평창동 언덕에 형형색색 ‘색죽’ 향연이 펼쳐진다. 미음 프로젝트스페이스는 2024년 5월 3일부터 6월 15일까지 권기수 개인전 <Colour Bamboo 색죽色竹> 을 개최한다. 

전통 수묵화를 현대 언어로 재해석하는 새로운 시도를 거듭해온 권기수 작가는 이번 전시에서 ‘색죽’ 평면회화를 ‘색죽’ 설치물로 연출하고 있다. 전통 묵죽이 색색 어우러진 대숲이 된 놀라운 광경과 만나게 될 것이다. 전시장 벽에는 새로 작업한 권기수의 대나무 회화들이 색색으로 기운을 뿜어내고 있다. 

권기수 작업은 지난 몇 백 년 전통 회화에 대한 도전에서 비롯되고 있다. 알다시피 매란국죽 네 가지 풀 나무 꽃이 그림으로 이념화하여 사군자로 굳은 건 명말 청초였다. 명색名色이란 문자대로 풀면 이름과 색이다. 이름만 있고 형상이 없는 게 사상이요 이념이라는 관념이다. 

네 가지 풀 나무 꽃에 굳은 생각을 씌웠으니 바야흐로 이는 풀 나무 꽃이되 풀 나무 꽃이 아니었다. 문자향文字香이든 서권기書卷氣든 스며야 비로소 사군자라는 풀 나무 꽃이 될 수 있었다. 

권기수 작가의 신작 <Colour Bamboo 색죽色竹> 전시에서 그는 형상과 색에서 사군자를 전혀 다르게 해석하면서 그 세계를 해체하여 현대 회화 언어로 재구성하고 있다. 네 가지 풀 나무 꽃에 진작부터 더러 색 물감을 쓰기는 하였으나 감히 대나무에는 오래도록 색이 침범하지 못하고 있었다. 작가는 그 대나무에 서슴없이 놀랍도록 화려한 물감을 입히고 있다. 그에 따라 묵죽墨竹이라는 관념이 품고 있던 지조 따위와는 다른 세상을 눈 앞에 펼쳐내고 있다. 

‘색죽’은 마디마디 색을 달리하면서 화폭에서 음계처럼 작동한다. 마침내 색죽은 그림 밖으로 나와 사람들 사이를 지나고 있다. 색죽 설치다. 그건 전통 대나무 울타리와 닮았으되 색죽들의 향연이다. 색죽 23년 만에 대나무가 색옷을 입고 공간을 활보하기에 이른 것이다. 색죽 죽림, 곧 색이 춤추는 대숲이라고 해도 좋다. 거기서 색의 율격을 듣든 음악소리를 보든, 이는 색죽과 만나는 이의 몫이다. 분명한 건 새로운 대나무, 곧 색죽 출현이다.

이번 전시는 권기수가 끊임없이 집요하게 발전시켜 온 색 연구 작업의 가치를 확인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색이 서서 움직이고 있다고 해도 좋다. 

전시는 5월 3일(금)부터 6월 15일(토)까지 평창동 미음 프로젝트스페이스에서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권기수 작가


권기수(b. 1972)

경북 영주에서 출생한 권기수는 홍익대학교 미술대학과 동 대학원 동양화과를 졸업하였다. 전통 수묵화 형식을 따르기 보다 자신만의 방식으로 해석하여 1999년~2002년 장지에 수묵으로 ‘동구리’라는 기호화된 인격체를 탄생시켰다. 

2003년 이스라엘 Jerusalem Center for Visual Arts의 레지던스에 초대된 것을 시작으로 2008년에는 iGoogle 아티스트 프로젝트에 선정되었다. 2015년, 미국에서 가장 권위 있는 장학재단 중 하나인 풀브라이트 장학 프로그램에 선정되어 미국 Concordia College에서 방문 교수를 역임하였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경기도립미술관, 제주현대미술관 등 국내 대표 미술관과 상하이 Long Museum, 샌프란시스코 Asian Art Museum 등 해외 주요 미술관에도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Museum, 샌프란시스코 Asian Art Museum 등 해외 주요 미술관에도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베니스 비엔날레, 오스트리아 Asia-Pacific 트리엔날레, 상하이 MOCA, 일본 MORI ART Museum, 런던 Saatchi Gallery, 뉴욕 MAD 미술관, 뉴욕 UN 본부, MOCA 타이페이 등 다양한 곳에서 국제 전시를 참여하며 활발히 활동 하고 있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