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WebZine] 2016년 10월

편집부




양푸동전 : 내가 느낀 빛
2016-06-11 ~ 2016-10-16 | 대구미술관
053.790.3000 | daeguartmuseum.org

전시는 작가의 국내 최초 개인전으로 미술관의 건축적인 요소와 영상작업을 결합한 대규모 설치작품과 사진, 드로잉 등 1990년대 초반기의 작품부터 최근작까지 31점 소개한다. 중국의 많은 작가들이 특수한 근‧현대사를 풀어낸 작품들로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다면 양푸동은 개인들의 삶과 인생, 인간존재에 관한 보편적인 내용들을 동서양의 예술어법을 동시에 담아내는 고유한 예술세계로 국제적 공감을 이끌어내고 있다.
제 11회 광주비엔날레 2016
2016-09-02 ~ 2016-11-09 | 광주비엔날레 전시관 외
062-608-4114 | gwangjubiennale.org

‘예술은 무엇을 하는가’라는 질문을 통해 예술을 무대의 중앙에 놓고 예술의 근본적 역할을 재확인하면서 예술의 상상력과 미래와의 역동적인 연계성을 전시와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실현한다.
정하응: SIGNALS 어떤 신호들
2016-10-07 ~ 2016-11-03 | 그리고갤러리
070-7570-3760 | grigogallery.com

정 하응의 비디오 사운드 설치작품을 소개한다.정 하응은 그 동안 미디어 사운드 설치미술과 장소성과 현장성에 기반을 둔 바깥미술을 비롯하여 음악, 무용, 문학등 다양한 장르의 아티스트들과의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실험적인작품 세계를 보여줌으로써 꾸준히 동시대 미술 실천을 수행하고 있는 작가이다.
제 38회 중앙미술대전
2016-10-10 ~ 2016-10-17 | 세종문화회관 미술관
02-2031-1919 | fineart.joins.com

포트폴리오 심사 및 프리젠테이션 심사를 통해 선발된 ‘올해의 선정작가’ 10명의 젊고 뜨거운 창의력이 한자리에 모입니다. 대한민국 미술의 내일을 엿볼 수 있는 중앙미술대전에 많은 관심과 성원 바랍니다.



고충환 : 흔들리는 결정, 움직이는 좌표에서 본 달 항아리
윤진섭 : 2016년 김창열미술관 개관기념 심포지엄
이선영 : 문수만 / 생성을 위한 존재의 자리
이선영 : 얼굴, 맞서다 전 / 그때 여기의 사람을 호명하다
이 한점의 자료 : 한글글씨체 1,2권, 1946



미술관에 간 인문학자
안현배 지음 | 어바웃어북 | 2016년 7월 | 16,000원

미술도 보는 게 아닌 읽는 것이라고 말하는 저자는 미술의 매력을 포착하고자 고전ㆍ신화ㆍ문학ㆍ역사를 읽듯 명작을 읽어준다. 이는 그가 십여 년 넘게 지속한 미술과 인문학의 통섭이라는 연구와 강의의 결과물이다. 저자는 미술을 흥미롭게 읽는 유용한 도구로 인문학을 사용한다.

지은이 | 안현배
프랑스 국립 예술사 연구소에서 ‘19세기 후반 프랑스 미술의 다양성과 발전 과정’에 초점을 맞춰 공동으로 연구를 수행했다. 귀국 후 성공회대학교, 서울대학교, 한국과학기술대학교, 고려대학교, 서강대학교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서울, 젠트리피케이션을 말하다
양재영 외 7인 지음, 신현준ㆍ이기웅 엮음, 성공회대 동아시아연구소 기획 | 푸른숲 | 2016년 8월 | 25,000원

문화ㆍ사회ㆍ인류ㆍ지리학 연구가들이 젠트리피케이션을 주제로 서촌ㆍ홍대ㆍ해방촌 등지에서 진행한 현장연구를 바탕으로 썼다. 참여관찰과 심층면접을 통해 이 도시 변화 현상을 추적하고, ‘장소/사람’과 ‘정책적 개입/주민의 자생적 노력’ 사이에서 우선 돼야 할 것에 의문을 던진다.

기획 |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아젠다는 ‘사상과 학지(學知)의 연쇄’, ‘이동의 통제와 탈(脫)경계’, ‘감성과 장소의 문화정치’라는 세 가지 세부 주제로 나뉘며 각 주제별 연구에 연구소 소속 연구자뿐 아니라 국내외 유수 연구자가 참여해 공동 및 개인 출판물로 결실을 맺었다.
사임당 평전 : 스스로 빛났던 예술가
유정은 지음 | 리베르 | 2016년 7월 | 23,500원

남성 중심 사회에서 주체적으로 군자의 길을 걸어온 예술가 사임당의 삶을 조명한다. 그의 미의식을 연구해 온 저자는 유가 미학을 근거로 사임당의 작품을 분석하고 그가 추구했던 가치를 밝혔으며, 고증을 위해 작품 분석에는 사대부들의 발문과 전문가의 평가를 제시했다.

지은이 | 유정은
16세기부터 본격적으로 경직되기 시작하면서 점차 열등한 존재가 되어 버린 여성들의 삶에 대해 연구하며 그 가운데서도 빛을 발했던 대표적 여성인 신사임당의 예술가적 역량과 삶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