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11)별이 된 아이-화가 강용대

윤진섭

좌) 70년대 중반의 필자와 강용대(오른쪽)
우) 강용대, 미완성 우주, 연대미상, 한지, 먹, 단청, 아크릴 73×143cm


‘별이 된 아이’, 화가 강용대(1953-97). 사람들은 그를 가리켜 흔히 그렇게 부른다. 작은 키에 가볍고 날렵한 몸매, 검도로 단련된 그는 80년대 초반, 이대 입구로 넘어가는 굴레방다리 대로변에서 6척 장신의 거한을 무너뜨렸다. 이슥한 밤에 근처의 카페 술자리에서 여성을 괴롭히던 불량배를 말리다 시비가 붙자 벌어진 순식간의 일이다. 이때, 그가 원숭이처럼 빠른 동작으로 붕 떠서 거한의 머리를 양팔로 감싸자, 마치 대나무가 휘듯 그 큰 몸이 무너지던 장면을 지금도 나는 선명히 기억한다. 
불의를 참지 못하고 세상에 초연하며, 예술 하는 한 줌의 벗들과 사귀다 사십 대 중반의 나이에 세상을 떠난 강용대, 나는 그를 가리켜 이 시대의 마지막 ‘아웃사이더’요, ‘로맨티스트’로 기억하고 싶다. 1981년, ‘대성리’전 창립 멤버이기도 한 그는 막걸리에 취해 주흥이 도도해지면 정지용 시인의 시 <향수(鄕愁)>를 카랑카랑한 높은 톤의 목소리로 낭송을 하곤 했다. 

가진 거라곤 빈손밖에 없었지만, 도전과 저항 정신에 충일했던 20대 후반의 나이였다. 우리는 북풍이 매섭게 몰아치는 대성리 화랑포 강변의 눈밭에서 막걸리 잔을 기울이며, 그렇게 호연지기(浩然之氣)를 키웠다. 
간경화로 세상을 떠난 강용대는 죽기 전에 은밀히 개인전을 준비하고 있었다. 따라서 1997년 금산갤러리에서 열린 초대전은 졸지에 유작전이 되고 말았다. 당시 조선일보를 비롯한 주요 일간지들이 문화면 톱으로 그의 기구한 삶과 예술을 소개해서 화제가 되었다. 

‘별이 된 아이’ 화가 강용대는 그렇게 우리의 곁을 떠나갔지만, 별을 소재로 한 주옥같은 500여 점의 작품들이 남아 우리를 위로해 준다. 한지의 뒷면에 여러 차례에 걸쳐 먹물을 입히는 ‘배압법(背壓法)’을 기본으로 한 그의 그림은 요즈음에 한창 재조명 바람이 불고 있는 수묵화의 입장에서도 다시 생각해 봄 직하다. 그는 검은색의 짙은 먹빛에 화려한 단청의 무수한 점들을 찍었다. 그것들은 한편으로 우주 같기도 하고, 또 한편으로는 온갖 꽃들이 화려하게 핀 화단 같기도 했다. 그는 그 그림들에 각각 다른 이름을 붙이기도 했다. 주로 별자리 이름과 관련된 것이었다. 접시꽃좌, 감자좌, 연꽃좌 등 상상 속의 별자리들을 그렸다.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서양화 전공)를 졸업한 그가, 전위미술 단체 ‘S,T’를 중심으로 활동을 하다 훌쩍 유럽으로 떠나간 게 80년대 중반이었다. 그는 유럽, 캐나다, 동남아 등지를 주유천하 한 후에 국내에 정착하려 했으나, 제도권 미술계는 이미 저만치 물러나 있었다. 오랜 화우들은 그를 점차 멀리하기 시작했고, 그는 점차 마음이 통하는 몇몇 친구들과 술을 마시며 기행을 벌이고 예술을 논하는 길거리 예술가가 돼 갔다. 그는 어느 날 철모를 쓰고 인사동 길거리에서 바나나를 팔기도 했다. 신문지에 바나나 몇 송이를 놓고 한 개에 10원씩 받았다. 10원짜리 잔돈이 없어 백 원을 내면 안 된다고 했다. “왜? 그럼 밑지잖아?” 하고 물으면 “세상에 밑지는 놈도 있어야 한다!”고 일갈했다.

세상에 밑지는 놈도 있어야 한다! 그가 죽은 지 이십여 년이 지났지만 지금도 그가 남긴 이 말이 귓가에 쟁쟁하다. 그렇다. 우리는 모두 밑지지 않기 위해 혈안이 돼 있다. 밑지지 않기 위해서는 남에게 덤터기를 씌우거나 때로는 야바위꾼이 돼야 한다. 미술계로 말하면 각종 공모에서 당당히 실력을 겨루기보다는 편법과 야합에 편승하며, 아트페어 참가를 둘러싼 일부 화상과 작가 간의 갈등 따위가 이에 해당한다. 벼룩의 간을 내먹는다고 가난한 작가나 기획자의 등을 치는 미술 관계자들은 우리 주변에 또 얼마나 많은가. ‘노블레스 오블리주’는 오로지 먼 나라의 이야기일 뿐이며, 우리는 그렇게 천민 자본주의의 시대를 속절없이 살아야 하는 것이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