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담한 필촉: 기자가 그려낸 신문삽화 미장센》는 ‘미술기자’를 근대기 신문사에서 기자 또는 사원 직함을 달고 전속화가로 활동했던 미술인으로 정의하고, ‘미술기자’ 9인(고희동, 김규택, 노수현, 안석주, 이마동, 이상범, 이승만, 정현웅, 최영수)의 행적을 탐구하여 한국 근대기의 시각문화와 삽화미술을 입체적으로 살펴본다. 근현대 문화예술계에서 괄목할만한 성과를 거둔 이들의 기자 시절을 집중 조망하는 이번 전시는 이상범의 신문삽화 병풍, 1937년 안석주가 제작한 영화 필름을 비롯해 다양한 작품 및 아카이브 자료를 선보인다. 한편 전시명은 1930년대 동아일보 기사가 이마동의 삽화가 신문소설을 압축해 잘 그렸다는 의미로 “아담한 필촉”이라 평한 것에서, 그리고 미술기자의 삽화 제작을 영화 연출에 종종 비유하던 것에서 착안했다. 전시는 일민미술관 5,6 층이 신문박물관인데 6층에서 열리며 7월25일 방문하여 장해림 학예원을 인터뷰하였다.
천경자 삽화
전시는 세 개의 소주제로 구성된다. 첫째,‘삽화의 태동’은 한국에서 최초로 삽화가 탄생하고 신문지면에 등장하는 배경을 다룬다. 최초의 만평가인 화백 이도영, 만화를 처음 신문에 들여온 기자 김동성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고, 신문박물관에서 소장 중인 1910년대 신문 희귀자료를 살펴본다.
이상범 삽화를 병풍으로 꾸몄다
둘째‘신문미술의 개창과 ‘미술기자’전성시대’는 1920년대 일간지의 창간과 함께 미술기자의 활동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을 살펴본다. 1920년 고희동부터 1940년대 최영수까지, 신문사를 옮겨다니며 창작활동을 펼친 미술기자들의 행적을 연표와 아카이브 자료, 그리고 이들이 남긴 삽화자료를 통해 한 자리에서 볼 수 있다. 동아일보의 이상범, 조선일보의 노수현, 매일신보의 이승만은 ‘삽화계 삼대천왕’으로 불리며 당대 신문 삽화미술의 부흥을 이끌었다. 이외에 이마동, 안석주, 정현웅, 김규택, 최영수에 이르기까지 유명 삽화가 겸 미술기자들의 행적을 연대별로 파악해본다. 학예부에서 기른 문예적 재능을 영화 연출로 꽃피워낸 안석주의 1937년작 흑백유성영화 <심청>, 이상범의 1950-60년대 신문삽화 원본으로 제작한 삽화 병풍 2점 또한 감상할 수 있다.
1936년 베를린올림픽 마라톤 금메달 손기정 일장기 말소사건
셋째‘학예부를 떠나서’는 1930년대 이후 여러 사정으로 신문사를 떠난 미술기자들이 영화감독, 미술작가 등 다양한 문화예술 활동에 종사하는 과정을 그린다. 미술기자의 역할이 현대로 접어들면서 삽화가, 미술평론가, 신문편집디자이너로 분리되고 현재의 역할로 변화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특히 신문박물관이 소장 중인 천경자, 김성환의 1960~70년대 소설삽화 및 만평이 전시돼 주목할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