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수용유희: 콘택트

  • 전시분류

    개인

  • 전시기간

    2021-08-01 ~ 2024-07-31

  • 참여작가

    박민아

  • 전시 장소

    강북문화예술회관

  • 유/무료

    무료

  • 문의처

    02-990-1125

  • 홈페이지

    http://instagram.com/draw.gangbuk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전 시 명 : 수용유희: 콘택트 
                 Receptional Play: Contact
기      간 : 2021.08.01 - 2024.07.31
장      소 : 강북문화예술회관
참여작가 : 박민아 
전시장르 : 조각,설치,공공미술





수용유희: 서로를 바라보다 Receptional Play: Looking at One Another
     하프미러 아크릴, 사진, 혼합재료, 175x523x33㎝, 2021



전시초대글


사진 퍼포먼스, 지역주민의 동질성과 연대 의식을 일깨우는

고충환(미술비평)
  
먼저 이번 사업이 추진된 배경과 과정을 보면, 사업의 성격과 의의 그리고 사업이 지향하는 목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무방비 상태로 맞닥트린 코로나19는 모든 면에서 삶의 행태며 환경을 바꿔놨고, 그렇게 변화된 환경에 미처 적응하지 못한 사람들을 어려움에 빠지게 했다. 예술가도 예외는 아니었다. 여기서 예술가의 매개자로서의 역할에 주목했다. 공공미술 프로젝트로 구상하고 진행된 사업인 만큼 일시적인 어려움에 처한 예술가를 지원하는 한편, 예술가의 매개자로서의 역할을 연결고리 삼아 침체된 지역 공동체에 활력을 불어넣는다는 취지와 목적성을 가지고 있다. 그렇게 《서울 공공미술_100개의 아이디어》가 제안되었고, 그중 선정된 일부가 『서울, 25부작;』이라는 공공미술 프로젝트로 실현될 수 있었다. 그렇게 서울의 각 구(區) 별로 작가 팀이 선정돼 저마다 반짝이는 아이디어가 빛을 볼 수 있었고, 그 와중에 본 사업이 강북구를 대상지로 진행되었다.

기본적으로는 강북구민을 대상으로 일일이 인물 초상 사진을 찍고, 그렇게 찍은 사진들을 모자이크 형식으로 재구성해 하나의 전체 작품을 만드는 방식이다. 사진찍기는 온·오프라인을 통해 동시 진행되었는데, 온라인의 경우 신청을 받아 참여자가 직접 사진을 올리는 방식으로, 그리고 오프라인의 경우에는 대상지며 대상자를 직접 찾아가는 사진관의 형식을 취했다. 그렇게 수유시장과 강북문화정보도서관처럼 사람들이 모이는 곳을 찾아 발품을 팔았고, 주민들과의 맨투맨 식 접촉과 설득 과정을 통해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냈다. 그렇게 온·오프라인을 합쳐 근 400여 명에 이르는 주민들의 동의와 참여를 얻어낼 수 있었다.

그 규모는 결코 적은 숫자라고 할 수는 없는데, 각양각색의 삶의 행태를 보여주고 있는 강북주민들의 생활사를 채집하고 재구성하기에 부족함이 없는 경우라고 생각한다. 아직은 꿈같은 일이지만, 본 프로젝트를 바탕으로 차제에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한 생활사박물관이나 지역 커뮤니티 홀의 건립으로까지 이어져도 좋다는 생각이다. 그럼에도 당연히 처음부터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기대하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상상할 수 있는 일이지만, 주민들이란 원래 저마다 개별적인 삶의 방식이 있는 것이고, 그런 만큼 공적 장(場)에 자기를 노출 시키는 기회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이다. 그런 심정적인 경우는 차치하고라도 그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요청되는 절차들, 이를테면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서와 초상권 사용 동의서와 같은 행정적인 번거로움을 감수할 사람은 많지 않다.

결국 설득과 타협으로 예상되는 난관을 타개해 성사시키는 것이 결정적인데, 그 과정 자체가 이미 예술이다. 개별주체가 받아들일 수 있는 심정적인 문제, 공무상으로 맞닥트릴 행정적인 문제, 개별주체의 삶 속으로 뛰어드는 문제, 개별주체를 공론의 장으로 불러내는 문제, 그리고 무엇보다도 작가 개인의 작업이 아니라 공공미술인 만큼 참여 주체 간 형식상의 합의를 이끌어내는 문제 모두 협의가 없으면 한 발짝도 나아갈 수 없는 일이다. 여기서 예술은 소통의 기술이라는, 정의가 요청된다. 예술에 대한 정의가 분분하지만, 이 경우에 꼭 맞는 예술의 정의다. 개인의 작업이나 작품의 경우라고 해도 소통은 꼭 필요한 일이고 과정이다. 그러므로 공공미술은 어쩌면 이런 작은 소통의 계기들이 모여 큰 소통을 이루는 형식실험의 장(場)이라고 해도 좋을 것이다.

이처럼 찾아가는 사진관(그 자체 본 프로젝트의 또 다른 주제어로 봐도 좋을)을 통해 지역주민들을 사진 촬영도 했고 인터뷰도 했다. 사진 작품 전시와는 별개의 영상자료로 만들어 함께 전시되어도 좋을 것이다. 이런 인물 초상과 함께 북서울 꿈의 숲 같은, 강북구 삼양동, 송중동, 그리고 수유동 같은 주요 지역 풍경들도 사진으로 담았다. 아마도 지역주민들의 배경 곧 사람들이 사는 세상이며 삶의 터전이 될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모인 인물 초상 사진과 지역 풍경 사진들을 한자리에 모아 편집하고 재구성하는 방법으로 최종 작품(총 3 작품)을 만들었다. 편집을 보면, 인물 초상 사진 사이사이에 거리 풍경 사진을 배치해 지역의 주연(주인)에 해당할 사람들과 그들이 사는 삶의 배경이 하나로 어우러지게 했다. 그리고 사진과 사진 사이에는 일일이 특수 아크릴판을 세워 전체적으로 격자구조를 이루게 했고 입체작품을 이루게 했다. 때로 아크릴판에 따로 풍경 이미지를 프린트해 격자 속 인물 초상 사진과 상호 교감하는 효과를 연출했다. 여기에 외부 환경을 반영하는 아크릴판 자체의 성질도 그렇지만, 일부 거울을 도입해 작품 속 사람들과 작품 밖에 있는 관객이 상호 교감하는 효과를 연출했다.

그렇게 사람들과 사람들이 교감하고, 사람들과 풍경이 교감하고, 나아가 사람들과 관객들이 교감하는, 그리고 그렇게 상호 교감(그러므로 어쩌면 감동)이 퍼져나가면서 확대 재생산되는 시각적, 심리적, 공감적 효과를 연출했다. 그렇게 작품은 저마다 격자 속에 갇힌 개별주체들이지만, 특수 아크릴판을 통해, 거울 이미지를 통해 서로 반영하고 반영되면서 하나의 커뮤니티로 연계되는 연대 의식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불교에는 업(業)의 거울인 인드라망(因陀羅網, indrjala)이 있다. 서로 밑도 끝도 없이 반영하고 반영되는 유리구슬로 만들어진 우주적 망이다. 내가 너에게 네가 나에게 반영되는 만큼 서로 본(그러므로 거울)이 되는 삶을 살아야 한다는 것이 표면적인 의미고, 그러므로 궁극적으로 나는 곧 너로 귀결되는 이타심과 이타적인 삶이 또 다른 메시지다. 작가의 작업은 이 작품을 대하는 지역주민들에게 그리고 일반 관객들에게 저마다 내면에 잠재된 이런 연대 의식을 그리고 이타심을 그러므로 어쩌면 서로를 향한 위로를 일깨우는 기회며 계기가 될 것이다.

사실을 말하자면 작가 박민아에게 이 작업이 처음은 아니었다. 전작이 있었다. 벨기에(2017)에서, 그리고 이보다도 먼저 미국(2013)에서. 이번 프로젝트와 똑같지는 않겠지만, 자발적인 참여자를 모집한 연후에 같은 식의 모자이크 편집한 사진 작업을 보여준다. 사진 속에서 사람들은 굳은 표정을 그리고 때로 웃는 표정을 보여주고 있는데, 서로의 연대 의식과 동질성을 확인하고 회복하는 주술적 계기가 느껴진다는 점에서 단순한 사진을 넘어 ‘사진 퍼포먼스’로 규정하고 싶다. 피사체 자체에 초점을 맞춘 경우가 사진에 해당한다면, 사진 퍼포먼스에서는 퍼포먼스 곧 일련의 행위나 과정을 통해 피사체에게 일어난 일, 이를테면 심경변화와 같은 심리적인 사건에 방점이 찍힌다는 점이 다르다.

덧붙이자면 사람들은 머리에 모형 가발을 쓰고 있는데, 아마도 동질성(예컨대 성 정체성을 공유하는 것과 같은)을 강화하기 위한 장치 아니면 소품으로 등장한 것일 터이다. 굳이 가발이 아니더라도 개인적으로 각별한 소품들을 초상 사진 작업의 한 부분으로 끌어들인다면 개별적인 그리고 공동체적인 정체성을 대리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끝으로 ‘수용유희’라는 주제에 주목하고 싶다. 작가가 제안한 기준에 따라 참여자가 사진 촬영을 수용해 주면, 그것(사진 찍는 행위)을 다시 작품으로 만들고 함께 즐기는 의미를 담았다고 한다. 지금은 꼭 그렇지도 않지만, 옛날부터 함께 사진을 찍는다는 것은 사진을 매개로 함께 즐긴다는 유희적인 측면이 있었다. 평소 뻣뻣한 사람에게 웃음을 유도하면, 적어도 한 장의 사진을 위해 애써 웃어주기도 했다. 그렇게 사진은 어쩌면 처음부터 하나의 사건이고 퍼포먼스였다. 심리적 떨림과 함께 서로에게 마음이 열리는.

여기에 수용미학이 있다. 예술가에게 초점을 맞춘 생산자 중심의 미학과는 비교되는, 예술작품을 대하는 사람에게 초점을 맞춘 향수자(享受者), 그러므로 수용자 중심의 미학이다. 보들레르는 진정한 예술가는 창작 주체 자신보다는 오히려 딜레탕트(dilettante) 곧 예술애호가라고 했다. 예술을 보고, 즐기고, 향유 할 줄 아는 사람이다. 그런가 하면 마르크스는 모든 사람이 잠재적인 예술가라고 했다. 모든 사람은 저마다 자신만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려는 욕망을 내재하고 있는데, 그 욕망을 잠재적인 예술가 기질로 본 것이다.

그렇게 《수용유희: 콘택트》는 ‘사진 퍼포먼스’를 매개로 지역주민들의 동질성과 연대 의식을 회복시켜준다는 점에서, 그러므로 사람들 저마다 잠재된 예술가 기질을 일깨워준다는 점에서 수용자 미학에 초점이 맞춰진 공공미술의 좋은 선례로 기억될 수 있을 것이다. 




수용유희: 서로를 비추다 Receptional Play: Reflecting One Another
하프미러 아크릴, 사진, 혼합재료, 174.5x523x33㎝, 2021




서로의 삶을 바라보다

신승오(페리지갤러리 디렉터)

2019년도부터 2021년 현재까지 COVID-19로 인한 펜데믹 상황으로 사람들의 직접적인 교류가 줄어들고 많은 활동들이 비대면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나가고 있다. 이러한 단절은 분리된 공간에 격리되거나 외출할 때 마스크를 착용하고 손소독제를 사용하는 등의 물리적인 경험을 통해 가시화되며, 누군가를 직접 대면하는 것이 꺼려지거나 나도 모르게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될 수 있다는 두려움과 같은 심리적인 고립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박민아 작가는 이번 공공미술 프로젝트를 통해 어떤 방식으로든 이러한 사람들 사이의 단절되어 버린 빈 공간을 연결시키기 위한 노력을 보여준다.

박민아 작가는 사람들이 자신과 밀접한 생활공간 앞에 서 있는 사진작업을 기획하였다. 이러한 이미지의 제작은 두 가지의 방식으로 진행된다. 하나는 여러 사람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방식이다. 이는 자신이 살고 있는 집을 배경(예를 들면 담벼락이나 대문)으로 자신의 모습을 작가가 원하는 규격에 맞춰 촬영하여 이미지를 온라인으로 전달하여 작가가 수집하는 것이다. 또 다른 하나는 작가가 직접 강북구에서 시장이나 카페, 빵집 등 다양한 생업의 현장들을 찾아다니면서 사업장 앞에서 인물 사진을 촬영하는 방식이다. 이렇게 수집된 이미지를 작품으로 완성하는 방식은 우선 작품에 사용하기 위해 일정한 구도로 사진을 보정하는 작업에서 시작된다. 보정이 완료된 한 명의 인물 사진은 양 옆에 양면 거울이 설치된 공간에 배치하는 과정을 거친다. 최종단계에서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인물 사진으로 채워진 조그만 공간들이 모여서 하나의 커다란 작품으로 완성된다. 이는 멀리서 보았을 때 단순히 각자의 인물사진을 모아놓은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가까이 다가가서 살펴보면 관객이 눈의 위치와 높이에 따라 이렇게 각각 분리되어 있는 공간에 놓여진 인물의 사진은 거울에 반사되어 하나의 얼굴이 다른 인물의 몸과 겹쳐져서 나타나는 효과를 가져온다. 이는 사람들이 벽으로 분리되어 있지만 광학적 효과로 인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된 중첩된 풍경으로 나타난다. 

이 작품에는 주거를 비롯한 우리가 삶을 영위하기 위한 공간과 함께 다양한 연령의 세대, 성별이 등장한다. 작가는 서로 비슷하면서도 다른 각각의 삶의 다양한 모습들을 최대한 담기 위해 노력한다. 이렇게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과 장소는 우리와 동떨어진 먼 곳의 이야기가 아니라 내가 평소에 걷게 되는 길에서 만나게 되는 주변의 공간들과 그 공간에서 마주치던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이다. 물론 이들은 내가 알고 있는 친밀한 관계를 갖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같은 시공간에서 살아가고 있는 사회 구성원이다. 그렇기에 이 작품에서 보이는 많은 인물들은 또 다른 나이기도 하다. 또한 이러한 사진들이 하나의 풍경으로 묶여지면서 자연스럽게 강북구의 현재를 자연스럽게 드러내고 있다. 여기에 더해 강북구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만들어지는 이 작품은 강북구를 터전으로 살고있는 구성원들이 가진 자신만의 풍경을 서로에게 보여주는 계기가 된다. 이러한 방식은 지금 현재의 어려운 상황에서도 우리는 어떻게든 연결된 유대를 가진 사회의 구성원임을 다시 한번 깨닫게 만든다. 

이렇게 박민아 작가가 만들어내는 작품은 우리가 비대면을 강조하는 현재 COVID-19의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는 우리 서로에게 보내는 응원의 메시지이기도 하다. 작가는 이러한 프로젝트를 통해 서로를 만나지 못한다는 이유로 우리가 고립되고 단절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마음과 마음이 서로 이어져 있다는 것을 느끼게 해준다. 또한 이를 통해 우리는 우리가 처한 어려운 시기를 극복할 수 있으며, 곧 다시 웃으며 만날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을 바로 옆에 있는 이웃들과 공감하고자 한다. 





수용유희: 서로를 연결하다 Receptional Play: Connecting One Another
하프미러 아크릴, 사진, 혼합재료, 87x174x24.5㎝, 2021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