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천경자는 누구인가? 그를 다시 본다.

김달진

천경자는 누구인가? 그를 다시 본다.


 

꿈과 정한의 세계를 표현한 채색화의 대표작가, 천경자(1924-2015)의 탄생 100주년을 맞아 고향인 전남 고흥에서 《찬란한 전설: 천경자 탄생 100주년기념 특별전》이 11월 1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열린다. 총 3개의 테마로 진행되며 고흥분청문화박물관에서 열리는 주제전시는 주요 작품으로 <탱고가 흐르는 황혼>, <만선>, <화혼>, <굴비를 든 남자>, <아이누 여인> 등 채색화 36점, 드로잉 34점, 유품 25점, 아카이브 30여 점 등으로 구성된다.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은 저서, 화집, 단행본, 팸플릿 자료를 대여하였고 수필, 기사 등 디지털 자료를 제공했다. 그동안 공개되지 않았던 작품과 작가 유품도 선보인다. 천경자 작가의 작품을 모티브로 재해석한 비디오 예술가인 이이남의 미디어아트 작품도 함께 전시되어, 관람객으로 하여금 작가의 예술혼을 느끼고 향유할 수 있다.




 

고흥아트센터에서 열리는 특별전은 《천경자를 기리고 그리다》로 천경자의 초상과 작품을 자기만의 스타일로 재해석한 청년 작가 80인의 작품을 전시한다. 남포미술관에서 열리는 연계전시는 《색채의 향연》으로 천경자의 제자와 국내 채색 화가의 작품을 선보인다. 이번 고흥 전시는 2016년 서울시립미술관에서 개최된 1주기 추모전 이후 열리는 큰 전시로 고흥군이 예산 5억여 원을 마련했으며 처음 기획자였던 미술사가 이태호에서 유족인 김정희로 바뀌었다. 서울시립미술관, 서울미술관에 주요 천경자 소장품 대여 요청이 성사되지 못해 우여곡절을 겪었다.

 

서울시립미술관은 천경자 탄생 100주년을 맞이해 그와 동시대를 살았던 한국화 여성작가 23인의 작품을 함께 선보이는 《격변의 시대, 여성 삶 예술》를 8월 8일부터 11월 17일 까지 개최했다. 미술관 2층 천경자 컬렉션 상설전으로 《영혼을 울리는 바람을 향하여》가 함께 진행된다. 1998년 서울시립미술관에 기증된 '천경자 컬렉션' 중 '여행풍물화'로 분류됐던 천경자의 기행(紀行) 회화를 중심으로 한 전시다.

 

1953년 전쟁 직후 피란지 부산에서 열린 개인전에 공개된 <생태>는 화단의 비상한 관심을 모았다. 홍익대 동양화과 학과장을 맡기도 했으며 월남전의 홍일점인 종군화가였고 여권 발급이 제한적이었던 시기에도 12회의 해외 스케치 기행을 다녀왔다. 하지만 67세 였던 1991년 국립현대미술관과 벌어진 미인도 위작 논란으로 절필을 선언하고 미국으로 떠났다. 1995년 호암갤러리에서 열린 대규모 전시는 8만 명이 다녀갈 정도로 성공했고, 1998년에는 서울시립미술관에 작품 93점을 기증했다. 2007년 경기도 양주에 미술관 건립이 추진되었으나 무산되었고, 2008년에 고흥군에 미술관 건립 협약을 체결하며 진행했으나 무산되어 고흥에 보관했던 작품을 유족이 회수하기도 했다. 2015년 부산 부경대에 유족이 작품을 기증하여 천경자기념관 건립이 보도되었으나 불발로 끝났다.

 

미인도 위작 논란은 2015년 작가 타계 후 법원 판결로 진품으로 판정되었고 2017년 국립현대미술관은 진품으로 공개했다. 하지만 천경자 유족 측은 2019년 국가배상 청구소송을 제기하여 1심은 패소하였으나 서울중앙지법에서 항소심이 진행 중이다. 유족 측은 '검찰이 감정위원들로부터 제출받은 의견서를 공개하라'며 추가 소송을 제기 중이다.

 

천경자는 1955년 제7회 대한미협전에서 대통령상, 1971년 서울시문화상, 1975년 3·1문화상, 1983년에는 대한민국 은관문화훈장을 받았으며 대한민국 예술원 회원을 지냈다. 대다수의 한국화가들이 수묵화에 경도될 때에도 채색화 작품을 지속하였고, 추상화가 화단을 장악할 때에도 구상적인 작품세계를 포기하지 않았다. 한국화단에서 강렬한 색감과 문학적 서정을 토대로 독자적인 양식을 완성한 작가로 평가된다. 대중적 인지도가 높으며 본인의 수필집, 그에 대한 책 포함 20권 이상이 나와있다.

                                                                                                                          - 월간 춤 2024.11.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