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정원바닥에서, 1956 ⓒ2016 The Andy WARHOL Foundation for the Visual Arts, Inc.팝아트의 대명사로 대중에게 알려진 앤디 워홀은 활동 당시, 출판과 북아트에 큰 관심을 두었으며 그의 작업에서 책은 영감의 바탕이 되었다고 한다. 80개가 넘는 책 관련 프로젝트를 진행했을 정도로 책에 대한 열정이 남달랐던 워홀의 새로운 면모를 대중에게 소개...
전시 포스터‘마음의 상태’전은 전시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설치작품이 변경된다. 이를 통해 의식적인 경험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탐구하고자 작가, 심리학자, 철학자, 신경과학자들의 관점들을 검토하였다. 또한 몽유병, 공감각, 기억과 의식의 장애 등과 같은 현상들을 탐구하기 위해 의식의 본질에 대한 아이디어와 특히 우리의 일반적인 의식적 ...
사물의 꿈, Foto: Stefan Alber, ⓒKunstsammlung NRW일상의 물건들에 변형을 가해, 오래된 가구들과 조합한 설치방식으로 상품 진열대, 역사박물관, 무대세트의 중간에 있는 듯한 공간설치작업이 인상적인 작가 비브케 시엠(Wiebke SIEM)의 전시이다. 이번 전시에서는 관객들이 참여할 수 있는 부분에 그 중점을 두었으며, 나무로 만든 주걱, 밀대, 접시, 신발...
벽지 디테일 #9, 2015, ⓒ베티 우드만현대 세라믹 작가로 잘 알려진 베티 우드만의 개인전으로 지난 10년 동안 제작된 작품들에 집중되었으며 주요 혼합미디어 작품들이 포함되었다. 1950년대부터 점토를 이용하여 작품제작을 시작하였으며 이후 지속적으로 새로운 방향을 탐구하고 새로운 기술과 미디어를 도입하였다. 토기에 옻칠하거나 종이에 고대 도자기에 ...
정징(曾鯨), 왕스민 소상(王時敏小像), 견본설색, 64×42.7cm, 티엔진박물관소장신관 건립 이후 티엔진박물관에서 수장한 회화작품으로 명·청시대 지역별 회화 유파를 정리하는 주제전을 개최해오고 있다. 명대 말기 60여 점의 회화 정품을 선정해 산수, 화조, 인물로 나눠 구성된다. 산수화는 송강화파, 무림화파 등을 위주로 작품을 선보이며 화조화는 서위(徐...
클로드 모네, 수련, 1914-15, 캔버스에 유화, 160.7×180.3cm, ⓒ포틀랜드아트뮤지엄. 오리건 주 포틀랜드왕립예술원과 클리블랜드미술관이 공동 주관하여 1860년대 초부터 1920년대까지 예술의 진화에 정원이 어떠한 역할을 수행했는지 살핀다. “꽃들에게 빚을 졌다”고 말한 바 있는 서양미술사에서 가장 중요한 정원 화가인 모네와 원예 세계에 강...
무라카미 다카시와 수퍼 플랫 콜렉션, 촬영: 히라오 켄타로우일본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예술가 무라카미 다카시가 현대미술을 중심으로 수집한 컬렉션을 처음으로 소개하는 전시이다. 동경예술대에서 일본화 과정 최초로 박사학위를 받고, 현대미술과 일본의 전통미술, 상위문화와 대중문화, 동양과 서양을 교차시키며 완성도 높은 일련의 작품을 선보이며...
시각화하는 호흡, 20122012년에 제작한 영상작업을 다섯 면의 스크린에 설치한 <시각화하는 호흡(Visible Breath)>을 선보인다. 이스트런던대에서 미술과 영상제작을 공부하고 귀국한 사카노 미츠노리(Mitsunori SAKANO)는 자신이 태어나고 자란 고향의 축제와 전통에 주목했다. 지역의 이름인 츠루기(鶴来)와 동음인 검(劍: 츠루기)의 연결을 통해 고대로부터...
주첸, 영원 - 승리를 알리는 마라톤 병사, 부상당한 갈라디아인, 2014 중국 본토 출신의 다양한 세대 예술가 12명을 한데 모았다. 이들은 최신 기술뿐만 아니라 지역 전통과 문화에서 파생된 다양한 기술과 매체를 사용해, 이들을 결합하고 또는 대립시키면서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사회의 복합성을 표현했다. 작품들은 오늘날의 경제와 생태, 도시와 시골의...
기계 관세음보살, 2015.생명이 없는 것에 어떻게 생기가 생겼을까? 인간은 어떻게 오브제와 특이하고 친밀한 관계를 구축했을까?인간에 대한 개념과 경계가 점점 불분명해지는 이 시대에, 인간의 주위를 둘러싼 것과의 동거에 관한 폭넓은 질문을 던지면서 한 그룹의 일류학자들이 이 질문에 대해 숙고한다. 세계 곳곳에서 온 200여점의 작품을 통해  ...
세드릭 프라이스, 스노우든 조류관, 런던동물원, 1961, ⓒ존 판햄, 사진: 알라미 스톡개성이 강하고 독립적인 12명의 건축가 스미스슨, 밴브루, 와이어트, 손, 코커럴, 매킨토시, 홀든, 굿하트-렌델, 스털링, 프라이스, 패트, 하디드의 작품을 통해 영국건축의 400년 역사를 살펴본다. 주류 건축문화의 규범을 거부하고 각자 독특한 방식으로 영국건축의 틀...
분채화후병(粉彩畫猴瓶), 1960년대, 높이19cm난징박물원은 원숭이띠 해를 맞아 원숭이와 관련된 문물전을 개최했다. 회화, 우표, 조각, 도자기, 칠기, 서적 등의 문물을 포함해 십이지상, 손오공, 원숭이 묘기도 등의 내용이 표현된 것들이다. 전시되는 문물은 시대별로 각기 다른 시각에서 중국 전통 원숭이 문화를 해석하고 있으며 민속문화 특색을 보여주고 ...
전시포스터, Courtesy of the Sharjah Art Foundation작품을 제작하는 방식과 해석 이 모든 과정의 가능성을 열어 끊임없이 진화하는 본 전시는 ‘do it’으로 샤르자에서 60인의 아랍 아티스트들과 오디언스 그리고 문화예술기관들과의 협업으로 진화된다. 후르 알카시미와 함께 공동 기획으로 진행되는 이번 전시는 알라 유니스, 압둘나세르 가하렘 등 아랍지역 ...
돈쟈(ドンジャ) 19세기, 아뮤제미술관(AMUSE) 소장 아오모리의 민속학자 다나카 츄사브로의 평생을 걸쳐 연구조사해온 고대 민구 2만여점중에 선정된 100여점을 소개하고 BORO(넝마)의 미의식을 재해석한 세팀의 디자이너를 통해 폐기되어가는 재료를 특성을 살려 새로운 작품으로 승화시켜나가는 작품도 함께 선보인다...
Girolamo Francesco Maria Mazzola, Man Standing Beside a Plinth onwhich He Rests a Book, and a Study of Saint Luke, ca. 1530, Pen and brown ink, brown wash on paper.피에르-장 마리에트(Pierre-Jean MARIETTE, 1694-1774)는 드로잉 작가에 대한 우리의 근대적인 개념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드로잉 수집가였다. 미국 미술관으로는 최초로 그의 드로잉 수집 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