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漆, 아시아를 칠하다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漆, 아시아를 칠하다
2021.12.21 - 2022.3.20
국립중앙박물관



옻칠, 아시아를 물들이고 꾸미다
-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漆, 아시아를 칠하다’ 개최 -




 ㅇ 전 시 명: ‘漆’, 아시아를 칠하다
 ㅇ 기    간: 2021. 12. 21.(화) ~ 2022. 3. 20.(일)
 ㅇ 전시장소: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시실
 ㅇ 전 시 품: <나전 칠 국화 넝쿨무늬 합> 등 263점


국립중앙박물관(관장 민병찬)은 오는 12월 21일(화)부터 2022년 3월 20일(일)까지 특별전시실에서 아시아의 옻칠과 칠공예 문화를 보여주는 특별전 ‘漆, 아시아를 칠하다’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아시아 각지에서 발전한 다양한 칠공예 기법을 살펴볼 수 있는 263점의 칠기를 선보인다.

옻나무의 수액인 옻칠은 예로부터 아시아 각지에서 사용해 온 천연도료로서 방수·방충 등 물건의 내구성을 높이고, 광택을 더하여 아름답게 보이게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처럼 내구성과 장식성을 높이는 옻칠은 옻나무가 자생하는 아시아 지역에서는 중요한 공예품 제작 기술 의 하나로 자리를 잡았고, 각 지역의 특성에 기반하여 다양한 칠공예로 피어났다. 



〈칠 굽다리접시〉, 창원 다호리 1호 널무덤 출토, 삼한 1~2세기, 높이 12.7cm, 국립김해박물관

〈칠 새와 구름무늬 접시〉, 중국 전한(前漢) 기원전 206년~기원후 8년, 높이 6.3cm, 지름 26.0cm, 상하이박물관


전시는 총 4부로 구성된다. 1부 ‘칠기를 만나다’에서는 칠기와 옻칠이 무엇인지를 소개한다. 비슷한 시기에 만들어진 모자합(母子盒) 등으로 칠기가 도자기, 금속기와 함께 동시대 공예문화의 한 축을 이루었으며,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발전했음을 볼 수 있다. 한편으로 칠기 제작 과정을 담은 재현품과 옻칠 정제 과정을 담은 영상으로 옻칠과 칠기의 제작이 모두 긴 시간과 반복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하였다.

2부 ‘칠기를 꾸미다’에서는 칠기의 기본 장식 기법 세 가지를 알 수 있도록 전시하였다. 정제한 옻칠은 원래 색이 없는 도료로서 나무로 된 기물 위에 바르면 갈색빛이 난다. 그러나 옛 사람들은 옻칠에 산화철이나 진사 등을 섞어 검은색과 붉은색을 만들어 발라 색을 더했고, 이러한 색채 대비를 이용해 다양한 그림과 무늬를 그려 장식하였다. 우리나라 창원 다호리 유적 출토 칠기의 검은색이나 중국 한나라 칠기의 다양한 무늬는 이를 잘 보여준다. 

또한 금이나 은 등 귀한 물질을 옻칠의 접착력을 이용해 붙여 꾸미는 기법도 등장하였는데, 7~8세기 동아시아에서 유행했던 평탈(平脫)기법(옻칠한 기물 위에 금은 판으로 만든 무늬를 붙이고 다시 옻칠을 한 후 갈아내어 무늬를 드러내는 기법)으로 발전하였다. 이번 전시에서도 평탈 기법으로 제작한 통일신라시대 거울 등을 선보인다.



〈꽃과 동물무늬를 붙인 거울〉, 통일신라, 지름 18.5cm, 국립중앙박물관


〈나전 대모 칠 국화 넝쿨무늬 합〉, 고려 12세기, 높이 3.2cm, 너비 10.0cm, 국립중앙박물관


3부 ‘개성이 드러나다’에서는 아시아 각 지역별로 발전한 칠공예의 종류를 알아본다. 한국에서는 나전칠기, 중국에서는 여러 겹의 옻칠로 쌓인 칠 층을 조각해 무늬를 표현하는 조칠기(彫漆器), 일본에서는 옻칠 위에 금가루를 뿌려 표현하는 마키에[蒔繪]칠기가 주로 제작되었다. 각 지역별 공간을 분리하여 이러한 특징을 뚜렷이 살펴볼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지난 2020년 일본에서 환수한 〈나전 칠 대모 국화 넝쿨무늬합〉이 최초로 선보이며, 영상과 함께 합을 감상할 수 있는 별도의 공간도 마련하였다. 또한 국내에서는 보기 힘든 중국 상하이박물관 소장 중국 조칠기 삼십 여 점도 전시하였다.

4부 ‘경계를 넘어서다’에서는 지역과 계층을 넘어선 칠기의 변화를 살펴본다. 우리나라에서는 조선 후기에 이르면 사용 계층이 확대되고 길상무늬가 많아지며 베갯모 등 일상생활 용품까지 나전칠기로 제작된다. 일본과 중국에서 제작된 칠기는 17세기 이후 아시아라는 지역을 넘어 유럽으로 수출되며 ‘남만칠기(南蠻漆器)’등 새로운 모습의 수출용 칠기가 탄생하였고, 도자기와 함께 동양풍의 유행에 기여하였다. 한편, 동남아시아의 미얀마에서는 오늘날까지도 칠기가 대표 관광 상품으로 제작되어 전 세계 각지의 사람들과 만나고 있다.


〈조칠 책모양 합〉, 중국 청(淸) 18세기, 높이 22.9cm, 폭 31.5×31.1cm, 상하이박물관


〈칠 마키에 벼루상자〉, 일본 에도시대 19세기, 높이 4.5cm, 폭 24.2×26.4cm, 국립중앙박물관


전시의 마지막인 에필로그에서는 ‘오늘날의 옻칠, 그 물성과 예술성’이라는 제목으로 현대 옻칠 작품을 전시한다. 옻칠이 가진 도료 및 장식 재료로서의 물성, 칠공예의 역사와 예술성에 대해 오늘날의 시각과 관점으로 생각해보며 전시를 갈음하는 공간이다.

칠공예는 시간의 예술이다. 옻나무에서 옻칠을 채취하고 정제하여 도료로 만드는 데는 수개월이 소요된다. 물건에 옻칠을 하는 것은 칠과 건조를 반복하는 인내의 세월이다. 작은 칠기 한 점에는 그 모든 시간의 흐름이 쌓여 있고, 짧게는 수십 년, 길게는 수천 년의 시간을 버티고 우리에게 전해져 오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 단단하고도 다채로운 아시아 칠공예의 세계를 만나볼 수 있을 것이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