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WebZine] 2017년 3월

편집부




서윤희: 기억의 간격
2017-03-09 ~ 2017-04-22 | OCI미술관 (송암문화재단)
02.734.0440 | ocimuseum.org

10여 년 이상 기억을 새로운 시공간에 새기는 ≪기억의 간격≫ 연작에 매진하면서, 인간 삶의 본질을 시간에 비추어 성찰해왔다. 畵苑(화원)은 작가가 가꾸어 온 회화 속 무한한 사유의 공간을 의미하며, 더불어 각종 식물과 약재가 모체가 되는 작품의 특성을 암시한다.
국대호 회화전
2017-02-07 ~ 2017-04-02 | 환기미술관
02.391.7701/2 | whankimuseum.org

환기재단 작가전 <색·채·집>은 작가의 관심소재인 ‘색’ 연구의 연장선상이나, 본 전시는 더욱더 색의 본질, 순수성에 가까이 다가가기 위한 탐구의 여정이자 색채의 경험을 환기미술관의 물리적인 공간으로 확장시키는 특별한 시도이다.
요세프 쿠델카 사진 : 집시GYPSIES
2016-12-17 ~ 2017-04-15 | 한미사진미술관
02.418.1315 | photomuseum.or.kr

작가의 가장 순수한 감성이 담긴 초기 연작 《집시》를 소개한다. 1975년 미국 아퍼처 출판사를 통해 세상에 나온 그의 첫 사진집 『집시』는 요세프 쿠델카의 등장을 세상에 알린 장본인이다. 그 안에 담긴 신선하고 독특한 사진들은 전통적 르포나 다큐멘터리 범주를 넘어선, 쿠델카만의 개인적인 비전에 관한 것이었다.
김성호 회화 : Mirage
2017-03-08 ~ 2017-04-16 | 두가헌
02.3210.2100 | dugahun.com

예술을 통해 현대문화현상을 담아내거나, 본질과 원형이 사라진 외형만 화려하거나, 각인 되어진 이미지를 통해 감성을 소비하는 환경, 존재하나 허구 일 수 있는, 화려해 보이지만 수많은 현상들이 복합적으로 대립되어 원형을 잃어버리거나, 경계를 허물며 새로운 미래와 마주하는 바로 다양한 현상을 우리들의 진실한 시선을 통해 함께 소통해보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



고충환 : 유의랑/ 한 땀 한 땀 수놓은 일상, 우주, 세계
김성호 : 전시 공간의 이해와 작품 설치 방법
김종근 : 알폰스 무하 에세이
이선영 : 권력 없는 문화와 문화 없는 권력
이선영 : 김유란 / 말과 말 사이에서
이 한점의 자료 : 이탈리아 회화의 역사, 1914



조자용과 민화운동
이영실 지음 | 월간 민화, 지디비주얼 | 2017년 1월 | 15,000원

민문화 운동과 민화연구에 보급까지 힘썼던 조자용의 생애와 학문ㆍ사상을 저자의 연구논문을 토대로 다듬어 정리했다. 건축가였던 그가 어떤 계기로 한국문화의 정체성과 민화에 관심을 두게 되었고, 어떤 과정을 통해 선각자로서 연구와 실천을 이어갔는지 삶 속에서 조망한다.

지은이 | 이영실
민화작가이자 연구자로 활발하게 활동하며 조자용기념사업회 이사, 한국민화학회 이사, (사)한국민화센터 이사, 경주민화협회 회장 등으로 일하고 있다.
시장으로 나간 조선백자
박은숙 지음 | 역사비평사 | 2016년 12월 | 18,500원

분원에서 만든 그릇을 납품하고 판매했던 공인 지규식이 1891년부터 1911년까지 쓴 『하재일기』를 통해 들여다본 분원과 사람들에 관한 이야기다. 저자는 10여 년에 걸친 관련 연구를 바탕으로 명맥을 잇고자 했던 인고의 노력과 그런데도 소멸할 수밖에 없었던 여정까지 밝혔다.

지은이 | 박은숙
전북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학과에서 석사·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시사편찬위원회 연구원과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연구교수를 지냈으며, 2016년 현재 고려대학교 강사로 재직하고 있다.
위대한 화가들 : 거장 52인과의 가상 인터뷰
디미트리 조아니데스 지음 ; 주일령 옮김 | 이숲 | 2017년 1월 | 25,000원

미술사학자이자 작가인 저자가 프랑스 예술품 경매소 드루오에서 발간하는 소식지 『라 가제트 드루오』에 2009년부터 연재했던 가상 인터뷰 기사를 엮었다. 여러 시대의 대가가 사는 곳으로 찾아가 예술관과 작품 제작의 뒷얘기, 동료 화가들과의 관계와 사생활에 얽힌 일화 등을 묻고 기록하는 형식으로 구성되었다.

지은이 | 디미트리 조아니데스 (Dimitri Joannidès)
프랑스의 미술사가·기자. 다양한 매체에 글을 쓰고 예술품 경매소에서 근·현대 미술 분야 전문가로 경매를 진행하기도 한다. /span>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