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커뮤니티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2021 청주공예비엔날레》 1편, 문화제조창 및 청주시일원

객원연구원

2021 청주공예비엔날레
2021.9.8-10.17
청주 문화제조창 및 청주시 일원


문화제조창 3층 본전시 입구, 박혜령 보도팀장, 임미선 예술감독

청주공예비엔날레 조직위원회는 9월 7일 청주 문화제조창에서 2021 청주공예비엔날레 프레스 행사를 개최했다. 1999년 시작된 공예분야 세계 최초‧최대 규모의 축제는 이제 20여 년 동안 쌓아 올린 시간의 궤적을 지혜 삼아, 인류는 결코 각자도생할 수 없다는 처절한 교훈을 던진 팬데믹 시대 앞에 ‘공생의 도구’를 꺼내 놓는다. 2021 청주공예비엔날레는 세계 32개국 309명 작가가 참여해 1,192점의 작품을 선보인다. 전시 투어에 앞서 박상언 집행위원장과 임미선 예술감독으로부터 이번 행사에 대한 포부를 들을 수 있었다. 문화제조창 3층에서는 본전시와 초대국가관 전시, 공모전을 선보이며, 본 전시를 시작으로 전시 투어가 진행됐다. 본 전시는 총 4부로 구성되며 전시장 도슨트가 투어를 진행했다.








본전시 ‘공생의 도구’
1부. 노동-사물의 고고학
2부. 생명-일상의 미학
3부. 언어-감성의 분할
4부. 아카이브-도구의 재배치



1부 전시 전경

본전시 1부. 노동-사물의 고고학에서는 무형문화유산의 계승 발전을 이끄는 국내외 작가들과 지역의 고유한 문화유산을 재해석하는 전통 장인에서부터 시간, 소리 등 비물질을 매개하는 사물을 제작하는 현대 장인까지 소개한다. 수천 년 수공예의 역사를 압축하는 동시에 21세기 동시대 공예의 진화를 한자리에서 전개한 1부에서는 공예적 노동과 타자 배려, 인간 존엄에 대한 사유까지 공예의 사회적 의의를 확장하고자 한다.



시네꾸꾸 므쿠누(남아프리카공화국)_밤비줄루 공방, <직조 벽걸이>, 일랄라 야자나무, 2020


뷰티 바셈빌레 옹옹고(남아프리카공화국)_밤비즐루 공방, <이시추모 줄루 바구니>, 일랄라 야자나무, 2020


(왼쪽부터) 이의식_행촌칠예공방, <모란당초문칠화함>, 홍송, 옻칠, 2017, <석류넝쿨무늬 나전경함>, 홍송, 옻칠, 나전, 황동, 2015, 이선주_행촌칠예공방, <나전당초문함>, 홍송, 옻칠, 나전, 황동, 2015


전시 전경


김윤선, <십장생 색실누비 주칠 혼례함>, 명주, 명주실, 종이, 나무, 옻칠, 2021


현광훈, <단조 벽시계>, 철, 황동, 2019, <퍼페츄얼 캘린더 시계>, 황동, 철, 참나무, 2021, <마차>, 황동, 호두나무, 2020, <달리는 말>, 황동, 호두나무, 2019, <날갯짓하는 새>, 황동, 호두나무, 2021, <페가수스>, 황동, 호두나무, 2019, <노래하는 새>, 황동, 호두나무, 2019


한성재, <번제>, 호두나무, 철재 바퀴, 인조털, 스피커 시스템, 2021

‘번제’는 인간의 안녕을 위하여 동물을 불에 태워 지내는 제사를 의미하며, 작품은 인조털을 사용한 것으로 인간의 욕망으로 희생된 제물에 대한 애도를 표현한다.


윈디 첸 (미국), <99개의 매듭>, 면 로프, 선브렐라 코드, 합판, 전선, 2021, <회로판>, 면 로프, 선브렐라 코드, 24K 일본 금실, 호두나무, 2021


솜폰 인타라프라용 (태국) 작품

2부. 생명-일상의 미학에서는 의식주를 바탕으로 패션 악세서리, 장신구, 테이블 웨어, 가구 조명 등 일상의 소중한 가치를 전달하기 위한 삶을 구성하는 다종다양한 공예품들을 선보인다. 더불어 자원 재생을 실천하는 사회운동으로서 업사이클(upcycle)을 주제로 한 작품들을 볼 수 있다. 위 작품의 솜폰 인타라프라용은 천연 염색과 손바느질로 드로잉한 듯한 다양한 패션을 만들며, 판매 수익금으로 형편이 어려운 지역 아동들을 지원하며 지역 커뮤니티와의 공생에 관심을 두고 실천한다.



강금성, <명주 배냇저고리>, 명주, 2021, <배냇저고리_잣물림 세트>, 유기농 면, 2021



공새롬, <버들강아지> 시리즈, 쌀, 산화은, 레진, 2021

섬세하고 노동집약적인 장신구 파트에서, 공새롬은 우리의 주 음식인 쌀알의 사회적, 일상적 가치를 치환하여 보여준다.



김영옥, <자연을 벗삼아>, 순은, 정은, 명주, 2021

김영옥은 팬데믹으로 인해 배달음식을 많이 시키면서 늘어난 일회용품의 사용과 환경호르몬의 증가에 대한 문제점을 제기한다. 작가는 열매와 꽃 모티프를 정교하게 디자인해 반상기 세트를 은으로 제작하여, 적합한 식기 사용과 음식을 취하는 환경 또한 생태계와 건강을 위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전시 전경


김덕호, 이인화_소만공방, <소만백자정원>, 백토, 유약, 2021


피에트 스톡만 (벨기에), <도자_경계를 넘어서>

백자, 코발트, 주입 성형을 자신의 표현 도구로 사용하는 피에트 스톡만의 60년에 걸친 작품세계를 구간을 나누어 소개한다. 산업 도자 디자이너로 다니던 회사가 부도로 문을 닫게 되자, 겐트(Ghent)에 독립 스튜디오를 설립하고 공예, 설치미술, 공공미술을 아우르는 프리랜서 작가로 활동하기까지 그의 작품을 볼 수 있다.


바네사 바하가오 (포르투갈), <삶의 꽃>, 재활용 울, 대나무, 라이오셀 린넨, 2021

바네사 바하가오는 섬유 업사이클 작품을 선보인다. 그는 대규모 섬유 산업이 초래하는 환경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섬유 공장에서 사용하고 남은 자투리나 재고에서 다양한 원사를 구해 활용한다.


비 마이 게스트_공예연회

본전시 연계 공예문화향유 프로젝트 ‘비 마이 게스트’ 공간으로, 자원을 재생하는 업사이클과 꽃꽂이, 음식, 차, 술 등 기호문화를 통해 공예의 유용한 가치를 직접 체험할 수 있다. (사전예약을 통해 참가할 수 있으며, 워크숍은 비엔날레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라이브 시청 가능)



전시 전경


바나위스 앤드루 스이바이아따 (태국), <보잉 의자_콤보>, 압착 나뭇잎 판자, 나무, 라탄, 2009


이준희, <금속 문구류 시리즈>, 황동, 2021


세바스티안 브라이코빅 (네덜란드), <선반> 시리즈, 청동, 자수직물, 기계자수 직물, 2007-2010

앞 세 작품은 세바르티안 브라이코빅의 작품으로 ‘속도감’을 포착하여 보여준다.

함도하, <2019 우리, No-1 ‘톰! 내 말 듣고 있지?’>, 무늬목, 도장, FRP, 아크릴페인팅, 2021, <행복 No-3>, 무늬목, 도장, FRP, 아크릴페인팅, 2021

함도하 작가는 기쁨의 감정을 의자로 유쾌하게 표현했다.


함도하, <2019 우리, No-5 ‘밀어~~!’>, 무늬목, 도장, FRP, 아크릴페인팅, 2019

-> 2편에 계속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