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도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단행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리처드 홀리스, 화이트채플을 디자인하다 : 20세기 런던에서 이루어진 어느 그래픽 디자이너와 미술관의 협업

  • 청구기호658.3/윌57ㄹ;2021
  • 저자명크리스토퍼 윌슨 지음 ; 최성민 옮김
  • 출판사작업실유령
  • 출판년도2021년 5월
  • ISBN9791189356538
  • 가격30,000원

상세정보

영국 그래픽 디자이너 리처드 홀리스와 화이트채플의 협업을 조명했다. 협업 전후의 이야기를 포함해 시기별 전시•프로젝트•작업물을, 기록물과 인터뷰 등을 통해 약 5년간 추적했다. 장기 협업을 통한 미술관 시각정체성의 형성 과정을 살피며, 홀리스의 디자인 방법론도 과거•현재를 비교했다. 연대순으로 정리되어 평전•기관 기록사•디자인사로도 읽힌다.

책소개

20세기 런던을 무대로 펼쳐지는 한 편의 그래픽 디자인 드라마

영국 그래픽 디자이너 리처드 홀리스와 화이트채플 미술 갤러리의 협업을 담은 『리처드 홀리스, 화이트채플을 디자인하다』가 출간되었다. 한 디자이너의 작업을 특정 시기, 특정 의뢰처에 집중해 다룬 이 책은, 그동안 그래픽 디자인을 서술한 많은 책들이 왜 그리 지루했는지 극적으로 보여 준다. 시각적 결과물이 아닌 사회적 활동으로서 그래픽 디자인이 그에 맞는 인물, 사건, 배경을 제대로 갖추고 들려주는 이야기는 기대 이상이다.


두 주인공, 만나기 전

책은 두 주인공인 리처드 홀리스와 화이트채플이 서로 만나기 전의 이야기에서 출발한다. 1872년 세인트메리 성당에서 부제로 일하던 새뮤얼 바넷은 런던 주교로부터 편지 한 통을 받는다. 당시 “교구에서 가장 끔찍한 사목구로, 주민 대부분이 범죄자”인 런던 동부 세인트주드의 허물어진 교회 하나를 맡아 보지 않겠냐는 제안이었다. 갓 결혼한 바넷 부부는 이곳에 정착해 첫 사업으로 빈민을 위한 도서관을 짓는다. 1881년 “회화와 도자기, 자수 등 진귀품을 대중에게 보여 주자는 단순한 생각”에서 처음 연 전시회에 약 1만 명의 관람객이 다녀간 이후 전시는 연례행사가 된다. 런던 최초의 공공 미술관 중 하나인 화이트채플 미술 갤러리의 시작이었다. 교회 인근에서 일명 ‘잭 더 리퍼’가 연쇄 살인을 저지르던 1888년에는 약 5만 5천 명의 관람객이 전시회를 찾았다. 이후 1901년 정식으로 문을 연 화이트채플은 서서히 “영국을 선도하는 동시대 미술 중심지”로서 명성을 쌓아 나간다. 특히 현대 미술사에 큰 발자국을 남긴 『이것이 미래』(1956) 전시를 열고 잭슨 폴록, 마크 로스코 등을 영국에 소개한 브라이언 로버트슨 관장 시절(1952~68) 무렵에는 “화이트채플에서 전시회를 열고, 도판과 함께 잘 정리된 도록을 내는 것은 야심적인 미술가의 이력에서 결정적인 순간이자 평단의 인정에 성큼 다가서는 길이었다.”

또 하나의 주인공 리처드 홀리스는 1934년 런던 서부 첼시 지역에서 태어났다. 가정 형편은 그리 어렵지 않아 사립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지만, 1949년까지도 책을 만들 때 “종이 두께, 여백, 활자 크기, 심지어 한 면당 단어 수까지 제한되던” 전쟁 상황은 그에게 평생 이어지는 청교도적 태도를 새긴다. 이후 첼시 미술 대학에 진학해 미술가를 꿈꾸던 그는 흠모하던 미술가 윌리엄 턴불로부터 “자네, 그래픽 디자이너가 되어야겠군”이라는 작품 평을 듣고 낙담한 후 그래픽 디자이너이자 교육자로서 경력을 쌓아 나갔다.


화이트채플과 리처드 홀리스, 만남과 협업

1969년 여름, 화이트채플의 신임 관장 마크 글레이즈브룩이 미술관 편지지를 디자인해 줄 사람을 찾기 위해 센트럴 대학을 찾았을 때, 마침 학교에 남아 있던 사람은 리처드 홀리스뿐이었다. 홀리스는 마크에게 “원하면 내가 하나 만들어 보겠다. 쓰든 말든 마음대로” 하라고 제안한다. 리처드 홀리스와 화이트채플의 첫 만남이자, 이후 장기간 이어진 협업의 시작이었다.

협업은 크게 두 시기로 나뉜다. 1969~73년 마크 글레이즈브룩이 관장을 지내던 시절과, 훗날 테이트 관장으로 영국 미술계를 이끌 니컬러스 서로타가 관장을 맡았던 1978~85년이다. 이 시기 리처드 홀리스는 사실상 화이트채플 전속 디자이너로 포스터와 도록은 물론 서식, 소식지 등을 도맡아 디자인했다.

저자는 협업이 이뤄지던 시기 화이트채플에서 열렸던 전시와 프로젝트, 홀리스의 작업을 집요하게 추적한다. 전임 관장과 큐레이터, 전시 작가, 직원들은 물론 관계했던 디자이너, 주변 인물들의 생생한 인터뷰를 바탕으로 펼쳐지는 화이트채플과 리처드 홀리스의 이야기는 그래픽 디자인을 서술하는 새로운 방식을 제안한다. 장기간 이어지는 협업을 통해 미술관의 시각적 정체성이 어떻게 (지금의 의식적인 브랜딩과 달리) 형성되었는지 살피고, 홀리스의 디자인 방법론을 과거와 현재를 오가며 꼼꼼히 비교하고, 각 디자인에서 이뤄진 선택들을 개별적인 전시 맥락과 화이트채플이라는 미술관이 처한 상황에 비춰 분석한다. 이는 그저 미술관이 전시 홍보물 디자인을 의뢰하고, 디자이너가 그럴듯한 포스터를 내놓는 과정으로 귀결하지 않는다. 20세기 벽두에 문을 연 공공 미술관이 시대 변화에 따라 그 임무를 갱신하고, 런던 동부라는 지역적 요구와 세계 미술사라는 특수하고도 보편적인 흐름 사이에서 (해당 지역에 봉사하는 동시에 동시대 미술을 선도하고자) 요동치는 동안, 점차 전문화되던 그래픽 디자인이라는 직종이 사회적, 기술적 변화에 어떻게 응답했는지 묻고 답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그래픽 디자인의 보편적 실존을 구체적으로 예증하는 생생한 사례

저자가 말하듯 화이트채플 작업은 리처드 홀리스의 디자인 작업 가운데 ‘최고’이거나 가장 ‘중요’하다고 말할 수 없다. 여전히 사람들이 가장 많이 언급하는 홀리스의 디자인은 존 버거의 『보는 방법』 같은 유명 도서이며, 작업 기간으로는 그가 무려 40년이나 디자인한 잡지 『모던 포어트리 인 트랜슬레이션』을 따라가지 못한다. 그러나 화이트채플 작업은 홀리스의 디자인 접근법을 압축해서 보여 줌과 동시에 이후 그의 작업에 큰 전환점이 됐다는 점에서 다른 작업을 능가한다. 기술적으로는 “활판 인쇄술이 쇠퇴하고 사진 식자가 그래픽 디자인에서 주된 제작 수단이 된 시대” 그래픽 디자인의 양상을, 문화•경제적으로는 미술관이 “물리적 전시 공간에서 ‘브랜드’로 변화하는” 중간 단계의 맥락을 살필 수 있다. 실제로 홀리스가 떠난 이후 화이트채플은 (이 책에서는 간략한 모습만 비춰지지만) “팝 음악계에서 명성을 얻은 디자이너 피터 새빌의 손을 통해” 큰 변화를 겪게 된다.

한 디자이너의 평전이자, 한 기관의 기록이자, 특정 시기 그래픽 디자인사로도 읽을 수 있는 이 책은 나아가 보편적인 그래픽 디자인 접근법을 익히는 교과서로도 손색이 없을 것이다. 저자가 말하듯 “홀리스가 화이트채플 디자인에 적용한 접근법은 여전히 실천할 수 있고, 조건도 같다. 무슨 말을 해야 하는지 분명히 아는 의뢰인, (창의적인 것 이상으로) 순발력 좋고 학식 풍부하며 주어진 정보와 제약에 유연히 대처할 줄 아는 디자이너, 그리고 의뢰인과 디자이너와 일반인이 사회적 과정을 함께 밟아 나갈 얼마간의 시간이 그런 조건이다.” 역자가 밝히듯 “리처드 홀리스가 화이트채플과 함께 거둔 예외적 성취는 그래픽 디자인의 보편적 실존을 구체적으로 예증하는—특히나 생생하고 탁월나지만 어떤 면에서는 전형적인—사례”로서 한 편의 드라마 이상의 감흥을 일으킬 것이다.


주인공 소개

주인공 리처드 홀리스(1934~)는 영국의 그래픽 디자이너다. 런던에서 프리랜서 디자이너로 활동하며 화이트채플 갤러리 작업 외에도 『모던 포어트리 인 트랜슬레이션』과 『뉴 소사이어티』 등 잡지와 존 버거의 『보는 방식』 같은 유명 도서를 디자인했다. 첼시 미술 대학, 센트럴 미술 공예 대학 등에서 가르쳤고, 서잉글랜드 미술 대학교 디자인 대학을 공동 설립했다. 저서 『그래픽 디자인의 역사』와 『스위스 그래픽 디자인』은 한국어로도 소개된 바 있다.

또 다른 주인공 화이트채플 갤러리는 1901년 런던 동부 저소득층 지역에 개관한 공공 미술관이다. 홀리스와 협업한 시기에는 런던 미술계를 이끄는 대표적 현대 미술관으로 발전했고, 데이비드 호크니, 길버트와 조지, 게오르크 바젤리츠, 안젤름 키퍼, 조지프 코넬, 필립 거스턴, 프리다 칼로, 티나 모도티 등의 선구적인 전시회를 개최했다. 


지은이 | 크리스토퍼 윌슨 (Christopher Wilson)

런던에서 ‘오버폰스’ (Oberphones)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는 프리랜스 그래픽 디자이너 겸 저술가다. 1999년부터 2004년까지 리처드 홀리스와 여러 작업을 함께했다.

옮긴이 | 최성민

최슬기와 함께 활동하는 그래픽 디자이너이자 서울시립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교수다. 저서로 『재료: 언어?김뉘연과 전용완의 문학과 비문학』, 역서로 『멀티플 시그니처』(최슬기 공역), 『왼끝 맞춘 글』, 『레트로 마니아』, 『파울 레너』, 『현대 타이포그래피』, 『디자이너란 무엇인가』 등이 있다.

목차

머리말

감사의 말


1. 화이트채플, 홀리스를 만나기 전

2. 홀리스, 화이트채플과 일하기 전

3. 이날 할 일, 1969~73년 / 작품, 1969~73년

4. 공백기, 1973~78년

5. “더 전문적으로, 더 야심적으로”, 1978~85년 / 작품, 1978~85년

6. 여파


재료와 공정

도판 출전

참고 문헌

역자 후기

색인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