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Streaming Life전 2부-Feeling Landscape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5명의 30~40대 초반의 젊은 작가의 현대인의 일상의 풍경을 해학적, 혹은 과장된 아름다움으로 표현한 ‘낭만적 풍경’ 작품을 통해 위트의 미학, 새로운 상상의 풍경을 제시
우리 삶의 쉼표, 풍경속으로 Streaming Life

전시개요

♦ 전시명 : Streaming Life
♦ 주 최 : 현대백화점 미아점
♦ 주 관 : 아트세인
♦ 장 소 : 현대백화점 미아점 갤러리 H
♦ 기 획 : 현대백화점 객원 디렉터 정영숙(011-9777-7290)
♦ 기간 및 참여 작가
<1부> Slow Landscape
기 간
2009년 3월 10일 화요일 ~ 4월 6일 월요일
참여작가 김준권, 서시환, 송필용, 이강화, 이호중
<2부>Feeling Landscape
기 간 2009년 4월 7일 화요일 ~ 5월 4일 월요일
참여작가 고자영, 김은기, 박현웅, 윤병운, 전영근
♦ Special Event
- Artist Meeting <2부> 2009년 4월 14일 화요일 오후 5시
- 김은기작가에게 듣는 동화그림이야기
2009년4월14일 화요일 오후 4시 30분







기획 의도 및 목적
하루가 다르게 빠른 변화 속에서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보다 풍요롭고 여유로운 삶을 위해 'Slow Life'라는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고 있다. ‘Streaming Life 展’은 한가로운 삶, 느린 삶으로 상징하는 사실적 풍경화에서 작가의 내면이 담긴 재해석된 풍경 작품을 통해 현대인에게 쉼표 같은 공간을 제시하고자 한다.

1부 에서는 산, 바다, 그리고 하늘 등 자연 풍경을 직접적이면서 시(詩)적으로 표현한 서정적 풍경작품과 2부 에서는 일상의 풍경을 해학적, 혹은 과장된 아름다움으로 표현한 낭만적 풍경작품을 전시하여 관람객의 미적 감수성을 증진시키고 즐거운 미술 감상의 시간을 제공한다.


우리 삶의 쉼표, 풍경속으로 Streaming Life


정영숙 | 서울산업대학교 겸임교수, 현대백화점 객원 디렉터


느리게 살기는 현대인의 새로운 대안적 삶의 방식이다. ‘Slow Food', 'Slow Water' 등을 아우르는 는 풍요로운 자연에 기반을 두고 친환경적이며 정신적 삶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실천하고 있는 라이프 스타일로 ‘Fast Life’와는 다른 삶이다. 슬로우 푸드에서 영감을 얻어 시작된 이탈리아의 ‘Slow City'는 세계 10개국 93개 도시에서 점점 확장되고 있는 단계다. 국내에도 완도군 청산도, 담양군 창평면 등이 가입을 추진 중이다. 이러한 느리고 행복한 삶을 추구하는 슬로시티를 그림 속에서 찾아보고자 한다. 패스트푸드와 차량의 매연, 그리고 공장이 없고, 문화유산을 지키고 나무심기, 전통 조리법 등을 강조하는 슬로시티를 풍경화 속에서 그 모습을 발견해 본다.

2부 는 5명의 30~40대 초반의 젊은 작가의 현대인의 일상의 풍경을 해학적, 혹은 과장된 아름다움으로 표현한 ‘낭만적 풍경’ 작품을 통해 위트의 미학, 새로운 상상의 풍경을 제시하고자 한다.

전시명 Feeling Landscape
전시기간 2009. 4.7(화) ~ 5. 4(월)
참여작가 고자영,김은기,전영근,박현웅,윤병운



2부 는 다양성과 개성이 넘친다. 1부처럼 서울, 지방 등 작가 작업실의 장소성을 언급하기보다는 작가의 자연에 대한 시선, 느낌을 따라가보기로 하겠다. 30~40대 젊은 작가들이 담아내고 있는 주관적인 풍경은 자연풍경의 사실적인 재현이 아닌 확대나 축소로 프레임이 구성되거나 작가의 선택한 오브제들이 풍경과 어울러져 광의적인 풍경으로 공간이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고자영 작가는 판화작품으로 주목을 받았었다. 수성목판화 석판화를 자유롭게 다루며 근경으로 자연풍경을 담아내었다. 이후 회화작품과 병행하고 있으며, 2007년부터 작업중인 한택식물원을 탐구하여 표현한 작품은 판화와 다른 풍부한 색채감과 디테일한 형상이 두드러진다. 그는 “생명과 자연을 가까이 두고 즐기고자 하는 삶에 대한 애착을 그리고자 하였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출품한 <이동식 정원>시리즈는 자연에서 식물원, 그리고 인간의 마음에 자리한 정원으로 옮겨지며 한층 복합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김은기 작가는 풍경화, 정물화를 동화와 결합하는 독창적인 조형성을 시도하고 있다. 그는 우연한 기회에 동화책을 본 후 작품에 주요 모티브로 사용하게 되었는데 마티에르가 거의 느껴지지 않는 밝은 파스텔 톤으로 그려진 형상은 어린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춘 듯 단순화되고 곱다. 이러한 작가의 감수성은 어린이책의 일러스트작업을 병행하고 있기에 순수한 풍경이 가능하리라. <웨딩> 작품은 정물화의 일부분을 마음의 풍경으로 병치하여 축하하는 마음을 상징한 요소들로 가득 채웠다. 꽃, 선물상자, 반지 등 소품을 통해 행복한 풍경을 캔버스에 옮겨 놓아 작품 앞에서 서면 행복 바이러스에 감염될 것 같다.





박현웅 작가는 금속공예가에서 화가로 그 활동 범위가 넓다. 초기의 작품은 금속재료를 이용한 장식적인 이미지가 강한 오브제였다면 몇 년 전부터는 재료의 범위를 떠나 형상에 중심을 둔 심상 풍경화가 주를 이루고 있다. 작품의 주제에 따라 평면으로 혹은 입체로 재료만큼 폭 넓게 표현하고 있다. 출품한 <화림2-꽃나무 숲 속>, <외할머니의 봄>작품은 단순화한 집, 꽃, 나무 등이 작가에 의해 재배열되어 제목에서 유추해볼 수 있듯이 낭만적인 풍경을 덧입히고 있다. 과장된 화려함이 정겨운 풍경을 이끌어낸다.

윤병운 작가는 초현실주의 경향의 작품을 이어오고 있다. 초기에는 인체 탐구가 중심이었으나 2005년 전 후로 변형된 인체와 풍경이 어우러지는 몽환적인 형상이 강조되고 있다. 그는“ 내 작품이 꿈꾸는 세계는 무의식의 세계로도 잠들지 못하고, 의식의 세계로도 깨어날 수 없는 정확하게 모호한 그 지점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자각몽>은 넓은 초원과 하늘이 맞닿는 풍경이 기본이다. 자칫 서정적인 풍경화쯤으로 생각할 수 있으나 중간에 흰선으로 그려진 집 모양의 형상으로 인해 작업해석이 새로워진다. 내면의 공간과 외부의 풍경이 만나는 그 지점, 모호한 경계 속에서 작품에 의미가 부여된다.

전영근 작가는 사물을 바라보는 시선이 남다르다. 2004년 작품에서는 동일한 사물을 나란히 병치하거나 종류가 다른 사물을 층층이 쌓아 놓은 작업이었다. 색상 또한 밝은 톤이 아니었다. 작고 허름한 살림을 이사할 때 이삿짐 차에 실은 풍경처럼 소박하였다. 이렇듯 쌓는 행위는 책꽂이에 무수하게 꽂힌 책을 그리는 작가와, 혹은 아파트의 동일한 풍경을 그리거나 사진을 찍는 작가의 시선과는 다른 조형성을 표출하고 있다. 이는 아주 이질적인 사물들의 결합이고 사고의 전환인 것이다. 때로는 정물화로 보여지기도 하고 <여행>시리즈에서는 풍경화적인 요소를 가미하기도 한다. 소재의 신선함, 표현방식의 독창성이 돋보인다.

“그저 공기와 물, 바위, 나무를 충실히 그리는 것이 내 예술의 목표는 아니다. 그런 사물들 속에 있는 영혼과 감정을 생생하게 그려내는 것이 나의 목표이다.” 18C 낭만주의 화가 프리드리히가 남긴 말이다. 풍경화는 각 시대•사회의 자연관과 공간의식을 잘 보여 주는 장르이다. 위의 12명의 작가들이 표현한 21세기의 서정적, 낭만적 풍경화는 동시대의 자연을 담았을 뿐만 아니라, 빠르게 살아가는 현대인에게는 청량제 같은 느리게 사는 행복한 풍경을 제시하고 있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